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저녁 학교에 있는 서가에서 연구서 한 권을 찾다가 우연히 칸트의 <판단력 비판>(책세상, 2005)를 손에 들게 됐다. 물론 이 책세상판은 제1부에서 '미의 분석론'과 '숭고의 분석론'만을 옮긴 발췌본이다. 완역본이나 영역본이 모두 집에 있기 때문에 굳이 학교에 놓아둘 필요가 없어서 가방에 챙겨넣으려다 역자가 쓴 '들어가는 말'을 읽어보고, 또 거기서 '감성적asthetisch'이란 번역어에 대해서 용어해설을 참조하라고 하길래 그것까지 읽어보았다.

 

 

 

 

흔히 '미감적', '미적'이라고 번역되어온 칸트의 'asthetisch'를 주로 '감성적'이라고 옮기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해놓고 있는데, 서양어권에서 사용하고 있는 '아름다운'이란 표현(schon/beautiful/beau)의 연원이 'asthetisch'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aisthesis'에 있지 않다면서 역자가 인용하고 있는 것이 폴란드의 미학자이자 미술사가 타타르키비츠(1886-1980)였다(국내엔 그의 주저인 <여섯 가지 개념의 역사> 외에 3권짜리 <미학사> 가운데 두 권이 더 출간돼 있다). 

현대 영어에서 말하는 beautiful은 그리스어로는 kalon, 라틴어로는 pulchrum이라고 지칭되었다. 라틴어 명칭은 고대와 중세 동안 줄곧 사용되다가 르네상스 시대에 접어들어 bellum이라는 새 단어로 대체되면서 사라졌다. 이 새 명칭은 유래가 다소 특이한데, '선'을 뜻하는 bonum에서 지소사 bonellum을 거쳐 다시 bellum으로 축약된 것이다. 처음에 이 말은 여성과 어린이에 한정해서 쓰이다가 나중에는 앞서의 pulchrum울 밀어내고 모든 종류의 미를 가리키게 되었다. 현대어에는 pulchrum의 파생어가 전혀 없으니 bellum이라는 단어는 여러 가지 형태로 채택되었다. 즉 이탈리아어와 스페인어의 bello, 프랑스어의 beau, 영어의 beautiful이 그것이다. 그밖의 유럽어는 토착어에서 유래한 독자적 표현을 사용한다. 독일어의 schon, 러시아어의 krasseeviy 등이 그것이다.(178-9쪽)

타타르키비츠를 인용한 이 문단은 원저 'A history of six ideas : an essay in aesthetics'(영어본 1980)의 국역본 <여섯 가지 개념의 역사>(이론과실천, 1990), 144쪽에서 재인용한 것이다. 이 책은 <미학의 기본개념사>(미진사, 1990)라고 다른 번역서가 같은 해에 출간된 바 있으며, 손효주 역의 이 책은 <미학의 기본 개념사>(미술문화, 1999)로 재출간되었다. 그리고 원제의 '여섯 가지 개념' 가운데 '예술' 파트만 따로 떼 번역한 책으로 <예술 개념의 역사>(열화당, 1990)가 있다. 짐작에는 이 세 종의 번역이 거의 동시에 진행되었다가 한꺼번에 출간된 게 아닌가 싶다.

내가 인용문에 흥미를 갖게 된 건 러시아어의 krasseeviy 란 말이 아무래도 미심쩍어서였다. 이론과실천판을 내가 갖고 있는지 기억에 가물가물해서(있다고 해도 박스보관도서이지만) 미술문화판을 구해볼 작정이었는데, 귀가길에 들른 서점에서 뜻밖에도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아직 판매중인 책을 구할 수 있었다(내가 산 건 2006년판 초판 4쇄이다). 1997년에 찍은 미진사판도 품절되지 않고 알라딘에서는 판매하는데 같은 역자의 같은 책이지만 나중에 나온 미술문화판보다 3,000원이 더 비싸다(물론 미술문화판의 후기에서 역자는 이전판의 일부 오역들을 바로잡았다고 했으니 엄밀하게 '같은 책'은 아니겠다). 좀 희한한 시스템이긴 하나 아무튼 450쪽이 넘는 두툼한 책을 12,000원에 사들고서는 제일 먼저 펼쳐본 곳이 역시나 '미: 개념의 역사' 파트였다.

미술문화판의 이 대목 번역(155-6쪽)은 그리스어 kalon을 희랍어로 표기해준 것 말고는 이론과실천판과 대동소이한데, 차이라면 마지막 문장이 "독일어의 schon, 러시아어의 krasseeviy, 폴란드어의 piekny 등이 그렇다"로 마무리되는 것 정도이다. 한데, 여기서도 러시아어의 krasseeviy 라고 내 짐작과는 다르게 표기돼 있었다. 국역본의 대본이 된 영어본을 바로 찾아볼 수 없어서 집에 돌아와 내가 한 일은 이 장의 원출처가 되는 저널을 인터넷으로 뒤져보는 것이었다. 미국미학회가 발행하는 잡지에 실린 '미의 대이론과 그 쇠퇴The Great Theoty of Beauty and Its Decline'(1972)가 그 원출처이다.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Cover Image

다행히도 텍스트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는데, 거기엔 'Russian, krassivyj' 라고 짐작했던 단어가 제대로 표기돼 있었다. 'krasseeviy'와 'krassivyj'는 철자가 전혀 다르다. 어찌하여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추정해보면, (1)영어본의 오타이거나 (2)두 국역본의 오기, 두 가지 가능성밖에는 나로선 떠올릴 수 없다. 그런 오타를 내기도 쉽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두 명의 역자가 똑같은 착시를 일으켰을 가능성도 매우 낮다(비슷한 시기에 출간됐으므로 한 역자가 다른 역자의 번역을 참조했을 리도 없고). 영어본을 확인해보기 전까지는 이래저래 미스테리하다.

참고로, 러시아어의 '아름다운 krassivyj'을 구글에서 검색하면 가장 먼저 뜨는 이미지는 '아름다운 정원'이다. 형용사의 남성형이기에 기대(?)를 약간 벗어나는 것. 러시아 여성들이 아주 듣기 좋아하는 단어이기도 한 '아름다운'의 여성 형용사 'krassivaja'를 검색해야 그래도 기대에 부응하는 이미지들이 조금 뜬다. 아래의 미스 우크라이나처럼...

07. 01. 3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비80 2007-01-31 1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남성형과 여성형의 구분이 있는 단어를 쓰는 나라의 언어관을 호기심을 가지고 지켜본 적이 있습니다. 그런 나라일수록 미학과 철학이 뿌듯하게 발전한 곳이 많은데 이것도 일종의 언어현상과 관련된 것인지. 저는 아주 오래전 잠깐 배운 프랑스어도 남성형과 여성형의 구분때문에 애를 좀 먹었거든요.

로쟈 2007-02-01 0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성구분은 사실 대부분의 서구어들에 공통되는 것인데요. 그렇다고 미학/철학의 발달과 관계가 있을 거 같지는 않은데요. 제 생각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