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하디보다 한 세대 앞서지만 자연주의적 세계관의 작가로 같이 묶일 수 있는 러시아 작가는 이반 투르게네프(1818-1883)다. 이번 봄에도 투르게네프의 <루진>과 <아버지와 아들>에 대한 강의가 있었는데, 그의 문학사적 의의는 여러 가지로 짚어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여섯 편의 ‘사회소설‘의 저자로서의 투르게네프다(그에 견줄 만한 것은 단편집 <사냥꾼의 수기>의 저자 투르게네프).

하디의 웨섹스 소설 여섯 편을 거명한 김에 투르게네프의 사회소설에 대해서도 다시 정리해놓는다. 세계문학전집판으로 다시 나오지 않아서 갖는 불만도 토로할 겸. 내가 염두에 두는 건 러시아의 첫 사실주의 소설로 간주되는 <루진>부터 마지막 장편 <처녀지>까지의 여정이다.

<루진>(1856)
<귀족의 보금자리>(1859)
<전날밤>(1860)
<아버지와 아들>(1862)
<연기>(1867)
<처녀지>(1877)

대략 20년간의 여정인데, 장편에 한하여 투르게네프 전작 읽기를 아직 시도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탄생 200주년을 맞아 새 번역본에 나오길 기대했지만 불발로 그쳤기 때문이다. 현재 공백인 작품은 <전날밤>과 <연기>, 그리고 <처녀지> 세 편이다.

러시아문학 강의시에는 투르게네프에 할애된 시간이 많지 않기에 통상 <아버지와 아들>이나 중편 <첫사랑>을 읽곤 한다. 톨스토이의 3대 장편소설이나 도스토옙스키의 5대 장편소설(<미성년>을 빠뜨리면 4대 장편소설) 읽기도 분량이 만만하지 않아서 쉽게 엄두를 내기 어럽지만 번역본이 걸림돌이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투르게네프의 경우에는 번역본이 문제가 된다.

이번 겨울에 한 강의에서 투르게네프 읽기를 기획하고 있는데 4주간 네 작품을 읽는 일정이고 그 가운데는 <루진>과 <귀족의 보금자리>(민음사판 <첫사랑>에 들어 있다), 그리고 <아버지와 아들>이 포함돼 있다. 나머지 세 작품은 언제 다룰 수 있을지 미지수다(<연기>와 <처녀지>는 범우사판으로만 나와 있다). 개인적으로 <연기>는 과거에 대학강의에서 한 차례 읽었고 <처녀지>는 아직 한번도 강의한 적이 없다. 내게 <처녀지>는 말 그대로 ‘처녀지‘다.

투르게네프의 사회소설에 대해서는 국내 전공자의 책으로 이항재 교수의 <소설의 정치학>이 있다(어빙 하우의 책에서 제목을 빌려왔다). ‘투르게네프의 정치학‘을 음미해보기 위해서라도 <전날밤>과 <연기>, <처녀지>, 세 작품의 새 번역본이 나오면 좋겠다. 그렇게 되면 나도 투르게네프 강의를 완성하여 한권의 책으로 묶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