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일요일에는 노무현 대통령 추모 전시회에 다녀왔다. 벌써 3주기가 되었다. 세상에...ㅜ.ㅜ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83.jpg)
창의력이 샘솟았던 우리 대통령님이 만든 독서대다. 75년도에 특허를 냈던 것을 복원한 것이다. 이중으로 된 구조가 근사해 보인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84.jpg)
재임시절 사용하던 필통, 메모지, 필기구. 저 플러스 펜을 가리켜 대통령의 격이 떨어진다고 입방아 찧던 인사가 떠오른다. 그들 눈에 뭔들 고깝지 않았을까.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85.jpg)
5월이 되고 보니 광주라는 이름이 더 밟힌다. 강물은 흘러흘러 바다로 흘러가는데, 그 강물... 왜 이렇게 아프고 슬플까.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86.jpg)
정직하고 성실하게 사는 사람, 정정당당하게 승부하는 사람이 성공하는 세상을, 꼭 보고 싶다. 그런 세상에 살고 싶다. 그런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
적어도 이제는, 시청 광장에 두발 디디고 촛불을 밝히는 일에 경찰 눈치 봐도 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이만큼 오는 데에도 3년이 걸렸다.
그 좋은 고향에서 오래 사시지도 못했다. 퇴임하시던 날 그 다 내려놓은 듯한 편안한 미소가 먹먹하게 떠오른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87.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168/92/coveroff/8977771889_3.jpg)
운명이다를 읽고 나서 야곱에게 빌려주었는데, 열어놓은 창으로 비가 들이차서 책이 온통 젖어버렸다. 그 책을 보며 야곱은 대통령님이 울고 있는 것 같아서 마음이 짠했다고 했다. 젖어서 울어버렸고, 제본도 다 뜯어져버렸지만 차마 버릴 수 없어 책장 한켠에 기대고 있는 책이 되어버렸다. 운명, 일까...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90.jpg)
일생을 먼저 보여주고, 재임 기간의 정책에 대한 코멘트, 그리고 여러 기록 사진들을 볼 수 있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91.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92.jpg)
저 선을 넘기까지 얼마나 힘겨운 시간을 보내왔는데, 그 공튼 탑 허무는 것은 순식간이었다.
현재 고1 사회 교과서를 금성 출판사 것을 쓰고 있다. 북한 관련 내용 중에 떡하니 박혀 있는 '천안함 사건 발발' 일지에 막막함을 느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93.jpg)
주권... 요새 가장 많이 듣는 단어는 '검역 주권'이다. 앞에 어떤 글자를 붙이든 현재 대한민국에는 참으로 낯선 단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94.jpg)
손녀딸들의 똑같은 장화가 헷갈리지 말라고 한글자씩 이름을 써주셨다. 애정이 담긴 신발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95.jpg)
가장 씩씩했던 사내를 가장 비겁한 자가 죽였다고 한 김어준 총수의 말이 문득 떠올랐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96.jpg)
자연과 어우러져 참으로 평안해 보인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97.jpg)
할아버지를 잃은 아이들에게 마음의 부채를 진 기분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98.jpg)
노랑 풍선 두개를 들고 다니며 많이 뛰어다녔던 다현양이다. 큰 조카 세현군은 이날 교회에서 소풍을 갔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799.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800.jpg)
선착순 50명에게 캐리커쳐를 그려준다고 했다.(초등학생과 청소년 대상) 열심히 줄서서 다현양 그림을 받아 왔다. 근데, 별로 안 닮았다. 대통령님 얼굴까지도..^^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801.jpg)
추모전을 너무 열심히 봐서 이날 판매한다고 했던 티셔츠를 깜박했다. 품절을 걱정해서 옷부터 샀어야 했는데, 실컷 울적해 하다가 갔더니 노랑색 옷은 사이즈가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803.jpg)
강풀 작가의 디자인인데 노랑 옷은 저 문구고, 갈색 옷은 꽃비가 내리는 뒷모습, 흰색 옷은 두가지 모두 판매되고 있다.
가장 갖고 싶었던 노랑옷은 큰 사이즈만 남았지만 일단 구매를 하고서 다현양 캐리커쳐 줄을 섰다. 그리고 그 사이 언니가 가서 식구들 옷을 샀다. 다시 내가 가서 갈색 옷을 샀다. 아무래도 한바퀴 더 돌지 싶었는데, 역시나 고민하다가 흰색 옷도 다시 샀다. 그리고 엄마 옷도 샀다. 직원들 입고 있던 앞치마가 가장 예뻤지만 그건 판매용이 아니니 패쓰!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813.jpg)
자석과 버튼은 각각 2천원씩.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802.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820.jpg)
핸드폰 케이스는 12,000원. 아이폰하고 갤럭시만 사용 가능했던가? 내가 스마트폰 유저가 아니라서 잘 생각이 안 난다. 언니만 샀다. 요 문양으로 에코백도 샀다. 15,000원이다. 오늘 처음 사용해 보았다. 가방은 가벼운데 짐이 무거워서 조금 부조화스러웠지만...
우산도 판다고 했는데 지난 주에는 아직 판매용 우산이 도착하지 않았다. 이번 주는 잘 모르겠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818.jpg)
그 자리에서 판화로 찍어서 무료로 나눠주던 그림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819.jpg)
자발적 관람료를 모금하고 있었다. 만원 내고 받아온 엽서다. 정기 후원까지는 못해서 미안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6/pimg_787603133758821.jpg)
이때 난 갈색 옷을 입고 있었는데 사진 찍느라 화면엔 없다. (사실은 찍었지만 상태가 안 좋아서 자진 삭제!)
옷이 한정판이라고 했는데 추가로 물량이 공급되었나 보다. 해서 오늘 사이즈 큰 옷 두장을 바꾸러 다시 갔는데 어제 이미 품절되었다고, 다음주 토요일에 다시 오라고 한다. 오늘도 여전히 긴긴 추모 행렬이 이어지고 있었다.
5월 14일까지 열리니 관심 있으신 분들 다녀오셨으면 한다. 광화문 세종문화회관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507/pimg_78760313375883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