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을 교체하고서야 핸드폰은 정상으로 돌아왔다. 핸드폰을 오래 써서 그렇다는데 다행히 기기에는 이상이 없어서 당분간은 더 쓰게 될 것 같다. 독일여행의 여독이 남은 탓인지 비가 오락가락하는 금요일을 요양 모드로 보냈다. 그렇다고 손을 아주 놓은 건 아니어서 ‘당신이 없는 사이에‘ 나온 책들을 가늠하고 필요한 책은 주문했다. 원서들도 주문하거나 장바구니에 넣어두었는데 미국 정치학자 버트럼 그로스의 <친절한 파시즘>(현암사)도 그 중 하나다.

파시즘의 출처는 독일이지만 ‘친절한 파시즘‘이란 용어로 저자가 겨냥하는 것은 미국이다. ‘민주주의적 폭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가 부제이고, 원서의 부제는 ‘미국에서 새로운 권력의 얼굴‘이다. ˝미국 정부 관료 출신의 정치학자인 버트럼 그로스(1912~1997)는 이 책을 통해 민주주의 사회에서 거대기업과 거대정부가 점점 더 강하게 결탁하며 등장할 이른바 ‘친절한 파시즘’이 조용히, 교묘하게 시민적 자유와 권리를 박탈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1980년에 나온 책이지만 마치 한 세대 뒤를 예언이라도 한 것처럼 현재의 미국사회와 세계정치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관점을 제공한다. 친절한 파시즘이라는 유령은 우리에게도 기시감을 불러일으키지 않는지?

˝1980년에 초판이 출간된 이 책은 미국을 중심으로 일어날 파시즘적 경향을 도발적이며 독창적으로 분석해냈다고 평가된다. 특히 2016년 말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이 책은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위협이 도래할 미래를 정확히 예견한 분석으로 재조명되며 새로운 고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노엄 촘스키, 마이클 무어 등 여러 진보적 지식인들은 미국이 국제정치 무대에서 도발할 때마다 이 책과 “친절한 파시즘”이라는 용어를 소환하고 있다.˝

파시즘이라는 주제와 관련한 기본서는 케빈 패스모어의 <파시즘>(교유서가)과 로버트 팩스턴의 <파시즘>(교양인)이다. 팩스턴 책의 원제는 ‘파시즘의 해부‘인데, 말 그대로 ‘파시즘의 모든 것‘을 알려준다. <친절한 파시즘>을 그 옆에 꽂아두어도 좋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스코프스키 2018-10-27 2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념서는 책세상에서 출간한 ‘파시즘‘도 있는데 이 도서랑 목록의 교우서가 도서랑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요? 당돌하고 광범위하게 느낄 수 있는 질문 좋고 갑니다...

로쟈 2018-10-27 21:13   좋아요 0 | URL
책세상판은 국내 전공자가 쓴 책이고요, 교유서가판은 옥스포드대학판 ‘아주 짧은 입문서‘ 시리즈의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