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자 한겨레에 실린 '책과 생각' 꼭지를 옮겨놓는다.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에 대해 강의하는 겸 오랜만에 작품과 관련서들을 읽고 적었다. 번역본은 황현산 선생의 번역본 외에도, 김현, 김화영 선생의 번역본들을 참고했다. 기억에 가장 처음 읽은 건 중학생 때 전성자 교수의 번역본이었던 것 같다. 같이 읽어볼 만한 참고도서는 많은데, 가장 유익한 건 절판되긴 했지만 오이겐 드레버만의 <장미와 이카루스의 비밀>(지식산업사)이다. 최근에 나온 야스토미 아유미의 <누가 어린왕자를 죽였는가>(민들레)는 일본에서의 <어린왕자> 연구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들을 제공한다. 그밖에 크리스토프 킬리앙의 <어린왕자 백과사전>(평단)은 <어린왕자>의 독자들에겐 기본서. 생텍쥐페리가 어머니에게 쓴 편지나 아내와 친구의 회고록 등도 번역돼 있다...



한겨레(18. 08. 17) 당신은 여전히 ‘어린 왕자’를 읽나요?


전 세계 독자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프랑스문학 작품을 꼽으라면 단연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다. 100여 종이 넘는 번역본이 출간된 우리에게도 사정은 같다. 생텍쥐페리 자신이 직접 그린 삽화로도 유명한 <어린 왕자>를 읽지 않은 독자가 과연 있을까 싶을 정도로 이 작품은 친숙하다. 하지만 그런 친숙함이 곧바로 <어린 왕자>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만은 아니다. 어린이들이 가장 많이 읽는 동화, 아니 동화 아닌 동화이지만, 과연 어린이라면 <어린 왕자>를 아무런 해설도 경유하지 않고 바로 이해할 수 있을까.

 

아주 오랜만에 <어린 왕자>를 손에 들면서 궁금했다. 최근 타계한 불문학자 황현산 선생은 번역가로서 보들레르와 프랑스 상징주의 시 번역에 가장 큰 공을 들였지만 <어린 왕자> 번역자로도 이름을 올렸다. 비록 짧은 분량의 작품이긴 하지만 네 번이나 고쳐서 책을 낼 만큼 정성을 들이고 또 욕심을 낸 번역본이기도 하다. 그 번역본에 붙인 해설에서 선생은 이 해설이 어른들을 위한 것이라고 어린이 독자들에게 미리 양해를 구한다. “어린이들은 보아뱀의 겉모습을 보고 그 속을 알 수 있는 능력이 있기에 사실 이런 해설이 필요없다”는 것도 이유다.



<어린 왕자>의 해설은 코끼리를 소화시키고 있는 보아뱀 그림을 보고서 모자를 그린 걸로만 생각하는 ‘우둔한 어른’들을 위한 것이다. 그렇다고 어른들이 <어린 왕자>의 독자로서 자격이 없는 것은 아니다. 정작 이 작품의 화자로서 사막에 불시착하여 우연히 어린왕자를 만난 조종사 ‘나'도 어린왕자와는 달리 양이 들어가 있는 상자를 꿰뚫어보지 못한다. 그는 자조적으로 “어쩌면 나도 얼마큼은 어른들처럼 되어 버린 것은 아닌지” 미심쩍어 한다. 그렇지만 이 ‘얼마큼은 어른', 한때 어린이였지만 지금은 더이상 어린이가 아닌 이들이 <어린 왕자>의 이상적 독자가 아닐까. 작가 생텍쥐페리가 바로 그런 존재였다. 그는 더이상 어린이가 아니어서 어린시절의 분신으로 여겨지는 어린왕자와 분리되어 있다. 하지만 여전히 어린이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서 어린왕자의 친구가 된다.

 

아버지가 네 살 때 세상을 떠난 생텍쥐페리에게는 특히 그러했지만 어린이에게 어머니는 절대적인 존재다. 어머니는 사랑을 주기도 하지만 동시에 요구한다. 어느날 어린왕자의 별에 씨앗으로 날아온 꽃나무는 그런 어머니를 닮았다. 꽃은 아침마다 꼼꼼한 화장을 하고서야 모습을 드러내면서도 방금 일어난 척하며 어린왕자에게 식사 시중을 요구한다. 바람이 끔찍하다면서 바람막이도 요구하고 거짓말을 꾸미다가 들통나면 억지 기침을 함으로써 어린왕자를 괴롭힌다. 향기와 아름다움에도 불구하고 꽃의 심술궂은 허영은 어린왕자를 불행하게 만든다. 어린왕자가 자기 별을 떠나게 된 이유다.



지구에 와서야 어린왕자는 자기 별의 꽃이 장미라는 걸 알게 되며 한 정원에 그와 같은 장미꽃이 5천 송이나 피어 있는 것을 보고 슬퍼한다. 자신이 유일하다고 했던 꽃이 상심할까 염려해서다. 이때 어린왕자에게 여우가 나타나 길들인다는 것의 의미를 알려준다. 물을 주고 벌레를 잡아주는 것은 물론 바람막이까지 씌어주었기에 그의 장미는 여느 장미와 다른 유일한 장미이며, 그는 그의 장미에게 책임이 있다는 걸 깨닫는다. 어린왕자는 별을 떠난 지 일년 만에 다시 그의 별로 돌아간다. “난 꽃을 사랑하기엔 너무 어렸어”라는 게 조종사에게 토로하는 말이지만 그의 별을 떠난 지 고작 일년밖에 되지 않은 걸 고려하면 그 깨달음은 작가 생텍쥐페리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친구를 갖고 싶어서 자기 별을 떠난 어린왕자가 다시금 그의 별로 돌아간 것을 성장이라고 볼 수 있을까. 황현산 선생은 “이 번역은 때때로 ‘엄숙하게' 말할 줄 아는 어린이들을 위한 것”이라고 적었다. 때때로 엄숙하게 말하더라도 어린이는 어린이다.


18. 08. 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