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1212호)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 유발 하라리의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에 대해서 썼다. 21가지의 레슨을 제공하고 있지만 주로 데이터 독재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주간경향(19. 01. 28) 빅데이터 알고리즘 시대, 어떻게 살까


<사피엔스>와 <호모 데우스>의 독자라면 이스라엘의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의 ‘제안’도 비켜갈 수 없다. 전작들을 통해 현생인류의 과거와 현재를 명철하게 기술한 하라리는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에서 이제 우리에게 더 나은 미래의 선택이 가능할지 탐문한다. 우리 시대 가장 영향력 있는 역사학자로 부상한 그의 예견과 제언은 무엇인가. 


이미 <호모 데우스>에서 자세히 기술한 대로 인류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단계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고, 이에 따라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생명기술 혁명은 인간의 신체는 물론 뇌와 감정까지도 판독 가능한 대상으로 변화시켰고, 정보기술 혁명은 이를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해주었다. 그렇게 해서 탄생한 빅데이터 알고리즘은 이제 우리 자신보다 우리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게 될 터이다.


과거에는 데이터 처리역량의 한계 때문에 정보를 한곳에 집중하는 사회주의 방식이 정보처리 권한을 분산하는 민주주의 방식에 비해 비효율적이었다. 구소련이 미국과의 체제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인데, 빅데이터의 등장으로 이제 국면이 바뀌었다. 20세기에 장애가 되었던 권위주의 모델이 거꾸로 21세기에는 결정적인 이점을 갖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전망하에 하라리는 현재의 민주주의가 빅데이터 알고리즘 시대, 혹은 인공지능 시대에도 살아남을 수 있을지 의심한다. “민주주의는 근본적으로 새로운 형태로 재탄생해야 한다. 안 그러면 인간은 ‘디지털 독재’ 안에서 살게 될 것이다.”

빅데이터 알고리즘은 민주주의에만 위협이 되는 것이 아니다. 부와 권력이 소수에게 집중되면서 절대다수는 착취의 대상으로 전락하거나 심지어 잉여가 된다. 지금도 최고 부유층 1%가 전세계 부의 절반을 차지한다. 심지어 최고 부유층 100명이 최저 빈곤층 40억명보다 더 많은 부를 소유하고 있는 현실에서 이러한 불평등은 더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육체적·인지적 능력을 증강시키는 고가의 치료술이 개발되면서 인류는 생물학적 계층으로 쪼개질 전망이다. 부유층이 부만 차지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미와 창의력, 건강까지 차지함으로써 ‘소규모의 슈퍼휴먼 계층과 쓸모없는 호모 사피엔스 대중의 하위계층’으로 양분되는 것이다.

컴퓨터가 아니라 우리 인간이 해킹되는 시대에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의 전면적 지배로부터 과연 우리는 벗어날 수 있을까. 자기 존재와 삶의 미래에 대한 통제권을 우리가 갖고자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하라리는 우리가 알고리즘보다, 아마존보다, 정부보다 더 빨리 달려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렇게 달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짐이 가벼워야 한다. 짐이란 다른 것이 아니라 우리가 믿고 있는 허구적 이야기들이다. 무엇이 실체이고 무엇이 허구인가. 확인하는 방법은 그것이 고통을 느끼는지 물어보는 것이다. 민족, 국가, 기업, 돈 같은 것은 결코 고통을 경험할 수 없다. 오직 실체로서 인간만이 고통을 느낀다. 허구적 이야기들에 현혹되지 않고 그러한 고통의 자리에서 모든 것을 재평가하라는 것이 하라리의 주문이다. 


19. 01. 23.














P.S. 세속주의에 대한 설명에서 "1789년 바스티유 감옥으로 몰려가서 루이 14세의 폭군 체제를 무너뜨린 민중을 높이 평가한다."(311쪽)고 나오는데, '루이 14세'는 물론 '루이 16세'의 오기다. 내가 갖고 있는 1쇄의 표기가 그러한데, 이후에 교정되었는지 모르겠다. 하라리 3부작은 이번에 스페셜 에디션판으로도 출간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