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차 때문인지 주말이면 잠을 보충하던 습관 때문인지 아침을 먹고는 다시 수면을 청하고 오후가 되어서야 정신을 차렸다(오늘 벌어진 메이저리그 월드시리즈 3차전은 최장경기시간 기록을 세웠군). 내주부터는 다시 일상으로(강의가 일상이다) 돌아가야 하기에 강의자료도 만들어야 하고 책도 읽어야 한다. 가을학기의 후반전을 앞두고 있다고 할까.
자주 다니던 동네 카페에서 익숙한 맛의 커피를 마시며 정신을 가다듬다가 어제 적은 ‘김윤식과 그의 시대‘의 연장선상에서 선생의 문학기행과 예술기행을 떠올렸다. 이 분야의 책들로는 독특하지 않았던가 싶다. 주로 해외 한국학학술대회 참석차 떠났다가 미술관에 들러 만났던 그림들과 작가들의 발자취 이야기를 담았다. <문학과 미술 사이>가 내가 제일 먼저 읽은 책이고 가장 좋아한 책은 <낯선 신을 찾아서>였다. 지금은 모두 절판된 상태. 거기에 더하여 <환각을 찾아서>와 <샹그리라를 찾아서> 등의 책들이 이 계열에 속한다(<김윤식 문학기행>이라는 다소 멋없는 제목의 책도 있긴 하다).
공통적인 것은 ‘찾아서‘라는 말이 담고 있는 갈구와 방황의 정신이다. 훼손된 세계에서 진정한 가치를 찾아가는 문제적 주인공의 여정이 바로 소설의 형식이라고 루카치가 말했던가. 루카치의 세례를 받은 김윤식 비평 역시 근대와 함께 근대 극복을 동시에 지향한 운동의 궤적을 보여준다. 그것은 방황의 여정이지만 <파우스트>에서 괴테가 정식화한 대로 우리는 노력하는 한 방황하기 마련이고 따라서 방황하는 자는 구원에 이를 수 있다. 이것이 괴테(독일문학)의 계산법이다.
독일문학기행은 내게 그러한 독일문학의 유산을 현장에서 한번 더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였다. 내달에는 문학기행 뒤풀이도 계획하고 있는데 뒤풀이 강의까지는 이 문제도 더 정리해봐야겠다. 그런 의미에서 안 그래도 괴테에 관한 책들을 아침에 빼놓았다. 여행을 정리하는 여행은 다시 책속의 여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