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부터 또 책과 씨름하다가('읽느라'가 아니라 '찾느라'다) 다시금 낭패감을 느끼며(이런 식으로는 안 된다!) 그냥 밀린 페이퍼 가운데 하나를 처리한다(이런 페이퍼 거리는 자동 망실되기까지 하루에도 몇 개씩 쌓인다). 아리스토텔레스에 관한 것이다. 그리스 철학 고전 가운데 내가 강의에서 다룬 건 플라톤의 <국가>나 몇몇 대화편,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등이다. 그렇다고 더 욕심이 있는 건 아닌데(다뤄야 할 책들이 부지기수인지라) 한편으로는 기회가 닿지 않기도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같은 경우가 그렇다. 언젠가는 지방의 한 연속강좌에서 정치철학에 관한 강의를 계획하면서 플라톤의 <국가>와 함께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도 커리큘럼에 포함시켰는데, 문학 강의로 바뀌면서 무산되었다. 이번에 <정치학>을 옮긴 김재홍 교수의 가이드북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쌤앤파커스)이 출간되었기에 생각이 났다. 그런 강의의 부교재로 읽어볼 만한 책이다. 





 










'리더스 클래식' 시리즈의 하나로 나왔는데, 앞서 <애덤 스미스 국부론>, <존 론스 정의론>, <존 로크 통치론> 등이 나왔다. 고전의 다이제스트이자 가이드북에 해당하는 시리즈다. 



다시 아리스토텔레스로 돌아오자면 <정치학>의 경우에는 천병희 선생의 번역본과 함께 김재홍 교수의 번역본을 교재로 쓸 수 있다. <정치학>과 함께 다시 떠올린 책은 <영혼에 관하여>(아카넷)다. 이번에 새 번역본이 나와서인데, 예전 궁리판은 절판된 상태였다. '정암고전총서'의 첫 권인데, 정암학당 고전 연구자들의 그리스-로마 고전 번역 총서다. 근간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과 키케로의 <법률론> 등이 예고돼 있다. <영혼에 관하여>의 의의는 무엇인가.


"<영혼에 관하여>는 아리스토텔레스 이론 철학의 최고봉인 <형이상학>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동물/생물 관련 저술들에 다리를 놓는 작업으로 평가받는다. 이 저술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을 비롯한 고대 철학자들의 연구를 총괄하고 비판적으로 사유하여 영혼을 ‘삶의 원동력’으로 논한다."


내년 고전 독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론에서부터 시작해봐도 좋겠다... 


18. 12. 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