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요읽기 180109

 

<언니의 일기> - 김인순

 

사랑을 하면서 애태운다면

뭣하러 사람들은 사랑을 할까

 

그이가 보냈다는 메모 쪽지에

파랗게 내려 쓴 낙서를 보고

...

아가씨 내 마음을 믿지마오

그대를 사랑할 수 없다는 말에

...

언니의 사랑을 고백할테야

 

* 메모의 내용을 보면 언니의 사랑은 상대가 모르는 짝사랑이 아니라 상대가 이쪽의 마음을 아는 외사랑이다. 따라서 작중 화자 話者가 대신 고백해서 해결된 문제는 아니다. 특히 그대를 사랑할 수 없다는 구절은 상대 남자가 기혼자가 아니면 사랑하는 여성이 있을 수도 있다.

 

* 오랜만에 들은 이 가요의 가사의 의문점은 아래 가사다.

사랑을 하면서 애태운다면 뭣하러 사람들은 사랑을 할까

 

그러게 말입니다. 뭐 하러 사랑을 할까. 며칠 전 아이의 하소연과 함께, 안해의 하소연을 들어주었다. 아이 친구의 엄마들에게 관한 것들이다. 안해는 무언가를 아이 친구 엄마들에게 잘 해주려 했다. 나는 당시에 안해에게 경고했었다. 일방적으로 잘해주려 하면, 오래 지속되지 않을 수도 있고, 나중에 배신감을 느낄 수도 있다고. 안해는 배려에 대해 답례를 받지 못하거나 속된 말로 선의에 대해 뒤통수를 맞았다고 느끼는 경우를 당했다.

 

나 역시 알라딘에서 선의로 (그것도 꽤 조심스럽게, 부담을 안고서) 어떤 댓글을 남겼더니, 상대가 분노로 답한 적이 (큰 것만 두 번) 있었다. 그러나 나의 감정적 동요가 적었던 이유는 게임의 이론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나의 답은 이렇다. 애태운다는 것을 감당할 수 없다면, 사랑하지 마라.

 

사람이 감당할 시험 밖에는 너희에게 당한 것이 없나니 오직 하나님은 미쁘사 너희가 감당치 못할 시험 당함을 허락지 아니하시고 시험 당할 즈음에 또한 피할 길을 내사 너희로 능히 강담하게 하시느니라 (고린도 전서 10:13)

 

김인순의 언니의 일기에서는 뭣하러 사랑을 할까라고 묻는다. 조용필의 바람의 노래에서는 해답이 사랑이라면 나는 사랑하겠네.라고 답한다. 마립간은 이렇게 말한다. 논리적 추론의 과정이 참이라고 해서 그 결론이 사실적 참을 보증하는 것은 아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고양이 2018-01-09 14: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애태우는 과정이 흥미진진하고 사람을 자극하기 때문에 사랑을 하는 거지요.
그 괴로운 과정을 실은 즐기는 거 아닐까 싶기도 해요. 아무런 자극이 없는 오랜 시간보다는 생생함이 나은게 아닐까 싶구요.

감당할 수 없다면, 기대하지 마라, 단절하라. 는 의미는 아니시지요?
안해분께서는 실망을 많이 하셨겠네요, 약간 상처도 입으셨을 거 같구요. 사람들이 참 내 맘과 같지 않아요.
그리고 이 글에는 마립간님이 안해분의 하소연을 들으시면서 느끼신 안타까움이 제게도 느껴지네요.
가까운 이가 속상해하면 저도 속상합니다.

마립간 2018-01-09 15:02   좋아요 0 | URL
제가 알고 있는 범위에서 애태우는 과정을 즐기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저는 ‘사랑에 상처 받은 것이 사랑 한번 못한 것보다 낫다‘고 단정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런 자극 없는 오랜 시간이 생생함보다 열등하다고 생각지 않습니다.

감당할 수 없다면, ‘기대하지 마라‘는 제가 의도(의미)하는 바이지만, ‘(인간 관계를) 단절하라‘는 실제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제 의도(의미)가 무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마녀고양이 2018-01-09 18:40   좋아요 0 | URL
애태우는 게 자극 없는 것보다 더 낫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는 의미였어요. ^^

실망과 좌절을 감당할 수 없을 때 인간관계를 단절할 수는 없지만 가능하면 기대하지는 말라는 말씀이시군요. 모든 기대를 내려놓을 수는 없지만, 내가 변화시킬 수 있는 한계를 아는 것은 중요한 것 같네요.

마립간 2018-01-09 20:11   좋아요 0 | URL
애태우는 게 자극 없는 것보다 더 낫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 ; 그렇죠.^^ 제가 어감을 오해했습니다.

그런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가치관을 강요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http://blog.aladin.co.kr/757611146/9826774 글의 마녀고양이 님과 cyrus 님과 댓글에서도 받는 느낌이 우리는 주관과 객관 사이에서 삶을 살아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마녀고양이 2018-01-09 20:56   좋아요 0 | URL
객관적이려고 노력하는 면이 사이러스님의 매력이지요.
젊은 느낌이 들어서 예뻐요, 사이러스님이 이 말을 들으시면 화내려나? ^^
 

 

* 讀書記錄 180104

 

가출 기차 서평 별점 ; ★★★ 도서관 대출

 

p13

, 안 했어.”

그럼 누가 했는데? 설마, 안리는 아니겠지.”

내가 한 거 아냐. 창문으로 뭐가 들어와서 ...”

창문은 닫혀 있잖니.”

그러니까, 그건 내가 닫은 거야.”

사쿠라코

 

내가 초등학교 2학년 때의 일이다. 당시에 용의검사라는 위생검사라는 것이 있었다. 그런데 가끔 이 시간에 두발 頭髮 길이를 검사할 때가 있었다.

 

선생님께서 내일 두발 검사를 할 테니 이발하고 와라고 하셨다. 나는 어머니께 두발 검사가 있다는 것을 말씀드렸고, 이발을 했다.

 

다음 날 위생검사 시간이 되었다. “마립간, 왜 이발하지 않고 왔어.” ‘체벌 體罰나는 체벌에 익숙하지 않아 하늘이 돌고 노랗다. 나는 머리 깎았는데요라고 대답했는데, 선생님께서 못 들으신 모양이다. ‘체벌나는 다시 머리 깎았는데요!’라고 크게 대답했다. 선생님께서는 거짓말을 하네. ‘체벌(x 2)’. 나는 계속해서 이발했다고 주장했다. 이제 선생님은 이발이 문제가 아니라 거짓말을 문제 삼았다. 내가 잘못했다고 시인하고 반성하면 용서해 주신다고 했다. 나는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고 했다. 선생님께서는 악질이네라고 하면서 체벌 (x 3)’을 하셨다. (악질의 용어는 정확하지 않으나 그런 의미의 단어였다.) 체벌의 이유가 이발을 하지 않음에서 거짓말을 함으로 거짓말을 계속해 하면서 반성하지 않음으로 바뀌었고 체벌 강도도 높아졌다

 

물론 나는 끝까지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것이 진실이었다.

 

선생님께서는 내가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는 것을 아셨을 것이라는 추정할 수 있는 이야기를 나중에, 한참 뒤에 들었다. 추정이므로 선생님께서 내가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몰랐을 수도 있지만, 아셨다하고 가정할 때, 선생님은 내게 사과하지 않으셨다.

 

내가 배운 교훈은 이렇다. 진실이 통하지 않을 때가 있다. 따라서 세상이 정의롭지 못할 때가 있다. 동치 同値로서 세상은 공평하지 않다. 수십 년이 지났지만 이 교훈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딸아이가 학교에 있던 일에 대한 하소연에 나의 경험을 들려주었고, 공교롭게 그날 저녁에 이 책을 읽었다. 이 동화의 결말과 내 경험의 결말은 달랐다.

 

* 밑줄 긋기

p39 “... 당연하잖아 ... ”/p41 “당연하다니.”

p82 “... 내가 가고 싶은 곳이 어딘지 잘 모르겠는걸 ... ”

p104 결국 가출 기차가 가려고 했던 목적지는 어디였을까요? (옮긴이 서혜영)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8-01-04 10: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무지해서 진실을 모르는 사람도 나쁘지만, 이보다 더 최악인 것이 진실을 알면서도 모르는 척 하는 사람입니다.

마립간 2018-01-04 11:40   좋아요 0 | URL
저는 의도의 질적 평가에 결과의 양적 평가를 혼합합니다.

예를 들어 길가의 불법 주차는 진실을 알면서도 모르는 척 하는 사람에 해당하고, 무지해서 진실을 모르고 잘못된 국가 정책으로 여러 사람이 죽었다면 ; 저는 후자를 더 악하다고 합니다.
 

 

* 身邊雜記 180103

 

- 몽영한 朦影限

 

친구가 내게 아침에 몇 시에 일어나느냐고 물었다. 친구는 내가 새벽에 일어나는 것을 알고 있으나 정확히 몇 시에 일어나는지 모르고 있었다. 몇 마디 대화를 주고받았다.

 

나는 평일에 새벽 4시에 일어난다. 토요일과 일요일은 (늦잠을 자고,) 6시에 일어난다. 그 시간이 되면 저절로 잠이 깨지만, 일어나는 것은 의지가 필요하다.

 

새벽에 일어나서 뭐하냐고? 요즘은 운동을 하지만, 독서도 하고 영어 공부도 할 수 있다. 무엇을 하든 가장 자유로운 시간이 새벽이다.

 

한 가지 이유가 더 있다. 새벽 시간이 주는 감흥이다. 친구는 그 감흥을 바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

 

나는 이렇게 설명했다. ; ; 가장 근접한 설명이 아닐까.’

친구 ; 정신이 맑으면 그런 느낌이겠구나. 물안개 끼어있는 산사를 걷는 느낌

 

기독교에서는 새벽이 가장 기독교적인 시간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어둠이 가고 밝음이 오는 시간이라며. 일반화하면 새벽은 종교적 시간이다. 명상( 또는 기도)하기 좋은 시간이다.

 

몽영한은 아름답다. (고도 -18, 朦影刻, 朦影分이라고도 한다.)

 

 

 

 

 

 

 

 

 

 

 

 

 

 

(풍경 사진은 구글 검색으로 찾은 사진으로 저작권 문제시 삭제하겠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고양이 2018-01-03 23:3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는 저녁형 인간이라서 오전 10시 이후에 일어날 때 가장 행복합니다. 예전 같으면 마립간님 같은 분들이 부러웠지만 이제는 쿨하게 생긴대로 받아들이니 훨 마음이 편하네요~

게으름뱅이 마녀고양이는 마립간님께 새해 복많이 받으시라고 인사합니다. ^^

마립간 2018-01-04 07:38   좋아요 0 | URL
저는 평생 ‘아침형 인간’을 지향 指向하고 살았지만, 아침형 인간이 사색형이라면, 저녁형 인간은 예술형이기 때문에 성향의 차이를 둘 뿐 (≪아침형 인간≫이라는 도서가 유행할 때조차도) 우열을 두지는 않았습니다.

마녀고양이 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올해는 알라딘 마실에서 자주 뵈어요.
 

 

* 讀書記錄 180102

 

658, 우연히 서평 별점 ; ★★★★ 도서관 대출

 

내가 영화를 보는 이유는, 또는 영화를 보고 나서 시간과 돈이 아깝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 주제와 구성-줄거리, 배우들의 연기력과 영상미. 이렇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Gladiator>, <The Matrix>, <Blade Runner> 이런 영화들은 위 분류에 여러 가지를 만족한다.

 

이 책은 추리 소설에 가까운데, 범죄 속임수가 그렇게 크게 와 닿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별점을 4개로 높게 준 이유는 등장인물의 성격 묘사 character가 눈에 띠고, 그 성격을 묘사하기 위한 명대사가 많기 때문이다.

 

* 밑줄 긋기

p* 아무리 그녀가 행복해지길 원한다 해도 어떻게 그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이 될 수 있을까

p7 ... 워낙 신중한 타입이었다. 그는 모든 질문의 양면을, 모든 확신의 허점을, 모든 열정의 무모함을 생각하는 사람이었다.

p23 ...은 장점이 많은 여자였다. 뛰어난 직관, 현실적인 상상력, 미적인 감각.

p26 그의 호기심은 종종 신중함을 이겼다.

p31 세심하게 조작된 자연스러움이랄까.

p38 내가 100퍼센트 신뢰하는 철학적 원칙이 있어. 어떤 일이 일어나면 반드시 그 일이 일어나는 방법이 있단 거야.

p41 이제 그것은 더 이상 연기가 아니었고 그 자신의 온전한 일부였지만 그 뿌리는 가상의 세계에 박혀 있었다. ; 페미니즘도

p42 어떤 문제에 대해 두 가지 상반되는 이유를 대는 사람에게는 세 번째 이유, 말하지 않은 이유가 있을 확률이 높았다.

p54 그는 혼자만의 생각에 파묻혔고, 행동을 하기보다는 행동을 생각하면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고, 세상 속에서보다는 그 자신의 생각 속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런 성향은 직업적으로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고 오히려 그 덕분에 그토록 뛰어날 수 있었다.

p56 매를린에게 사람들이란, 물론 소냐 레이놀즈처럼 예외가 있긴 하지만, 긍정적인 자극의 원천이고 전반적으로 도움이 되는 존재들이었다. 반면 거니에게 사람들은, 몰론 소냐 레이놀즈처럼 예외가 있긴 하지만, 그의 에너지를 갉아먹으며 대체로 도움이 안 되는 존재들이었다.

p65 그 자신은 어디서든 적응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일종의 오만이었다. 아니면 자기기만이었다. ; 알라딘에서라면 나는 어떤 주제라도 감정의 상흔 없이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오만이자 자기기만이었다.

p66 그것이 하나님의 피조물에 대한 새로 움튼 사랑처럼 보였을지 모른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 그것은 사랑이 아닌 분석이었고 탐사였다. 또한 암호의 해독이었다.

p90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이 계획되지 않은 완벽함이라는 인상을 주었다. ... 그러나 그 자연스러운 모습마저도 ...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 것이라고 거니는 확신했다. 겸손을 가장한 부유함이 언제나 그렇듯이 전반적으로 치밀하게 연출된 자연스러움이었다. 언뜻 자연 상태 그대로인 것 같지만 시들어가는 꽃 하나 방치된 것이 없었다.

p155 상처를 치료하는 것이 상처 자체보다 나쁠 거라는 멜러리의 믿음이 상황을 더욱 오리무중으로 만들었다. ; 현대의학에 대해 이와 같이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그렇다고 의료기관을 이용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p160 ... 경찰이 되지 말았어야 할 경찰들은 항상 있게 마련이라고 거니는 생각했다. 조금 전의 그 경관만 해도 실제로 어떤 위법 행위를 한 것은 아니었지만 온몸에서 냉혹함과 증오가 배어났다.

p174 너무 쉽게 결론으로 비약하면 그 결론에 부합되지 않는 증거들을 놓치기 쉽다. 하지만 증거 수집의 방향을 제시해줄 가설은 있어야 한다.

p175 훌륭한 형사라면 연역적인 추리와 귀납적인 추리 사이를 무의적으로 오갈 수 있어야 한다.

p175 그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거니가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확신하건대, 관찰과 직관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가장 큰 걸림돌은 바로 자만이다.

p303 아버지는 그저 일을 했을 뿐이다. 일만 했고 늘 닫혀 있었다. 일만 했고 늘 닫혀 있었다. 한 사람의 삶을 농축한 이 문장.

p313 “멜러리를 겁먹게 하기엔 충분할 정도로 구체적이야.” 그가 말했다. “아니면 겁먹게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모호하든가.” 매들린이 졸린 목소리로 말했다.

p420 그는 그 고통을 정의하려 몸부림쳤다. 상실감. 소외감. 고독

p576 법의 논리가 있고 범죄의 과학이 있고 심판의 과정이 있는 세계였다. ... 고통, 살인적 광기, 죽음의 세계였다. ... 그 두 세계는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

p577 냉혹한 희열 ... 분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8-01-02 09: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565 재미있게 보셨군요. 전 그냥 추리교실.. 이런 거 보는 느낌이어서 좀 시시했습니다..ㅎㅎ

마립간 2018-01-02 12:05   좋아요 0 | URL
범죄 트릭에 관해서는, 즉 줄거리에 관해서는 저도 시시했습니다. 눈 위의 발자국은 (다른 트릭을 포함하여) 이미 알고 있던 것이고, 658이라는 숫자 트릭도 ≪수학 재즈≫라는 책에 설명되어 있던 것입니다.

위 글에도 있지만 이 책을 재미있게 읽은 이유는 인물 묘사입니다.
 


* Reading Note 180101

 

Kidnapped stars ; ★★★, library book

Great Expectation stars ; ★★★, library book

 

Kidnapped& Great Expectationreminded me of Treasure island& Rich Man, Poor Ma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