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교육문화센터에서 ‘지그문트 바우만 읽기‘ 강의를 마치고 귀가하는 길이다. 담당자의 낙관 덕분에 신청이 저조함에도 폐강되지 않았다(하지만 다음 강의를 기획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겠다). 아무래도 바우만은 경계가 모호한 듯싶다. 대중적이라고 하기엔 어려운 학자이고 전문적이라고 하기엔 또 대중적인 ‘현자‘이기에.

인디고연구소가 기획한 인터뷰 <희망, 살아있는 자의 의무>(궁리)가 다음주까지 읽을 책이고 이어서 말년작인 <레트로토피아>(아르테)와 초기작 <사회주의, 생동하는 유토피아>(오월의봄)를 다음달까지 차례대로 읽는다. 워낙 다작의 사회학자라 유토피아라는 주제에 한정하여 책을 고른 것(<레트로토피아>의 출간이 계기가 되었다).

돌이켜보면 바우만 강의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오래전에 대학의 교양강의예서(‘현대사회의 이해‘인가 그랬다) 교재 가운데 하나로 <액체 근대>(길)를 다루었기 때문이다(수주 동안 읽은 듯하다). 거의 십년 전의 일인 듯싶다. 그간에 바우만 책은 특히 2012년 이후에(<고독을 잃어버린 시간> 이후다) 쏟아지다시피 출간되었기에 읽을 책이 너무 많다. 그나마 2017년 타계한 그를 기리며 기획된 <지그문트 바우만을 읽는 시간>(북바이북)이 길라잡이가 되는 책.

거기에다 개정판으로 이번에 다시 나온 <왜 우리는 불평등을 감수하는가>(동녘)가 다시 읽어볼 만한 책이다. 일부 오역도 교정했다고 하므로 이미 읽은 독자라 하더라도 재독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앞서는 <희망, 살아남은 자의 의무>와 같은 해에 출간되어 인터뷰에서도 언급된다. 다음주 강의는 그 대목에서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새로 나온 개정판을 나도 주문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