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매체이론가 프리드리히 키틀러의 주저가 번역돼 나왔다. <축음기, 영화, 타자기>(문학과지성사). 그의 이론서 두 권이 앞서 번역돼 나왔지만 십여년 전 내가 키틀러란 이름과 함께 가장 먼저 소개받고서 영역본으로 구한 책이 <축음기, 영화, 타자기>였다. 그 사이에 두번이나 이사를 했기에 책이 어디에 있는지는 신만이 아실 테지만 그래도 인연이 있던 책이라 번역본 출간이 반갑다.

“‘디지털 시대의 데리다‘‘매체 이론의 푸코‘라 불리며 매체에 대한 독창적인 패러다임을 제시한 독일 매체이론가 프리드리히 키틀러의 대표작이다. 저자 키틀러는 최초의 아날로그 기술 매체들의 태동기였던 1900년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며 새로운 기술 매체들이 가져온 혁명적 변화를 서술한다.˝

이전에 잠깐 살펴본 바로 키틀러는 문학사에 대한 아주 특이한, 즉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대표작이면서도 그나마 가장 쉽게 쓰인 책이 <축음기, 영화, 타자기>라고 하므로 도전해봄직하다. 다른 책들도 이번 기회에 한데 모아두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