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讀書記錄 170608

 

natural running

 

자세를 바꿔 달려보자.

 

* 밑줄긋기

p48 러닝화에 쿠션을 넣은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p49 신발이 점점 무거워지고 부드러워지면서 여전히 자연스러운 달리기 역학을 따라 훈련을 받던 정상급 선수들에게는 도움이 덜 되었고, ...

p56 치러닝 ChiRunning, 진화론적 달리기, 걸음 역학, 맨발 달리기 등의 최근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약간 몸을 앞으로 숙이고 짧은 보폭과 엉덩이 바로 밑에서 디디는 이런 자연스러운 달리기 기법을 많이 반영하고 있다.

p59 중간 발로 디디는 것

p60 자연스럽고 중간 발을 뛰는 것 같은 가벼운 신발을 추천하다.

p69 달리기는 간단하지만 다음에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이나 기술 없이 한 다리를 들은 후에 다음 다리를 디디는 것처럼 마냥 간단하지만은 않다.

p89 뒤꿈치로 내딛기는 운동과 적응을 시작하는 것이고 걷는 걸음에서 주로 사용된다.

p91 달리기는 걷는 것이나 질주하는 걸음걸이가 아니다. 달리기는 지표면과 가볍게 인지하고 나머지 부분은 그 다음에 가볍게 땅에 내딛는다.

p100 자연적인 표면에서 맨발로 달리는 것만큼 자연스러운 것은 없다.

p133 몸의 중심 아래에서 발의 중간과 앞부분으로 가볍게 디디고, 약간 앞으로 상체를 기울인 체 서서, 팔꿈치를 90도로 구부리고 몸에 가깝게 붙여 팔을 흔드는 자세를 취하며 약간 보폭을 넓게 하는 자연스러운 달리기는 달리기 할 때 최적의 경제성을 가져다 줄 수 잇다.

p150 내가 그에게 괜찮으냐고 묻자 그는 웃으며 나에게 죽어도 괜찮으니까 나는 완주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런 그를 보면서 나는 그의 저런 태도가 곧 비극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생각했다.

p151 이것은 우리 모두가 원하는 곳에 너무 빨리 도달하기를 원하는 것이다. 나는 이것으로 패스트푸드 사고방식이라고 부른다.

p166 그들은 이미 비효율적으로 달리는 달리기에 효율적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p167 몸을 자연스럽게 달리도록 바꾸는 것은 인내와 시간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讀書記錄 170608

 

낯선 시선

 

p47 내 관심사는 여성과 말의 관계다. 수천 년 동안 가부장제가 유지될 수 있었던 요인은 인간 행동에 대한 차별적 평가에 있다. 폭력, 언어, 에서 두드러진다. 흔히 이중 잣대라고 하는데, 오랜 세월 동안 이 세 가지는 남성에겐 근접할 수 없는 영역이었다.

 

나는 정희진 씨 주장에 동의한다. 그러나 이론가의 입장에서 몇 가지 생각할 점을 던진다.

 

얼마 전 엄지 장갑이란 단어를 알게 되었다. 이것은 이전에 벙어리 장갑으로 부르던 것이다. 그러나 벙어리단어에 언어 장애인 비하의 의미가 있어 바꿨다고 했다.

 

중학교 때, 국어 선생님이 age를 가리키는 말 중에 나이와 같은 순우리말은 하대 下待의 의미로, 연세, 춘추와 같은 한자는 존칭으로 사용된다고 하셨다. 그리고 이것은 사대주의에서 비롯된 문화라고 하셨다.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언어를 사용해야 되나요라는 질문에 선생님께서 답을 주시지 않으셨다. 내가 보기에 벙어리언어 장애자라고 용어를 바꾼 것은 우리말을 한자로 바꾼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나는 사회적 합의를 따른다.)

 

요즘 거의 사용하지 않는 단어로 튀기가 있다. 혼혈인을 비하하는 단어였다. 사회에서는 비속어의 의미가 있는 튀기대신에 혼혈인을 사용하도록 했다. (이 역시 우리말을 한자로 바꾼 것이다.) 당시 혼혈인은 가치중립적이었다. 그러나 혼혈인이라는 단어에 부정적이 감정이 실리면서 다문화 가정이라는 용어가 대신하게 되었다. ‘다문화 가정이라는 용어가 보편할 될 때의 사회적 상황이 동남아 국가 출신이나 피부색이 짙은 사람의 비율이 늘면서 다문화 가정에 다시 부정적 감정이 실리기 시작한다. 최근에는 앞에서 언급한 사람들에게는 다문화 가정이라는 말을 쓰고, 백인과의 다문화 가정은 ‘백인 혼혈이라는 말로 긍정적 감정을 실으려 하고 있다.

 

감옥-교도소도 비슷한 궤적을 보인다.

 

내가 주장하는 바는 언어가 사람의 행동, 문화를 결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람의 행동, 문화가 언어를 결정(하기도 )한다.

 

Feminism의 어원 female은 남성을 젖먹이는 사람(으로 가치가 있다는 것)으로 여성 비하적 용어였다. 그러나 여성 참정권의 쟁취 이후, 긍정적 감정이 실리기 시작했다.

 

뱀발) (국어 문법으로는) 사람은 임신을 하고, 동물은 새끼를 밴다. 요즘은 동물에게도 임신을 했다는 표현을 쓴다. 동물의 권리가 상승된 것인지, 아니면 한자 사대주의가 강화된 것이지?

 

p81 여성혐오 ... 이 말은 영어 미소지니 misogyny’의 번역이다. 부정적 의미의 접두사 ‘mis-’와 여성을 뜻하는 ‘gyn’의 합성어다. 여성 외에도 외국인, 동성애자, 나이든 이들, 공산주의자가 혐오의 주요 대상이 되어 왔다. 외국인에 대한 제노포비아, 동성애자에 대한 호모포비아가 그것이다.

 

내가 반복해서 주장했던 것을 정희진 씨가 언급한다. 여성 혐오는 약자 혐오, 소수자 혐오와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여성 혐오에 약자 혐오를 언급하는 것은 여성 혐오 주장을 희석시키는 것이 아니다. 해결책이 동일하기 때문에 함께 취급하는 것이 맞다.

 

p82 모든 번역은 의역일 수밖에 없다. 여기서 의역은 직역 대 의역이란 의미의 의역이 아니다. 사실 직역은 가능하지 않다.

 

이 주장 역시 내가 반복해서 언급했던 것이다. 외국어 번역뿐만 아니라, 한국의 상황을 한국말로 표현해도 p82 사회에 있는 사물이나 현상에 대해 100% 정보 손실 없이 표현할 수 있는 언어란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정도 차가 있다. 번역은 그 오차가 더 심하다. 따라서 세상에는 남성의 언어만 존재하고 여성 언어가 존재하지 않아요라는 말은 하나마나한 말이다. 오차 없는 측정이란 세상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6-08 08: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이버 국어사전에 ‘임신‘을 검색해봤어요. ‘임신‘의 뜻이 ‘아이나 새끼를 뱀‘이라고 나옵니다. ‘임신‘이 인간과 동물에게 쓸 수 있는 단어입니다.

마립간 2017-06-08 10:40   좋아요 0 | URL
제가 ‘예전 국어 문법으로는‘으로 써야 될 것을 ‘예전‘을 빼고 글을 썼네요. ‘우리 말 올바르게 사용하기‘의 내용을 담고 있는 단행본 도서에서 읽은 내용입니다. 아마 그 책 출판 이후에 국어 문법이 바뀐 모양입니다.

제 학창 시절에는 ‘깡총 깡총‘, ‘껑충 껑충‘이 문법에 맞는 글이었습니다. 언제가 ‘깡충 깡충‘이 문법적으로 맞을 시기 올 것을 예상했었는데, (정말) 언제가 바뀌었더군요.

문법과 언어 습관과의 격차에 어떤 정밀한 가치판단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 저는 사회 생활에 문제가 없다면 문법에 벗어나도 제 학생 시절의 언어 습관을 유지하려 합니다.

겨울호랑이 2017-06-08 09: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벙어리 장갑이 엄지 장갑으로 바뀌었군요.. 제가 사용하는 언어도 저와 함께 늙어가는 것 같습니다..

마립간 2017-06-08 10:42   좋아요 2 | URL
삶이 그렇죠 뭐.^^

저는 부모님과 언어가 다르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는데, 아이와는 언어 사용이 꽤 다르다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특별히 도덕적 문제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아이의 언어 습관을 그냥 인정하고 있습니다.
 

 

* 身邊雜記 170607

 

- 운동 3일 휴식 후에

 

누가 처음에 한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하루를 연습하지 않으면 내가 알고, 이틀을 연습하지 않으면 아내가 알고, 사흘을 연습하지 않으면 청중이 안다.” 레너드 번스타인 Leonard Bernstein

 

연습을 하루를 쉬면 내가 알고, 이틀을 쉬면 캐디가 알고, 사흘을 쉬면 캘러리가 안다벤 호건 Ben Hogan

 

하루를 연습하지 않으면 내가 알고, 이틀을 안 하면 비평가가 알고, 사흘을 쉬면 청중이 안다. If I don't practice one day, I know it; two days, the critics know it; three days, the public knows it.” 야사 하이페츠 Jascha Heifetz

 

몸이 안 좋아 운동을 3일 쉬었다.

 

하루를 운동하지 않았더니, 내가 안다. 그러나 이틀을 운동하지 않았다고 안해가 아는 것은 아니다. 사흘을 운동하지 않아도, 가족이든 직장 동료든 아무도 알지 못한다. 그런데 허리띠는 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讀書記錄 170607

 

낯선 시선

 

내가 오랫동안 가졌던 지원병제를 국민 징병제로 가치관을 바꾼 것은 아래 정희진 씨가 주장하는 바와 같은 이유에서였다.

 

p70 군사주의를 반대하는 평화 운동가들 중 일부는 징병제가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등 문제가 있지만 그렇다고 군대를 없앨 수는 없으므로 지원병제를 주장하는 이들이 있다. 지금도 신의 아들, 장군의 아들, 사람의 아들, 어둠의 자식들로 신분 질서가 정해진 판에 지원병제가 되면 어떤 계층이 군대에 가겠는가? 군대는 더욱 계급화, 게토화될 것이다. ... 해결할 수 없다면 다 같이 겪어야 한다. 그래야 개선된다.

 

그리고 이 책이 페미니즘 도서이기 때문에 다 같이 겪어야 한다.’에서 여성은 빼고 이야기한 것이라고 보기 힘들다. 나는 여러 가지 이유에서 여성의 징병제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논의는 충분히 할 수 있다. 그러나 여성의 군 입대를 언급하는 것이 여성 혐오적이라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정희진 씨도 여성혐오자인가?

 

일부 페미니스트들이 주장하듯이, 권인숙 씨의 책 양성 평등 이야기에 주장하듯이 남녀성별의 차이보다 각 성별 내부의 차이가 더 큼 ; 에도 불구하고, (이 주장이 옳다면 지금이라도 여성이 군 병사 입대를 못할 이유가 없다.) 그리고 시몬 드 보부아르 Simone de Beauvoi가 주장했듯이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주장 ; 에도 불구하고 (이 주장이 옳다면 양성 평등을 위해 적극적으로 여성의 군 병사 입대를 제도화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단순히 남녀 이분법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남성만의 징병제, 병사 군 입대는 (가부장주의의) 사회적 편견이며 정당하지 않다. ; 이 명제 정말 타당하며 여성의 지지를 받고 있을까?

 

뱀발) 양성 평등 이야기에서도 군 입대에 관해 대부분의 나라에서 남자만 군 입대를 함으로써 성 차이를 고정시키나 실제 성 차이가 그리 크지 않다고 한다. 그러나 이 주장의 추론적 결론으로 여성이 군 병사 입대를 해야 하는지, 다른 이유에 의해 여성의 병사 입대를 거부해야 하는지는 언급이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6-07 08:5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페미니즘의 한계를 지적한 페미니즘 책‘에 보면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이 여성이 남성으로부터 억압받는 원인을 무조건 ‘가부장제‘ 탓으로 주장하는 것을 비판합니다.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은 가부장제를 여성 차별을 불러일으키는 ‘보편적‘ 문제로 봅니다. 이러면 문화나 계급, 민족 등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해 형성되는 가부장제의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를 보완해주는 것이 제3세계 페미니즘입니다.

제가 읽은 책이 《페미니즘, 무엇이 문제인가》(캐롤린 라마자노글루, 문예출판사)입니다. 이 책에 벨 훅스의 생각과 유사한 내용이 많았습니다.

마립간 2017-06-07 11:56   좋아요 1 | URL
저는 아마추어 이론가의 입장에 있지만, (완벽한 이론은 존재하지도 않는 이 세계에서) 운동가의 입장인 정희진 씨는 어느 정도의 한계를 무시할 수 있다고 봅니다.

단지 스스로를 페니미스트라고 칭하는 일부 여성(알라디너 포함)들의 주장이 오히려 (앞으로 딸아이가 살아될) 양성 평등 사회로 가는데 장애된다는 생각은 가지고 있습니다.

좋은 책 추천 감사합니다.
 

 

* 讀書記錄 170606

 

낯선 시선 서평 별점 ; ★★★★ 도서관 대출

    

p182 휴대전화 신분증/실은, 나는 대외적으로 휴대전화가 없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내가 휴대전화를 처음 갖게 된 것은 임시직 계약 만기와 군 입대를 몇 달 앞둔 때였다. 사촌 누나가 이런 저런 이유로 선물로 사주었다. 몇 년 동안 그 핸드폰을 쓰다가 배터리 충전이 안 될 쯤, ‘걸리버라는 핸드폰으로 바꾸었다. 얼마를 사용하다 보니 액정의 화면이 나갔다. 액정 화면이 망가져도 전화를 거는 것과 전화가 올 때, 받는 것에는 문제가 없었다. 대신 부재중 전화를 알 수 없다. 메시지 수신도 안 된다. 한 번은 수리를 의뢰하러 판매점에 방문한 적이 있었는데, 그 단말기를 생산하던 회사가 폐업을 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런 핸드폰을 수 년 간 더 사용하였다. (이런 사실에 안해는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다행스러운 것은 직장 상사가 내 핸드폰에 액정이 망가져 부재중 전화를 확인 못한다는 것을 알고 계셨다. 핸드폰이 안 되면 직장 내 유선전화로 통화하면 되었다. (근무시간에 근무 장소는 정해져 있으니.) 그러나 전적으로 상사가 동의해 준 것은 아니다. 직장 상사는 네 사회적 위치에서는 모든 부재중 전화를 확인해야 해로 불만 및 조언을 해 주셨다. 나는 직장 상사의 말을 들을 정도로 사회적 눈치가 있는 사람이 아니다.

 

핸드폰을 바꾼 결정적인 이유는 핸드폰 인증이 시작되고부터다. 사회적 환경의 변화가 내 소비의 사회적 압력으로 작동했다. 두 말 않고 바꿨다. 처음 겪는 일이 아니다. 처음 느꼈던 것은 대학생 시절 워드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내가 1.0 버전의 워드를 사용하다가 2.0 버전의 워드를 사용하면 파일은 자동으로 up-grade 되는데, 한번 up-grade된 파일은 다시 down-grade할 수 없었다. 자연스럽게 up-grade된 프로그램을 구매하는 압력으로 작동한다.

 

p183 “네가 대통령이냐, 그렇게 잘났냐?”에서부터 존재 자체가 민폐”, “연락 안 되는 네가 지구에서 사라져라.”, 심지어 사회악까지. 지인들로부터 일상적으로 밥만큼이나 욕을 얻어먹고 살았다.

 

워드 프로그램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였고 선택의 여지가 없으므로 내가 이다. (물론 프로그램이 깔린 컴퓨터를 빌려서 사용했지만.) 반면 액정 깨진 핸드폰의 사용은 을 벗어난 행동이었다. 핸드폰 없이 살고 있다는 (또는 있었다는) 것은 최소한 갑을 甲乙 관계에서 은 아니라는 (또는 아니었다는) 뜻이다. 자기 방식대로 삶을 살아가는 것은 일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