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달에 다녀오리라고 결심한 곳들이 몇 군데 있었다.
먼저 국립중앙 박물관에서 몽유도원도와 강산무진도를 보는 것. 두 그림은 전시 기간이 달라서 두 번 걸음해야 했다.
너무 많은 인파와, 같이 간 일행들로 인해 몽유도원도는 2미터 뒤에서 넌지시 보아야 했지만, 강산무진도는 혼자 가서 하뭇하게 감상하고 올 수 있었다.
그리고 또 가고 싶었던 곳은 숀탠 展과 간송 미술관
숀탠 전은 거의 포기하고 있었다. 홍대 거리 어느 카페에서 일러스트를 전시하고 있다고는 알고 있지만, 주어진 지도만 보고는 당최 찾아갈 자신이 없는 거다. 내가 날 알지만, 갔다 하면 나는 생고생 하다가 울며 돌아올지도...;;;;

그런데, 월요일, 동호회 모임이 있는 날이라고 3시 반에 퇴근이 가능한 게 아닌가. 그럼 좀 헤매더라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고민을 하는데 같은 교무실의 어느 샘이 같이 가자고 하신다. 만세! 그 샘에 의지해서 다녀온 카페 드 고릴라.
둘이서도 사실 좀 헤매긴 했지만, 그래도 평소의 실적을 생각할 때 비교적 빨리 찾은 셈이었다. 할렐루야~




숀탠은 내가 좋아하는 작가다. 글 없이도 무수한 이야기를, 분위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 작가. 글밥이 있는 책도 있지만 내가 아직 읽지 못했으니 패쓰~
그의 작품 속에 나오는 그림들이 액자에 걸려서 카페 벽면을 장식하고 있었다. 처음부터 그 자리에 있었다는 듯이 지극히 자연스럽게. 일러스트를 담은 엽서는 거저 가져갈 수 있게 비치해 두었는데, 사진 찍는 걸 깜박했구나!
2층엔 신발 벗고 들어갈 수 있는 좌식 테이블도 있었지만 치마 입은 터라 1층에서 간단히 식사를~

샌드위치를 시켰는데 햄버거로 보이는 녀석이 등장. 빵이 베이글인데다가 높이가 높아서 먹는데 애로사항이 있었다. 결국 다 해체해서 포크로 찍어 먹...;;;;
옆의 라씨(였던가? 이름이?)가 은근 맛났고...
어쩌다 보니 학교에서 출발하면서부터 시작한 조선왕조사가 밥 다 먹을 때까지 이어졌고...
(사진 펑!)
카페에서 가져온 엽서가 조그맣게 보인다. ㅎㅎㅎ |
무슨무슨 전시회에서 거창하게 그림을 보고 온 건 아니지만, 나름 분위기 있는 카페에서 그림도 보고, 비치된 숀탠의 그림책도 들여다 보고, 애매한 저녁을 먹으며(사실 나중에 저녁 다시 먹음..;;;) 실컷 수다 떨었던 즐거운 시간.
그랬던 우리, 오늘은 함께 간송 미술관에 다녀왔다.
학교 앞에서 마을 버스 타면 딱 7정거장 걸린다. 이렇게 가까운데 자주 오면 좋겠건만, 전시 기간이 너무 짧다. 달랑 보름.
그래도 고수하고 있는 원칙들이 맘에 든다. 홈페이지도 없고, 주차장도 없고, 입장료도 없고, 딱 보름 동안 일년에 두 번 하는 전시회. 게다가 간송 미술관이라는 걸출한 이름과 달리 어찌나 소박한 풍경이던지...
마당에 세워져 있던 어느 불상. 손보지 않은 거친 마당과 흩어져 있는 유물들이 조금 당황스럽고 신선했다.
게다가 코를 찌르는 이 자극적인 냄새라니....

어째 찍고 보니 머리가 보이질 않는다. 하얀 깃털을 가진 저 녀석들의 정체가 궁금했다. 도시 촌뜨기라 도통 모르겠더라. 아무튼 냄새는 지독했을 뿐이고...
그래도 이어서 국화꽃이 반겨주어서 방금 놀란 코를 진정시킬 수 있었다. 이름하여 국화꽃 향기~
|
전시관은 생각보다 작았다. 먼저 2층을 둘러보고, 이어서 1층을 관람했다. 사진은 찍을 수 없었고, 조명은 비교적 밝은 편이었다. 사람은 아주 많지 않았고, 소음도 크지 않고, 뭐든지 적당히 좋았던 시간들.
이번 가을 전시는 '도석화(道釋畵)특별전'이다. 도석화란 도교와 불교의 그림을 뜻한다고 하는데 그래서 신선과 승려들이 주인공으로 많이 나왔다. 게 중에는 김홍도의 그림도 제법 있었고, 김득신, 김명국, 이인문, 정선, 장승업의 그림들이 눈길을 잡았고, 신윤복의 그림도 있었다. 신윤복의 그림은 도석화의 범주에 들어가는 게 맞는지 좀 의아하긴 했다. 아마도 스님이 나오기 때문에 같이 포함시킨 듯. 그래도 도석화에 으레 기대되는 분위기의 그림은 아니다.
바다를 건너는 신선 그림이 많았는데 하나같이 파도 모양이 구름 모양이었다. 좀 다양한 표현이었음 했는데 당시 사람들은 그렇게 그리는 걸 선호했을까?
익히 잘 알려진 간송미술관 소장의 김홍도, 신윤복 그림은 이번 전시에서 볼 수 없었다. 내년 봄 전시회 주제가 잡혀 있지 않으니 그때 볼 수 있을지 알 수 없고, 작년에 한바탕 몸살을 앓을 정도로 전시를 가졌을 테니 비켜갈 지도 모르겠고... 뭐 암튼, 집에서 멀지 않으니 그건 내년에 재차 확인하고 다시 오면 될 일이다.
입구에는 복제품 그림을 파는데 신윤복의 미인도가 실물 크기냐고 물으니 95% 크기라고 한다. 흐으음...
나가는 길을 표시한 저 전통적인 방법이라니... 저 길 따라 나가면 들어올 때 그 입구가 나온다. 그냥 건물 한 바퀴 돌아가는 길.

색깔이 예뻐서 찍어 봤다. 왜 플래시를 꺼야 더 환하게 나오는 걸까???
(사진 펑!)
한 달 사이에 숱쳐놨던 머리가 그새 자랐는지 머리가 덥수룩해 졌다. 임시 방편으로 머리띠를 착용함. 좀 웃겼음..ㅎㅎㅎ
|
개장 시간이 6시까지여서 더 있고 싶어도 오래 있을 수가 없었다.
그나저나, 건물이 아주 낡았는데, 소장하고 있는 보물들은 어디에서 따로 보관하고 있는 것일까? 뭔가 과학적인 건물 안 어디일 것만 같은데 물어보고 나올 걸 그랬다.
걸어나오는 길, 어느 분식집에서 떡볶이와 순대와 김밥을 먹고, 후식으로 나폴레옹 제과점에서 커피맛 아이스크림을~
앉아서 먹다가 또 수다 한마당이 벌어져서 느즈막하게 헤어졌다.
그런 우리는, 토요일에 다시 '시간 여행자의 아내'를 보게 되었다는 이야기...
한 주에 세 번씩이나 같은 사람과 데이트를 하다니... 다 좋은데, 우리는 동성이라는... 그래서 스캔들은 안 생긴다능....!
이 책 보고 싶다. 간송 선생님보다 먼저 눈에 들어온 건 '김동성' 이름 석자!
서점 가서 일단 실물부터 확인해봐야겠다.
간송 전형필 선생님은 한참 활동하실 법한 50대 나이에 돌아가셨다.
사인이 뭔지 모르겠다. 책을 좀 찾아보면 나오겠지...
암튼, 그리고 내일은 뮤지컬 '영웅'을 보러 간다. 믿을 수 없는 가격 1만 원에....;;;;
내 나이에 돌아가신 안중근 의사를 어떻게 표현했을지 기대가 된다. 류정한 쵝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