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람직한 교육제도
* 통섭을 읽고 인간, 사회에 대해 생각의 흐름을 정리하게 되었는데, 이것을 교육제도와 관련하여 투표를 만들었습니다. 다음 인물들의 주장 중 가장 본인의 생각과 근접한 인물을 고른다면
1. 히스터 : 사람은 우열을 갖고 태어나기 때문에 어렸을 때 I.Q., E.Q., C.Q. 등을 측정하여 교육을 시켜야 한다. 가능하면 어렸을 때 평가해야 한다., (독일에서는 실업과 인문을 조기에 나눈다.)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영화 가타카(GATTACA)와 같이 태어나기 전에 판별할 수 있다면 더욱 좋다. (그래, 나 유전주의자다.)
2. 강남구 : 어떻게 선천적으로 태어난 재능으로 사람을 판단할 수 있나. 후천적 교육이 중요하다. 따라서 학교교육(공교육), 과외(사교육)을 통해 우수하게 교육된 결과가 중요하다. (그래, 나 행동주위(환경주의)자다.)
3. 스털린 : 후천적 교육이 중요하나 사교육을 허락하는 것은 부모의 재력, 사회적 지위를 대물림하는 방편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모든 학생은 공장에서 만들어낸 국화빵 같은 졸업생을 만들어야 한다. 자녀를 다른 부모보다 더 가르치려는 부모는 형사 처벌을 해서라도 사교육은 막아야 한다. 모든 학생은 초등 교육부터 입학과 동시에 기숙사에서 같은 교육을 받아야 한다.(그래, 나 전체주위자다.)
4. 고육부 : 한국은 개인의 타고난 재능과 부모의 교육열과 평준화된 공교육과 위 세사람의 주장이 적절히 섞여 있는 지구 상에 가장 좋은 교육을 받고 있는 나라이다. (그래, 한국 공무원이다.)
5. 어떤 분 : 모든 교육은 국가에서 학교교육(공교육)에서 전적으로 맡아야 하고 개인의 다양성을 각각 키워주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런한 교육에 예산이 많이 들기 때문에 세금을 올린다면 세금을 수입의 절반(그 이상)이라도 내겠다. 교육 세금을 이렇게 많이 내고도 내 아이의 다양한 평가에서 능력이 모자란다면 그 혜택을 받지 못해도 나는 그것을 인정한다. (그래, 나는 @@???이다. - 변형된 복지사회주의자??)
6. 알라디너 : 위의 다섯 사람 모두 잘못된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대안을 갖고 있습니다. 아래 댓글로 글을 쓸테니 읽어 보세요. (5번에 투표하신 분은 댓글로 대안을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