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난에 대하여

 페이퍼 녹색당의 사용된 ‘비교적 가난의 용어’의 설명

 

 이집트의 유적이 발견되면서 학자들 사이에서 의문이 생겼습니다. 피라미드를 세운 강력한 왕권을 갖은 왕이 이런 초라한 궁궐에서 살았던가? (여기서의 ‘초라하다’는 말은 장식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생활환경을 말함.) 그러나 그 초라한 궁궐은 실제로 왕족이 살았던 곳입니다. 단지 과학 기술이 지금과 달라 현대 생활을 사는 사람의 눈에 그렇게 비춰진 것입니다. 현재 중류층(?) 생활은 중세시대의 영주가 살던 것 보다 훨씬 풍요롭게 산다고 합니다. 크고 화려한 성城은 장작불을 때워 난방을 하지만 보온이 안 되어 현대 주택보다 춥고, 마차로 이동하는 것은 (모든 가정에 자가용이 있지 않더라 하더라도) 현대 대중교통이 마차보다 낫습니다. 음악을 듣고 싶은 영주는 음악가를 고용했지만 우리는 라디오나 녹음기를 통해 음악을 언제든지 들을 수 있습니다. 중세 영주가 현대에 사는 마립간보다 우월한 것은 (경제적) 우월감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광고에 관련된 직업을 갖은 친구가 요즘 불경기라고 합니다. IMF때 보다 더 불황이라고 합니다. 저도 사람을 대하는 직업이라 이야기를 해 보면 어려운 때인 것 같습니다. 한 할아버지(A)가 ‘요즘 어렵다지.’ 다른 할아버지(B)가 ‘어렵기는 어려운가봐, 사람들이 자살도 한다고 그러잖아.’ 할아버지(A) ‘그런데 예전 우리가 겪었던 한국동란 때보다 더 어려운가?’ 할아버지(B) ‘...... 안 그런 것 같은데’ (할아버지들의 대화는 실화임.)


 대부분의 사람들이 중세 시대의 영주와 비교하면서 우리는 부유하게 산다고 생각하면서 살지 않습니다. 옆 사람, 옆 동네에 사는 사람과 비교하면서, 그 사람은 큰 집에 사는데, 비싼 집에 사는데(우리나라 집값은 크기에 꼭 비례하지 않는다.), 외제차를 몰고 다니는데 하면서 경제적 열등감을 갖습니다.


 수수께끼님이 ‘가난’보다는 ‘급진적 성장의 거부’라는 표현을 제안하셨지만 저는 ‘저성장’을 가난으로 고집하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가난’의 단어가 주는 이미지를 받아들이는 것이야 말로 곧 상대적인 경제적 열등감을 극복할 마음의 자세가 되었다는 것, 즉 저성장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다고... 마립간은 생각하니까요.

 

* woodenbell님의 '에덴은 없다'과 관련하여

 

 예전에 읽은 글에 뉴욕New York 시민이 사용하는 에너지가, 뉴욕 시를 비추는 햇빛을 전량 에너지로 계산했을 때의 6배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소모한다고 합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어떤 과정이 들어가면 (기계공학에서는 ‘행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함.) 에너지 효율은 100%미만이기 때문에 태양에너지를 모두 가용한 에너지로 바꾸는 것이 불가능함에도 그 에너지의 6배를 소모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정확한 연도, 출전이 기억나지 않음.)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립간 2004-07-15 1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붕이 있는 집에 살면서, 허기지지 않은 식사를 하고, 옷을 입고 있다면, 당신은 세계에서 상위 25%에 해당하는 부유함을 누리고 있습니다. (정확한 문구는 아니지만)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중에 나와 있는 내용.

물만두 2004-07-15 1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성합니다. ioi 늘 등 따시고 배 부르게 살았던 저는 그저 미안할 뿐입니다. 어찌 해 볼 여력이 없어 더 송구할 뿐입니다...

stella.K 2004-07-15 1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 괜히 가세가 기울어졌다고 툴툴거릴 필요가 없겠네요.^^

sweetmagic 2004-07-15 1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 그래도 어제부터 가난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고 있었는데 ...
이 글 접하니 참 좋네요.

미완성 2004-07-15 1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저도 반성하겠습니다..세상에, 세계 상위 25%인 줄은 정말 몰랐어요...
아아..그동안 얼마나 나태하게 살았는지..마립간님 감사합니다^^
덕분에 아주아주 좋은 글을 읽었어요.^^
(역시 멋진 분이었어 오홋!)

물만두 2004-07-15 12: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왕이십니다...

수수께끼 2004-07-15 2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상하게도 대부분의 공상과학영화(미래의 어느 시대가 배경이 되는)에서는 정치적인 이슈는 문제가 되지만 먹고 자는것에 대해서는 그리 크게 취급을 하지 않았던것 같습니다. 산업혁명 이전의 영농시대에서는 단순히 먹기 위한 자급자족이 시급한 문제였지만, 산업혁명 이후에는 물질적 풍요가 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잣대가 되었습니다. 다행히 21세기에 접어들기 직전부터 자연과의 친화, 사람답게 사는 방법이라는 기치로 물질보다는 정신적인 측면을 강조하게 되었는데 마립간님이 말씀하시는 가난이란 부의 개념에서의 가난과 정신적 개념에서의 빈곤으로 나누어야 할것 같습니다. 이는 단지 소유의 개념을 떠나서 향유의 개념이 도입됨을 말하는 것인데 많이 가진 사람보다 얼마나 많은 문화적인 혜택속에서 살 수 있느냐가 중요한 판단기준이 될것입니다. 한가지를 예로 든다면 음악회를 가 본 사람과 안가본 사람의 차이가 바로 문화적 향유의 개념이 되겠는데, 빈곤의 개념을 단순한 저 성장으로 규정짓는다는 것은 물질적 범위에서 따질 수 있는 사항이 아닐까 몇 자 적어봅니다. 마음이 가난한자는 복이 있다는 말...이만저만한 어폐가 아닐 수 없는 말이지요.....반대는 마음이 부자인자는 박복하다는 말이니....물질적 부자는 뭐라고 해야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마립간 2004-07-16 1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신(마음)에 관해서는 단순하지 않아서 ... 나중에 잠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