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극단의 고골 3부작에 대해서 몇 달 전에 소개한 바 있는데(http://www.aladin.co.kr/blog/mylibrary/wmypaper.aspx?PCID=1909487&paperId=1049610) 이번에 국립극장에서 재공연된다고 한다. 러시아 유학파 출신의 연출자와 배우들이 중심이 되어 새롭게 해석한 고골을 무대에 올린 작품들이고 그간에 호평을 받아왔다. 이번에는 놓치지 말고 한 작품이라도 구경을 좀 해봐야겠다. 

한겨레(07. 04. 07) 국립극장서 만나는 러시아 대문호

러시아 대문호 니콜라이 고골(1809~1852)의 문학세계를 엿볼 수 있는 연극 ‘고골 3부작’이 4일부터 잇달아 관객을 찾아간다. 러시아 유학파 출신으로 구성된 명품극단은 고골의 우크라이나를 다룬 소설 가운데 <비이(4~7일)>,  <광인일기(18~22일)>,  <행복한 죽음(13~17일)>을 ‘봄’, ‘여름’, ‘가을’ 그리고 ‘겨울’이라는 부제 속에 녹였다. 올 1월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공연 당시 평단과 관객의 호평에 힘입어 국립극장 별오름극장에서 재공연하는 것인데, 러시아 문학의 황금시대를 대표하는 고골의 대표적 단편소설을 무대 위에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3부작의 서막인 <비이(4~7일)>는 키예프신학교에 재학 중인 어린 신학생 호마부르뜨의 하루 일과를 그렸다. ‘봄’이라는 부재처럼 호마부르뜨의 일과는 참을 수 없도록 졸리운 봄날의 꿈처럼 장난스럽기도 하고 괴기스럽기도 하다. 세트의 구성보다는 배우의 신체행동에서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와 소도구를 통한 다양한 공간변화, 러시아 전통 민속음악과 한국의 전통악기 가야금의 조화를 엿볼 수 있다.

<행복한 죽음(13~17일)>은 노부부의 삶을 통해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한 진지하고 따뜻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작품이다. 노부부 아파나시 이바노비치와 쁠리헤리야 이바노브나는 한적한 시골에서 살고 있지만, 일상에서 전원의 목가적인 무료함이나 권태를 느끼지 않는다. 이들의 삶에 대한 태도는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는 배우자의 죽음이나 자신의 죽음에도 똑같이 적용되는데 죽음은 비극이 아니라, 삶의 한 부분이라는 사실을 일깨운다.

<광인일기(18~22일)>는 페테르부르크의 계급사회를 배경으로 인간의 고독한 삶을 표현했다. ‘여름’이라는 부제처럼 작품 속 주인공 뽀쁘리신의 일기는 한 여름의 열정이 만들어 낸 사랑과 그것에서 비롯된 절망을 표현하는 수단이다. 조하석의 간결한 마임연기와 러시아를 대표하는 작곡가 프로코피예프의 음악 <로미오와 줄리엣>이 시대적 분위기를 한껏 살린다.

기치스 모스크바 연극예술 아카데미에서 유학한 뒤 현재 명품극단 상임연출가로 활동하고 있는 김원석씨가 세 작품의 연출을 맡았고, 그가 상임연출가로 활동하고 있는 베르니사쥐 극장의 러시아 스태프와 배우가 결합했다.(김미영 기자)

07. 04. 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