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대해서 말하는 건 중언부언이지만 한여름 독서의 최대 적인 것만은 분명하다. 다음주에는 사정이 나아질는지, 당장 오늘밤은 어찌해야 할는지 자다말고 일어나서 몇 자 적는다. 잠깐 잠들기 전에 읽은 책은 요즘 강의하는 제발트의 <공중전과 문학>(문학동네)이다. 책이 처음 나왔을 때 놀라운 제목이라고 경탄만 하고 바로 읽지는 않았는데, 막상 읽으니 아무래도 제목이 오역 같다.

독어 원제는 ‘Luftkrieg und Literatur‘(1999)인데, ‘문학‘이야 오역의 여지가 없고 문제는 ‘공중전‘이다. ‘Luftkrieg‘를 검색하면 ‘군사 항공전, 공중전‘이라고 나오는데, 국어사전에서 항공전과 공중전은 ˝항공기끼리 공중에서 벌이는 전투˝를 뜻한다. 하지만 제발트가 이 단어로 뜻하는 건 항공기를 통한 폭격을 가리키는 ‘공습‘이다. 짐작에 독어의 ‘Luftkrieg‘는 우리말 ‘공중전‘보다 의미역이 넓어서 공중전과 공습까지도 포함하지만, 한국어 공중전에는 공습의 의미가 들어 있지 않다(한국어 ‘공중전‘에 잘 대응하는 것은 영어의 ‘dogfight‘다).

2차세계대전 말기 영국 공군의 폭격으로 인한 피해를 말하면서 ˝독일 민간인 60만 명이 이 공중전으로 희생되었다는 것˝을 지적하는데, 나는 ‘공중전‘이란 말이 눈에 거슬린다(민간인 60만 명이 공중전에서 사망한다?). ‘공중폭격‘이나 ‘공습‘이라고 해야 맞다. 독어에 ‘공중폭격‘을 뜻하는 단어가 따로 있어서 역자가 구분해서 번역했는지 모르겠지만 제발트의 이 책(강연)에서는 같은 뜻이다. 제발트가 문제삼는 건 처음부터 끝까지 폭격이지 결코 공중전이 아니다.

번역본이 반양장본과 양장본으로 두 차례 나오면서 제목이 교정되지 않은 것은 특이하게 여겨진다. ‘공중전과 문학‘‘이라는 제목이 멋있게 여겨져서였을까? 하지만 나로선 ‘공중폭격과 문학‘이라는 의미가 가려지는 바람에 제발트에 대한 이해에 혼동을 준다고 생각한다. 불만스럽다는 뜻이다. 폭격은 공중전 같은 쌍방간의 전투가 아니었다. 제공권을 장악한 연합군의 일방적인 폭탄 투하였고, 이로 인해 많은 독일 도시가 초토화되었다. 제발트가 문제삼는 건 그 트라우마와 그에 대한 문학적 망각이다. 그리고 이는 제발트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이다.

한편 같은 책의 영어판 제목은 ‘On the Natural History of Destruction‘(2003)이다. 직역하면 ‘파괴의 자연사에 관하여‘가 될 텐데 우리말 번역으로는 역시 오해의 소지가 있다. 그리고 아마도 제발트 생전이라면 동의했을지 의구심이 든다(제발트는 영어판이 나오기 전인 2001년에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난다). 좀 풀어서 얘기하면 ˝폭격으로 인한 파괴를 자연스러운 것처럼 간주해온 역사를 비판한다˝는 뜻을 담아야 한다. ‘파괴의 자연사에 관하여‘는 아무래도 불충분하게 여겨진다. 사정은 ‘공중전과 문학‘도 마찬가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로회복 2018-08-07 10: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선생님, 안녕하세요. 『공중전과 문학』 담당 편집자입니다. 제발트의 저서들을 관심 있게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지나가다 리뷰로 남겨주신 의견 읽고, 번역어 선택의 무게에 대해 새삼 되새기며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선생님의 의문에 공명하며 몇 자 남기고 싶어 올립니다.

먼저 <공중전>이라는 번역어를 납득하게 된 배경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편집 과정에서 <Luftkrieg>의 번역어로 <공중전>을 납득한 것은 해당 단어가 <전투기를 이용해 치르는 전쟁>이라는 의미를 아우를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제발트가 본문에서 공중폭격/공중습격을 지시하는 단어로 <Luftangriff>를 사용하고 이와 별개로 (육지나 해상이 아닌 장소인) 공중에서 공격이 시작된 전투를 <Luftkrieg>로 지칭하는 만큼, 독자들에게 구별하여 보여주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의미를 넘어서긴 했지만 한국어판 독자로서 최선의 선택지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참고로 <공중전과 문학> <알프레트 안더쉬론> <장 아메리론> <페터 바이스론>이 묶인 영역본 『파괴의 자연사에 관하여』(앤시아 벨 옮김)에서는 <Luftkrieg>와 <Luftangriff>가 각각 <air war>와 <air raid>로 구별되어 번역되어 있습니다. 또한 영역본 제목에 대해 한 사람의 독자로서 의견을 덧붙이면, 인간의 역사가 총체적 파괴를 계기로 자연사(인간사회의 영락)로 다시 빠져들어갔던 순간을 다른 종의 눈으로 관찰하는 듯 기술하려 했던 제발트의 의도를 새긴 것이 아닐까 합니다. 이 책 2장 도입에서 제발트가 직접 쓴 구절이기도 하고요..

선생님 말씀 덕에 제목과 단어에 대해 다시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본의 아니게 긴 글을 적게 되었지만,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로쟈 2018-08-07 22:52   좋아요 0 | URL
네, 댓글 감사합니다. 영어에서 air war는 항공작전이란 뜻도 같는데, 우리말 ‘공중전‘에는 그런 뜻이 없어요. 차라리 항공전이라고 했다면, 항공작전의 뜻으로 이해할 수 있을 텐데, 공중전은 말 그대로 공중에서의 전투를 뜻합니다. 공습이나 폭격의 의미를 구겨넣기가 어렵다고 생각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