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한겨레의 '책과 생각'에 실은 연재칼럼을 옮겨놓는다. 이언 매큐언의 <속죄>에 대해서 어제 오후에 강의하고 급하게 쓴 글이다. 마감이 지나 초읽기에 몰리는 기분으로 쓴 것이라 기억에 남을 듯하다. 영화 <어톤먼트>의 원작이기도 한 <속죄>는 여러 모로 배울 거리를 제공하는 소설이다...














  


한겨레(19. 05. 10) 모더니즘으로 리얼리즘 구현하기


가장 단순한 질문에 답하고자 하는 걸작들이 있다. 소설의 경우라면 소설이란 무엇인가란 질문에 답하고자 하는 소설들이다. 영국 소설가 이언 매큐언의 대표작 <속죄>(2001)도 분류하자면 소설이란 무엇인가를 질문하면서 소설에 대해 심문하고 성찰하는 메타소설이다. 메타소설답게 <속죄>에는 작가 주인공이 등장하는데 탈리스 가의 막내딸 브리오니가 그 주인공이다. <속죄>는 작가 브리오니가 여러 차례의 개작을 거쳐서 59년간 완성해가기에 그의 첫 소설이면서 동시에 마지막 소설이다. 그 소설쓰기의 과정이 브리오니에게는 속죄의 과정이기도 하다.



1935년, 열세 살의 예비작가 브리오니는 언니 세실리아가 파출부의 아들 로비와 사랑에 빠진 것을 목격한다. 로비는 탈리스 가의 지원으로 케임브리지대학을 수석졸업하지만 탈리스 가의 사람들은 오히려 탐탁찮게 생각한다. 어린 시절을 같이 보낸 세실리아만 예외적으로 로비에게 열정을 느끼고 급기야 두 사람은 서재에서 정사를 나누기까지 한다. 하지만 브리오니에게 로비는 탈리스 가의 질서와 평화를 위협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신분상의 구분과 차이가 그 질서의 핵심이어서다. 브리오니는 손님으로 와 있던 사촌언니 롤라가 누군가에게 성추행을 당하자 로비가 범인이라고 거짓으로 진술한다. 로비는 억울한 죄를 덮어쓰고 감옥에 가며 2차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징집되어 프랑스전선에 배치된다.


자신의 진술 때문에 세실리아와 로비가 불행한 연인이 되어 떨어지고 로비가 전선으로 가게 된 것을 알자 브리오니는 속죄의 시도로서 간호사에 자원한다. 더불어 두 사람을 주인공으로 한 실명소설을 쓴다. 저택에서 바깥을 내다보다가 분수대 앞에 있던 두 사람을 발견하고서 그들의 관계를 처음 의심하게 되었기에 소설의 제목은 ‘분수대 옆의 두 사람’이라고 붙인다. 그 이후로 오랜 세월에 걸쳐서 브리오니는 이 소설을 개작하며 1999년에 일단 마무리짓는다. 구성상 <속죄>는 브리오니가 쓴 3부로 된 소설과 거기에 덧붙여진 1인칭 시점의 후기(1999년 런던)로 이루어져 있다.


단순한 질문을 던져보자. <속죄>의 작가는 누구인가? 브리오니가 작가로 등장하지만 그의 실명소설은 3부까지만이다. 후기까지 포함한 전체 소설의 작가는 브리오니라는 허구의 작가까지 창조해낸 매큐언이다. 이런 이중의 틀을 만든 것은 두 가지 문학관을 대비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보이는데, 바로 소설이란 무엇이고 소설가란 어떤 존재인가란 물음을 놓고 대비되는 두 관점이다. 그것을 간단히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이라고 한다면, 버지니아 울프를 사숙한 브리오니는 모더니즘의 문학관을 견지한다. 그에게 소설가란 절대적인 힘을 가진 신과 같은 존재다. 소설가는 자신의 세계의 입법자이자 창조자로서 전권을 갖는다. 현실에서의 실패나 결핍은 그의 작품 속에서 얼마든지 보상받을 수 있으며 복원될 수 있다. 그런 관점에 따르자면 소설가에게 속죄란 신에게서와 마찬가지로 불가능하며 필요하지도 않다.


반면에 리얼리즘의 문학관에 따르면 소설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모방해야 한다. 아무리 진실이 냉혹하다 하더라도, 독자의 기대나 희망을 죄절시킨다 하더라도 진실에 충실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 리얼리즘의 준칙이다. 놀랍게도 <속죄>는 브리오니가 쓴 모더니즘 소설을 결말의 반전을 통해서 리얼리즘 소설로 바꾸어놓는다. 정확하게는 모더니즘 소설을 통해서 리얼리즘의 정신을 구현한다. <속죄>가 매큐언의 대표작이면서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고 생각하는 이유다.


19. 05. 10.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스코프스키 2019-05-28 19: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소설과 영화입니다. 특히 영화는 다른 영화들 ‘더헌트‘,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 등등과 함게 언급하신 대로 성범죄 무고를 동시에 소재로 취급한 영화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