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을 먹으면서 펼쳐본 책은 다양한 커리어의 저자들이 공저한 <광기와 소외의 음악>(생각의힘)이다. 부제처럼 붙어 있는 나머지 제목이 ‘혹은 핑크 플로이드로 철학하기‘. 원제가 ‘핑크 플로이드와 철학‘이다. 핑크 플로이드의 노래는 앨범 제목이기도 한 <더 월>(1979)밖에 모르지만(고등학교 때인가 갓 졸업했을 때인가 처음 다녀본 카페에서 늘 틀어주던 뮤직비디오가 ‘더 월‘이었다. ˝우리는 교육이 필요 없어요.˝) ‘광기와 소외의 음악‘이란 건 알겠다.

˝지난 반세기 동안 수억 장의 음반을 팔아치우며 전설의 반열에 오른 핑크 플로이드는 보통 사람들의 삶을 소외시키는 현대사회의 광포성을 날카로운 풍자와 알레고리로 고발하고, 대중음악의 산업 논리를 거부하며 끊임없이 음악적 인식의 지평을 넓혀왔다.

핑크 플로이드에 대해 말하기 위해서는 서구 대중문화의 근간이 뿌리내리고 있는 현대적 삶의 어두운 면을 정치사회적, 철학적 맥락에서 광범위하게 들여다보아야 한다. 이들은 오랫동안 철학자들이 분석하고 숙고해왔던 경험, 개념, 이론의 상당수를 깊이 다룬 작품 세계를 완성해냈다. 그 안에는 소외의 본질과 이유, 존재의 형이상학, 부조리, 인지, 정체성 그리고 예술적, 상업적인 진정성의 본질이 담겨 있다. 당연한 말이지만 광기도 있다.˝

그래서 철학적 성찰거리가 된다는 것. 요즘이야 모든 음악(과 뮤직비디오)을 인터넷상에서 곧바로 감상해볼 수 있으니 책을 읽기에도 좋은 조건이다(음악을 보고 듣지 않는다면 읽어나갈 수 없는 책이기도 하다).

대중문화와 철학을 다룬 책들이 간간이 나오고 있다. 캐스 선스타인의 <스타워즈로 본 세상>(열린책들)도 그렇고(영화쪽은 따로 묶어도 될 정도다), 사이먼 크리칠리의 <데이비드 보위>(클레마지크)도 그렇다. 국내서로는 평전 형식이지만 강헌의 <신해철>(돌베개)이 크리칠리의 표현을 빌면 ‘그의 영향‘을 다룬 책이다.

˝강헌은 신해철의 쉼 없는 새로운 시도와 과감한 행보, 탁월한 예술적 문제 설정 능력이 1990년대 한국 대중문화의 폭을 넓혔으며, 음악이 지성적으로 사유되는 동시에 대중에게 깊은 감동을 줄 수 있음을 증명했다고 말한다.˝

대중음악의 팬들이 책을 통해서도 음악과 만나면 좋겠다. 출판계에서 하는 얘기로, 서태지의 열광적인 팬이라도 서태지에 관한 책은 읽지 않는다. 핑크 플로이드의 팬들은 다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