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난주초 날이 제법 따사해서 모두의 마음이 봄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혹시 새 눈이 움트나를 알아보려고 개나리 주변에서 서성거릴 때...  이제 전역만을 기다리는 그 병사가 오는것이 보였습니다. 제 주변에 있던 사람들은 조금은 의아했지만 반갑게 그 병사를 맞이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친구 3명과 함께 왔습니다.

2. 그 일행을 사무실로 안내하여 따뜻한 차를 대접하며 그간(그간이랬자 며칠 안되는 기간입니다만) 어떻게 지냈나를 물어 보았습니다. 늘 그랬듯이 그는 언제나 맑고 밝은 얼굴이었고 오늘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는 이제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얼마 되지않아 시력을 다 잃게 될것이고  그렇게되면 보고 싶어도 볼 수 없기에 완전 실명이 되기전에 과거를 다시 한번 둘러보고 싶어서 왔다는 것입니다.

3. 참으로 답답했습니다. 그런 말을 아무렇지도 않은듯이 말을 하는 그 녀석을 한대 쥐어박고 싶었습니다.  시력은 어떻냐는 질문에 그 녀석은 점점 나빠진다고 답을 하더군요. 물론, 그 친구의 마음을 모르는바가 아니지요. 더구나 저도 생각을 못했던 그런 일을 생각해 냈다는것이 가슴을 더욱 아프게 하더군요.

4. 그런데 그런 제안을 그와 동행했던 3명의 친구들이 했다는 말을 듣고는 깜짝 놀랐습니다. 자기들의 친구가 시력을 상실하여 간다는 사실을 알게된 그의 친구들이 많지는 않지만 나름대로의 돈을 염출해서는 친구의 아름다웠던 과거의 기억이 담긴 풍경들을 가슴속 깊이 새겨주고 싶었던 것이었겠지요. 역시 그들의 의견도 제 생각과 별반 다를바가 없었습니다.

5. 젊은 친구들....어쩌면 젊다는것 하나만이 커다란 자산이 될수 있는 그들이 감히 상상도 못했던 일을 하는 것입니다. 그 이야기를 듣는 순간 저는 제 자신이 참으로 초라해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기성세대라고...젊은 사람들의 잘못만 봐왔고, 또 그들의 잘못을 고쳐주려고 질책만을 해 왔던것이 아닌가 하는 자괴감도 들었습니다. 혹시 그들이 직업을 갖지 않았기에 이번의 일이 가능한가를 물었더니...그들은 나름대로 다들 직업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직장에 휴가원을 내고는 그들의 친구를 위해 마지막 세상보기에 동행을 한것입니다. 아니 그들의 세상보기 행사에 병사를 동반시킨것이겠지요.

6. 저도 많지는 않지만 얼마간의 여비를 지원해 주었습니다. 그리고는 그들의 손을 꼭 쥐어주면서 제가 생각해내지 못했던 일을 계획한 그들에게 진심으로 고맙다는 말을 했습니다. 비록 그 병사의 눈은 실명이 되겠지만, 그를 지켜주는 진정한 친구들....  적어도 이번 일을 꾸민 그들이라면 그들의 우정은 영원하리라 믿습니다. "마지막으로 세상보기"를 계획했던 친구들과 그 병사의 머릿속에는 며칠간이 될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지금까지 살아온 날들보다 지금 보는 세상의 풍경들이 영원히 머릿속에 각인이 될것입니다. 다만, 한가지 소원이 있다면 그 병사의 시력감퇴가 더 이상 진전되지 않고 그나마 남은 시력으로라도 더 많은 세상을 둘러볼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 如      村 >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Smila 2004-02-23 0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 병사의 시력감퇴가 더 진전되지 않기를 진심으로 빌고 싶네요....

비로그인 2004-02-23 0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스밀라님의 마음이 그에게도 꼭 전달될것이라고 믿습니다. 사실...전해듣는 입장에서는 강 건너에서 난 불일지도 모릅니다만, 바로 제 부하이며 제가 처리해야 하는 일이기에 제게는 정말로 커다란 아픔이랍니다. 스밀라님의 마음은 저나 그 병사에게는 커다란 힘이고 위안이 될것입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가을산 2004-02-23 1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혹시 이미 알아보고 계실지 모르지만, 그 병사가 앞으로 살 지역의 중도장애인 동호회 혹은 시각장애인을 교육하는 학교와 연결을 시켜주심이 어떨까요?
또 완전히 실명이 되기 전에 점자라든지, 실명인을 위한 컴퓨터 자판이나 화면에 뜬 글자를 읽어주는 프로그램 등을 익혀두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요즘은 왠만한 책은 오디오북이나 문서파일을 소리로 읽어주는 프로그램이 있어서 인터넷과 이런 책을 통해 지속적으로 세상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제가 본 실명인들 중에 사회복지사 혹은 속기사 자격을 따서 사회생활을 지속하는 분도 계셨습니다. (지금은 연락이 안되지만...) 실명하기 전에 이런 자격증을 준비하는 것은 어떨지요?

비로그인 2004-02-23 1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을산님의 친절한 안내에 감사드립니다. 그 친구가 이제 26일에는 전역을 하게 되면 신고를 하러 올곳입니다. 그 때 가을산님의 말씀을 자세히 알려주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한가지 걱정이 되는것은 대부분의 운동 선수들이 그렇지만 공부보다는 운동에만 전념하였기에 학력 수준이 매우 낮다는 사실입니다. 저도 영어회화와 컴퓨터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고 있기는 하지만 원체 기반이 없는지라 무척 힘들어 하더군요. 어느 정도인가하면 외국에 시합을 나가서도 전혀 영어는 물론이고 자신이 아프다는 말도 표현하지 못합니다. 한문으로 자신의 이름자를 쓰는것도 힘들어 하는 선수가 있기도 하고, 출입국 신고서의 영어나 한문을 몰라서 대필을 해 주는 경우가 허다한것이 실정입니다. 이런 선수들을 탓하기 이전에 우리나라의 엘리트 체육의 허점을 바꾸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지만 쉬운일이 아니더군요. 우리가 중동어를 모르기에 그 상회ㅏㅇ에 대한 현지어를 한글로 알고 사용하는것과 마찬가지로 아주 초보적인 영어도 한글로 토를 달아주기를 원하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복싱을 했던 이 선수는 지금의 처지가 극한 상황이라는 것을 인식하도록 하여서 가을산님께서 자세히 알려주신 내용들이 있음을 알려주도록 하겠습니다. 반드시 실명이 바로 삶의 끝이 아니고 순응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많은 조언을 하겠으며 안내해주신 중도장애인 동호회(전화번호는 찾아야 하겠지요?)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안내를 해 주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이 친구를 위해 가을산님께서 도와주실수 있다면 많은 도움을 주실것을 부탁드리면서 다시한번 고마움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