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讀書記錄 170608

 

낯선 시선

 

p47 내 관심사는 여성과 말의 관계다. 수천 년 동안 가부장제가 유지될 수 있었던 요인은 인간 행동에 대한 차별적 평가에 있다. 폭력, 언어, 에서 두드러진다. 흔히 이중 잣대라고 하는데, 오랜 세월 동안 이 세 가지는 남성에겐 근접할 수 없는 영역이었다.

 

나는 정희진 씨 주장에 동의한다. 그러나 이론가의 입장에서 몇 가지 생각할 점을 던진다.

 

얼마 전 엄지 장갑이란 단어를 알게 되었다. 이것은 이전에 벙어리 장갑으로 부르던 것이다. 그러나 벙어리단어에 언어 장애인 비하의 의미가 있어 바꿨다고 했다.

 

중학교 때, 국어 선생님이 age를 가리키는 말 중에 나이와 같은 순우리말은 하대 下待의 의미로, 연세, 춘추와 같은 한자는 존칭으로 사용된다고 하셨다. 그리고 이것은 사대주의에서 비롯된 문화라고 하셨다.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언어를 사용해야 되나요라는 질문에 선생님께서 답을 주시지 않으셨다. 내가 보기에 벙어리언어 장애자라고 용어를 바꾼 것은 우리말을 한자로 바꾼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나는 사회적 합의를 따른다.)

 

요즘 거의 사용하지 않는 단어로 튀기가 있다. 혼혈인을 비하하는 단어였다. 사회에서는 비속어의 의미가 있는 튀기대신에 혼혈인을 사용하도록 했다. (이 역시 우리말을 한자로 바꾼 것이다.) 당시 혼혈인은 가치중립적이었다. 그러나 혼혈인이라는 단어에 부정적이 감정이 실리면서 다문화 가정이라는 용어가 대신하게 되었다. ‘다문화 가정이라는 용어가 보편할 될 때의 사회적 상황이 동남아 국가 출신이나 피부색이 짙은 사람의 비율이 늘면서 다문화 가정에 다시 부정적 감정이 실리기 시작한다. 최근에는 앞에서 언급한 사람들에게는 다문화 가정이라는 말을 쓰고, 백인과의 다문화 가정은 ‘백인 혼혈이라는 말로 긍정적 감정을 실으려 하고 있다.

 

감옥-교도소도 비슷한 궤적을 보인다.

 

내가 주장하는 바는 언어가 사람의 행동, 문화를 결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람의 행동, 문화가 언어를 결정(하기도 )한다.

 

Feminism의 어원 female은 남성을 젖먹이는 사람(으로 가치가 있다는 것)으로 여성 비하적 용어였다. 그러나 여성 참정권의 쟁취 이후, 긍정적 감정이 실리기 시작했다.

 

뱀발) (국어 문법으로는) 사람은 임신을 하고, 동물은 새끼를 밴다. 요즘은 동물에게도 임신을 했다는 표현을 쓴다. 동물의 권리가 상승된 것인지, 아니면 한자 사대주의가 강화된 것이지?

 

p81 여성혐오 ... 이 말은 영어 미소지니 misogyny’의 번역이다. 부정적 의미의 접두사 ‘mis-’와 여성을 뜻하는 ‘gyn’의 합성어다. 여성 외에도 외국인, 동성애자, 나이든 이들, 공산주의자가 혐오의 주요 대상이 되어 왔다. 외국인에 대한 제노포비아, 동성애자에 대한 호모포비아가 그것이다.

 

내가 반복해서 주장했던 것을 정희진 씨가 언급한다. 여성 혐오는 약자 혐오, 소수자 혐오와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여성 혐오에 약자 혐오를 언급하는 것은 여성 혐오 주장을 희석시키는 것이 아니다. 해결책이 동일하기 때문에 함께 취급하는 것이 맞다.

 

p82 모든 번역은 의역일 수밖에 없다. 여기서 의역은 직역 대 의역이란 의미의 의역이 아니다. 사실 직역은 가능하지 않다.

 

이 주장 역시 내가 반복해서 언급했던 것이다. 외국어 번역뿐만 아니라, 한국의 상황을 한국말로 표현해도 p82 사회에 있는 사물이나 현상에 대해 100% 정보 손실 없이 표현할 수 있는 언어란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정도 차가 있다. 번역은 그 오차가 더 심하다. 따라서 세상에는 남성의 언어만 존재하고 여성 언어가 존재하지 않아요라는 말은 하나마나한 말이다. 오차 없는 측정이란 세상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6-08 08: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이버 국어사전에 ‘임신‘을 검색해봤어요. ‘임신‘의 뜻이 ‘아이나 새끼를 뱀‘이라고 나옵니다. ‘임신‘이 인간과 동물에게 쓸 수 있는 단어입니다.

마립간 2017-06-08 10:40   좋아요 0 | URL
제가 ‘예전 국어 문법으로는‘으로 써야 될 것을 ‘예전‘을 빼고 글을 썼네요. ‘우리 말 올바르게 사용하기‘의 내용을 담고 있는 단행본 도서에서 읽은 내용입니다. 아마 그 책 출판 이후에 국어 문법이 바뀐 모양입니다.

제 학창 시절에는 ‘깡총 깡총‘, ‘껑충 껑충‘이 문법에 맞는 글이었습니다. 언제가 ‘깡충 깡충‘이 문법적으로 맞을 시기 올 것을 예상했었는데, (정말) 언제가 바뀌었더군요.

문법과 언어 습관과의 격차에 어떤 정밀한 가치판단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 저는 사회 생활에 문제가 없다면 문법에 벗어나도 제 학생 시절의 언어 습관을 유지하려 합니다.

겨울호랑이 2017-06-08 09: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벙어리 장갑이 엄지 장갑으로 바뀌었군요.. 제가 사용하는 언어도 저와 함께 늙어가는 것 같습니다..

마립간 2017-06-08 10:42   좋아요 2 | URL
삶이 그렇죠 뭐.^^

저는 부모님과 언어가 다르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는데, 아이와는 언어 사용이 꽤 다르다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특별히 도덕적 문제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아이의 언어 습관을 그냥 인정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