이번주 주간경향(1334호)에 실은 북리뷰를 옮겨놓는다. 마크 피셔의 <자본주의 리얼리즘>(리시울)에 대해 적었는데, 얇은 책임에도 막상 서평에서는 일부 내용만을 언급할 수 있었다. 한 차례 포스팅한 대로 <기이한 것과 으스스한 것>(구픽)도 최근에 나왔는데, 원서도 엊그제 받은 김에 조만간 읽어볼 생각이다(그의 책은 모두 구입했다)...

















주간경향(17. 07. 08) 자본주의, 여전히 강력하지만 구멍 역시 커진다


영국 비평가 마크 피셔의 <자본주의 리얼리즘>은 먼저 제목에 대한 해명을 요구한다. 무엇이 ‘자본주의 리얼리즘’인가. 자본주의가 유일하게 존립 가능한 정치·경제 체계이며 그 대안은 가능하지 않다는 감각이다. ‘대안은 없다’는 과거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의 독트린이 그대로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슬로건이다. 저자가 대담에서 인용한 말은 우리에게도 친숙하다. “자본주의가 싫으면 북한에나 가서 살아라.”

자본주의 이후에 대한 상상이 봉쇄되고 그 대안이 고작 북한이라면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은 무의미할 것이다. 하지만 전위적인 문화비평가로 활약했던 저자는 비록 자본주의가 강고한 현실을 구축하고 있지만 그 대안의 모색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그것이 그의 내기다. 사실 필요한 것은 그 가능성과 불가능성을 가르는 기준 자체의 변경이다. 지금 현실적이라고 이야기되는 많은 것들이 한때는 불가능한 것이었다는 사실만 보아도 그렇다.

저자는 라캉 정신분석학의 개념을 빌려서 ‘현실’과 ‘실재’를 구분한다. 현실은 실재에 대한 억압으로 구성되기에 실재는 현실에서 재현되지 않는다. 그것은 현실의 균열과 비일관성 속에서만 드러나는 어떤 외상적 공백이다. 그러한 실재의 대표 사례가 환경 재앙이다. 가령 원자력 안전신화를 철저하게 무너뜨린 후쿠시마 원전사고만 하더라도 현실로 통합될 수 없는 실재적 사건이다. 그것은 동시에 자본주의의 무한성장 신화에 대한 묵시록적 경고이기도 했다.

환경 재앙에 대한 문제의식은 많이 공유된 상황이라는 판단에서 저자는 두 가지 쟁점을 거기에 추가한다. 하나는 정신건강이고, 관료주의가 다른 하나다. 자본주의는 정신건강을 마치 자연현상인 양 다루고자 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날씨가 자연적 사실을 넘어서듯이 정신건강은 그 자체가 정치적 범주에 속한다.

광기뿐 아니라 우울증 같은 경우도 영국에서는 국민건강보험으로 처리되는데, 저자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스트레스와 그 고통 역시 사회적 차원에서 다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정신건강 질환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계속 증가하는 것은 “자본주의가 제대로 작동하는 유일한 사회체계이기는커녕 내재적으로 고장나 있으며, 그것이 잘 작동하는 듯이 보이도록 만드는 비용이 아주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신자유주의의 승리와 관료주의는 한물간 것으로 취급되었지만 현실에서는 오히려 더 비대해졌다. 관료주의가 새로운 형태로 증식한 때문이다. 이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교육현장인데 후기자본주의 사회의 소비자로 양성된 학생들과 여전히 훈육적 방식의 교육을 고집하는 교사들 사이의 간극은 극복되지 않는다. 저자가 지적하는 문제는 비단 영국 사회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다. 소위 학교 붕괴 현상은 현단계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교육이 당면한 일반적 현상이기 때문이다. 자본주의 리얼리즘은 여전히 강력하지만 그 구멍 역시 커지고 있다는 것이 명민한 비평가의 진단이고 분석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wo0sun 2019-07-06 0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 읽으면서 그 구멍을 부작용으로만 생각하고
구멍을 메워야 된다는 생각속에 빠져 있었던 것은 아니었나~
자본주의의 끝이 세상의 끝이라 여기고.


로쟈 2019-07-07 10:24   좋아요 0 | URL
그게 자본주의 리얼리즘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