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마르크스와 함께 투르게네프(1818-1883) 탄생 200주년이었다. 마르크스와는 달리 투르게네프의 경우에는 특별히 그 의미를 되새겨볼 만한 책이 나오지 않았고 내심 기대했던 작품들의 새 번역본도 볼 수 없었다(아직 한달여 시간이 더 남았지만). 그러던 차에 뜻밖에도 산문시집의 새 번역본이 나왔다.

산문 소설가로 잘 알려져 있지만 투르게네프는 작가로서의 경력의 시작과 끝을 시로 장식했다. 그의 산문시들은 보들레르 산문시(<파리의 우울>)의 영향을 받아 쓰였으며 20세기 전반기에 일본과 한국에도 소개돼 호평을 받는다. 일찌감치 다수의 산문시가 번역되어 한국 근대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윤동주의 ‘투르게네프의 언덕‘이다(이에 대해서는 예전에 쓴 글이 있다). 아마도 편수로 보자면 가장 많이 번역된 ‘시인‘ 후보가 바로 투르게네프다.

산문시집은 그간에 김학수 선생의 번역본이 두 종 나와 있는 상태였는데 이번어 조주관 교수의 번역본이 추가되었다. 아무래도 번역에 따라서 다른 질감의 시로 읽힐 수 있기에 투르게네프의 산문시를 음미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나부터도 다시 읽어보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