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이 초복이란다.
어렸을 때는 초복, 중복, 말복의 개념이 없이 그냥저냥 살았지만,
직장인 생활을 하다보니, 나보다 나이가 지긋하신 분들의 복날을 챙기자는
개념에 휩쓸려 본의 아니게 보양식을 먹으러 간적이 여러 차례였었다.
사무실마다 직장상사나 오너의 사고방식이 달라서 어떤 오너의 경우 복날
닭먹으러 가서 자기 것만 계산을 하고 쏠랑 빠져나오는 치사 졸렬의 극치를
경험한 적도 있었고, 비싼 멍멍탕을 직책이 높은 장급들만 몰래 데리고 나가
사먹이고 밑에 직원들에게는 삼양라면에 계란도 안사주는 사람차별 오너도
경험했었다.
그래도 비교적 지금 사무실의 경우 인원도 적고, 오너의 마인드가 경험했던
다른 오너들의 치사, 졸렬, 차별 과는 거리가 먼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분이다
보니, 보양식으라는 개념으로 복날을 챙겨 먹었던 적이 여러 차례였었다.
특히 2년전에는 태어나서 처음으로 멍멍탕을 먹으러 갔었다.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쪽에 위치한 꽤 유명한 집으로 갔었던 적이 있었다.
복날이라 그런지 엄청난 인파가 있었고 여자손님도 꽤나 많았던 기억이 난다.
멍멍이 고기만 수십년을 장사해 온 사장님은 나이가 지긋한 양반이셨고
독창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있으셨다. 수육이나 전골을 손님상에 올리고 나서
절대 그 뚜껑을 못열게 손님들을 협박했고, (소문에는 뚜껑 자주 열던 손님은
주인양반에게 내쫒김을 당한 적도 있다고 한다.) 2인분 이상되는 고기는 도마와
칼을 들고 손님상으로 직접 오셔서 코앞에서 고기를 썰어주신다는 것이다.
수십년 똑같은 일상이 반복되시다가 결국은 무릎에 관절염이 오셨고, 이런 결과로
이러한 서비스에 낚시 의자라는 아이템이 추가 되었다고 한다.
처음 먹어보는 멍멍이 고기..일명 `단고기'는 사준 오너의 성의상, 호기심 발동 기타
등등의 원인으로 몇점 집어 먹었었다.( 오히려 같이 끓이는 미나리를 더 많이 먹은
기억이 난다.) 그러나 역시....멍멍이 고기도 받는 사람만 받는다고 복날 다음날부터
토사광란을 이틀동안 일으켰었다. 역시 견공들의 저주를 온몸으로 받은 듯 하다.
그 후, 탕이라는 메뉴로 멍멍이고기를 접해 봤었고, 하룻동안의 걸쭉한 뒷감당 후....
멍멍이 고기와는 궁합이 맞지 않는다는 사실에 봉착하고 나서, 먹어서는 안될 식자재
품목에 올려 버렸다.
역시 나에게 멍멍이는 식용보다는 애완용쪽이 궁합에 더 맞는 듯 하다..
뱀꼬리1 :
그래도 육질 자체나 고기맛은 나쁘지 않았다는..측근의 누구처럼 탕을 휘저었더니
멍멍이 귀가 동동 떠버리는 엽기적인 상황을 경험하지 않아서 그런가....??
뱀꼬리2 :
복날 삼계탕 집에 가는 일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옛날 복날에 삼계탕집 가서 겨우 자리집고 겨우 먹고 있다가 종업원에게 물 달라고
이야기 했다가 `니가 떠먹어~!!' 란 소리까지 들은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