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사의 게임 1 잊힌 책들의 묘지 4부작
카를로스 루이스 사폰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9년 7월
구판절판


종교는 시일 뿐만 아니라, 전설과 신화 혹은 모든 종류의 문학적 가공품을 통해 표현되는 도덕적 규약이지요. 그렇게 하나의 문화 혹은 사회를 통제할 수 있는 믿음과 가치 그리고 규칙을 만드는 겁니다.-224쪽

이런 각각의 교리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신화는 대부분, 그러니까 전례 의식부터 그들의 규칙과 금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건 그 신앙이 발전되는 동안 탄생하는 관료주의에서 유래하는 것이지, 그 신앙의 근원이 되었던 초자연적 사실로부터 출발하는 게 아니예요.단순하고 잔잔한 일화나 일반적인 의미와 민속적 의미가 혼합된 일화, 그리고 이어서 전개되는 전투와 공격은 대부분 그 신앙의 관리자들이 나중에 그 원칙을 해석하는 것에서 비롯되지요. 그리고 그런 해석은 그 신앙의 효력이 상실되지 않을 때 이루어지지요. 내가 보기에는 관리적이고 위계적인 측면이 바로 신앙의 진화에서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처음에 진실은 모든 사람에게 드러나지만, 해석하고 관리하고 공동의 이익이라는 이름으로 그 진실을 바꿀 수 있는 의무와 권력이 자기들에게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급속하게 등장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런 목표를 이루기 위해 그들은 강력하고 잠재적으로 억압적인 조직을 설립하지요. -335쪽

"부서진 마음의 가장 좋은 점이 뭔지 알아요?" 사사가 물었다.
나는 고개를 저었다.
"단 한 번만 정말로 부서질 수 있다는 거지요. 나머지는 할퀸 자국에 불과해요"
"당신 책에 그 말을 쓰세요"
나는 그녀의 약혼반지를 가리켰다.
"그 바보 천치가 누군지는 모르겠지만, 그가 이 세상에서 가장 큰 행운을 거머쥔 남자라는 사실을 알았으면 좋겠군요."
에울랄리아는 슬픈 미소를 지으면서 고개를 끄덕였다. 우리는 도서관으로 돌아와 각자의 자리로 돌아갔다.-337쪽

인간은 대가의 교훈이나 이론적 담론이 아닌 서사물, 즉 이야기를 통해 사상과 개념을 습득하고 흡수한다는 것을 우리에게 가르치고 있지요. -347쪽

"공평한 건 아무것도 없어. 우리가 원할 수 있는 최대한의 것은 논리적이 되는 것이야. 공명정대라는 것은, 참나무처럼 건강하고 건전한 사람들에게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이상한 질병일 뿐이야."
"동의해요. 그런데 나이를 먹으면 그렇게 되는 건가요? 당신처럼 그 어느 것도 믿지 못하게 되는 건가요?"
"아니야. 늙어 가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리석은 것을 믿게 돼. 일반적으로 나이를 먹어갈수록 더욱 그렇게 돼. 하지만 난 그런 걸 싫어하기 때문에 흐름을 거스른다고 말할 수 있지."-354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해한모리군 2011-05-22 2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을 쓴다는 건 자신을 활홀한 감옥에 가두는 것이라고 했다.
우리가 일상에서 만나는 작가가 실재인가 아니면 그의 글 속에 존재가 실재인가.
 
천사의 게임 2
카를로스 루이스 사폰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9년 7월
구판절판


좋은 분이었어요, 마르틴씨. 자신을 속이지 않았어요. 결코 누구를 이용하지도 않았고, 그들이 믿고자 하는 것 이외의 것을 믿도록 하지도 않았어요. 인생을 살면서, 사람들은 공기를 마시듯 크고, 작은 거짓말을 하면서 산다는 것을 배웠어요. 그래서 우리가 세상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본다면, 단 하루, 그러니까 새벽부터 해 질 녘까지 우리 자신에 관해 있는 그대로를 보게 된다면, 분명 죽거나 미쳐 버릴 거라고 했어요.-27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검은 계단
루이스 베이어드 지음, 이성은 옮김 / 비채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아들은 아비를 이해하고 진정한 남자가 된다. 결론은 쉬이 예상되나 인물들은 매력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초난난 - 남녀가 정겹게 속삭이는 모습
오가와 이토 지음, 이영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도쿄의 세시풍습과 사람살이 풍경이 어른들의 담담한 사랑이야기와 함께 그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 전두환 - 전2권
백무현 글, 그림 / 시대의창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화해가 가능하려면 학살자를 학살자라 부르는 것이 가능해져야 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해한모리군 2011-05-20 16: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잡놈의 헛소리를 들었더니...

<이후 박 씨는 “개인적으로 화가 나서 막말 좀 했다. 시끄럽게 해서 죄송하게 됐다”며 “누구를 지지하고 안 하고를 떠나 학살자라는 말에 아직도 별로 기분이 좋지 않다. 김여진 이외의 분들에 대해 사과를 드린다”고 사과한 뒤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자문위원직을 사퇴했다.>

역사가 살아 숨쉬는게 느껴진다... 역겹다 --

람혼 2011-05-21 11:55   좋아요 0 | URL
저도 "미친 X" 때보다 오히려 바로 저 해명(이랍시고 한) 답변에 더욱 크게 분노했었습니다. 학살자라는 말에 그 잡놈의 기분이 안 좋았던 이유는, 아마도 그가 바로 그 학살과 학살 이후의 역사와 무관하지 않은 일종의 역사적 공범자였기 때문이겠죠. 온갖 병신들이 무섭게 창궐하는 요지경 세상입니다, 여전히.

무해한모리군 2011-05-22 20:19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람혼님
사유의 악보를 잘 보기만 하고 너무 어려워서 리뷰는 못쓰고 있습니다 ㅠ.ㅠ

벌써 다른 나라같으면 총을 맞거나 돌을 맞거나 해서 죽었을 인사가 버젓이 어른 행세를 하고 다니니 죽고나면 세금으로 기념관 짓겠다고 하지 않을지 벌써 걱정입니다.

역사를 바로 세우지 못하면 현재 역시 이그러지게 마련이라는 걸 새삼 느끼는 요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