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인(수학)을 위한 변호

 “수학을 배우는 이유는 우리가 전혀 불필요한 일을 하면서 고통받는 것에 대해 인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결과 우리는 회사에서 하등 쓸모없는 일을 하면서도 버틸 수 있는 거다.” ; 마태우스 님의 2007년 3월 12일 <해바라기, 왜 안 봤을까?> 중에서

<인간학으로서의 수학 - 수학은 왜 배우는가> - 김용운 저

<문화속의 수학> - 김용운 저

<문화 속의 수학> - 마샤 애셔 저

* 학교에서 배운 것 중 과연 쓸모있는 것이 무엇일까. 만약 영어를 모른다면 우리나라에서 살아가기 어려울까. 음악을 배우지 않았다면 살기 어려울까. 음악과 체육은 모든 사람에게 환영을 받는 과목일까. (개인적으로 저는 체육시간을 보내면서 인내심을 배웠습니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7-03-12 2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낚였습니다. -_-

하이드 2007-03-12 22: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전 수학을 몰라서 불편하진 않지만( 은행 다니면서도!) 영어 모르면, 당장 쫓겨날꺼에요

수학을 배우는 이유는 수학의 논리성이 모든 문제를 푸는 해법을 가르쳐주기 때문이다. 라고 멋있게 얘기한 성인이 있었지만, 제 경우엔 살면서 수학과학만큼 쓸모없는 과목이 없는 것 같습니다. '제 경우'가 그렇다는건, 누구든 자신의 취향에 맞게 좋아하는대로 그렇게 살아지기 때문이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 음악하고 체육은 사회 나와서 엄청 반복되고 ( 싫지만) 도움 되는 듯합니다! 역시 개인의 취향문제.. 라고나 할까. 요? ^^

진/우맘 2007-03-13 1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낚였습니다. ㅋㅋㅋㅋ

마립간 2007-03-14 08: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낙시글의 의도는 없었는데요.^^
하이드님, 개인의 취향문제도 있지만 저는 사회의 취향이 더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사회 구성원이 대부분이 수학(일부는 논리)에 무관심, 무지하다면 수학은 살아가는데 쓸모가 없지요. 우리나라는 논리보다는 인정人情이 앞서는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비로그인 2007-03-23 16: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체육시간 = 인내심? 왜그런지 언뜻 이해가 안가요 ^^

마립간 2007-03-23 18: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체셔고양이님, 예전 저의 페이퍼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제가 체육을 워낙 못했거든요. 그나마 지구력을 요하는 것은 그래도 할 만 했는데, 순발력을 요하거나 공을 가지고 하는 운동은 정말 못했습니다. 그래도 수업시간이라 최선을 다하려고 했던 것이 인내심을 필요로 했지요. 누구나 잘못하는 것을 해야할 순간에는 인내심일 필요하지요. (선택이 가능했다면 저는 선택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비로그인 2007-03-25 2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립간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힌트를 얻어 페이퍼를 하나 작성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