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사아 학술총서로 거의 유일해 보이는 ‘슬라비카 총서‘가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봄에 제임스 빌링턴의 <러사아 정체성>이 출간된 데 이어서 지난주에는 아델 마리 바커가 엮은 <러시아 소비하기>와 마틴 밀러의 <프로이트와 볼셰비키>가 한꺼번에 나왔다. 모두 책이 기획되는 과정을 지켜본 터라 손을 보태지 않았음에도 보람을 느낀다.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그러니까 1991년 이후 러시아 사회와 문화에 대한 고급 안내서로서 매우 유용한 책들이다.

가령 <러시아 소비하기>는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의 사회와 대중문화‘가 부제로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의 급변하는 사회상과 대중문화를 폭넓게 조망하는 흥미로운 책˝이다. 또 <프로이트와 볼셰비키>는 ‘제정러시아와 소비에트연방에서의 정신분석‘ 수용과 배척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내년에는 20세기 러시아문학 강의의 커리큘럼을 새롭게 짜보려고 하는데(포스트소비에트까지 포함하려 한다) 유익한 참고서들이다. 학술서의 출간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이지만 이 총서의 남은 책들도 무탈하게 출간되었으면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