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영의 시선에 경제학도가 될지 고민하는 여학생에게 쓴 편지가 나온다.


내가 경제학에 대해 하나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왜 마르크스주의 경제학만 정치 경제학으로 불리는지 이다. 모든 경제학은 정치적이다.


이를테면 '자유무역을 하면 양국모두에게 이득이다'라는 흔히 알려진 명제를 생각해보자. 지근한 예로 EU내 독일은 비싼 자동차를 그리스에 팔고 그리스의 싼 노동력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와 농산물 등을 수입한다고 하자. 그러면 독일도 싼가격에 농산품등을 이용할 수 있어 좋고, 그리스도 자신이 직접 개발하는 것보다 싼 가격에 자동차를 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것을 '이득'이라고 판단하는 것이야 말로 정치적이다. 저 관계가 유지되려면 그리스의 국민들은 계속 싼 가격에 자신의 노동력을 팔아야 하고 언제까지나 가난해야 한다. 거기다 이 거래에서 그리스가 얻는 이익은 소소한 반면 독일의 이윤은 점점더 커져간다. 


정운영 선생은 200여년의 경제학의 역사를 밥을 만들고 나누는 자유를 독점하려는 집단과 그 독점을 저지하려는 집단이 벌이는 투쟁의 역사로 규정한다. 


주류경제학들이 지구에 살고 있는 인간들이 '우주에 살고있다면' 수준의 가설을 세운 뒤의 온갖 명제를 도출하는 이유는 인간 세계의 '같은 일을 하면 같은 돈을 받아야 한다'라는 당연한 이치 같은 것도 어떻게든 뒤틀어 '효율'이니 '경쟁'이니 하는 아리송한 말들 뒤로 자신들이 하는 구린 짓을 가리려는 것이다. 


사내하청의 부당성을 인정한 1심판결대로 원청인 기아차의 직접고용을 요구하며 살인적 환경에서 고공농성하던 기아차 노동자들이 363일만에 농성을 해제했다는 소식을 접했다. 감옥보다 더 잔인한 환경에서 대답없는 기아차를 향해 농성하던 노동자들은 또 내려오자마자 구속위기다.


아주 지랄 맞은 세상이다. 나는 피해자들이 투사가 되는 세상이 아주 지긋지긋하다. 정치인들, 학자들, 언론인들 고르게 밥나눠 먹을 수 있게 싸워주는게 직업이여야 하는 자들이 어디서 밥을 얻어쳐먹고 누구를 향해 개새끼들처럼 꼬리를 살랑대는지 모르겠다. 


내가 일하는 사업장이 기아차이면 기아차가 나의 고용주가 되고,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끼리는 같은 고용조건을 적용을 받고, 잘못한게 없는데 함부로 사람을 내치면 안되는게 인간의 논리다. 


누구는 1달에 수십억원을 버는데 누구는 144만원을 버는 세상은 틀려먹었다. 인간의 삶은 유한하고 모두의 시간은 소중한데, 한인간의 삶을 다른인간보다 1000배도 넘게 값어치를 쳐주는게 당연한 세상은 글러먹었다. 그게 옳다고 주장하는 학문도 돼쳐먹지 못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6-06-10 1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이다 천 병 놓고 갑니다.. 어느 경제학도가 그러더군요. 마르크스 자본론을 경제학 수업에서 가르치지 않는 것은 기이한 일이라고 말이죠... 경제는정치적이다라는 말에 10000000000% 동의합니다. 사실 국가 간 전쟁도 알고 보면 이권이 관련된 것 아니겠습니까...

무해한모리군 2016-06-13 09:57   좋아요 0 | URL
곰곰히생각하는발님 기업가니 정치인이니 하는 사람들이 일반 국민들 좋으라고 뭐 내놓은 꼴을 저희가 별로 못보고 살아서요. 오죽하면 종교기관도 그러니 말해뭐하겠습니까. 누가한 비유인지 모기에 비유는 참 적절하지 않습니까? 19세 하청노동자 사망사건도 하청구조가 아니라 교묘하게 귀족정규직이 문제다라는 식으로 몰아가고 있는거 보십시요... 거참!

감은빛 2016-06-10 1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뉴스가 너무 무식해서 모리님께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거지요.
말씀처럼 돈만 쳐다보게 만드는 세상이 무식한 것이고,
그런 사회를 유지하는 정부가 무식한 것이고,
그 사회에서 돈을 쫓는 자본가들이 무식한 것이고,
그들에게 명분을 만들어주는 경제학자들이 무식한 것이죠.

크게 한 숨을 내쉬고 또 힘을 냅시다.
계속 노력하다보면 조금 더 나은 사회를 만들 수 있겠지요.

무해한모리군 2016-06-13 09:44   좋아요 0 | URL
감은빛님 잘지내시지요? 저는 더불어가 집권하면 달라지나? 라는 생각을 하면 가슴이 답답해지곤 합니다.

일을 하건안하건 생명은 귀하고 인간답게 살 수 있어야 할텐데요. 최근 기본소득 문제가 다시 이슈가 되고있는데, 그런 방향으로 가야 나쁜 일자리가 없어지고, 우리 아이들 입시지옥에서 해방될수 있다는 생각을 점점 더 하게되네요.

녹색당이 의제를 계속 제출해주는 것이 큰 위안이 되고 있습니다...

기억의집 2016-06-10 14: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예전에 친구따라 갔다가 우연히 정운영씨의 강의를 들은 적 있는데. 인상적인 강의는 아니였나봐요. 기억이 안 나더라구요.
누군 일억 가져가고 누군 열정페이를 강요당하는 사회가 불평등하고 틀린 세상 맞는데...참 이상한 게 저걸 불평등하다고 생각하지 않더라구요. 저랑 친하게 지내는 엄마중에 어느 날 자긴 월급 이백 안 되지만 이 생활에 만족한다고 해서 제가 막 뭐라 했네요. 너가 그렇게 생각하니깐 최저 임금이 육천원이고 아이들이 이 최저임금에 발목 잡히는 거라고.. 기업은 돈 벌려고 만들어 진 건 맞지만 그 돈을 몇몇이 휩쓸어 가져가는 건 아니라고. 네네치킨 회장이 현금 배당 백억이 말이 되냐고 맙 뭐라 했네요. 좋게 웃으며 말해서 험학한 분위기는 아니였지만 의외로 이 불편등한 사회가 만족스럽다는 말에 놀라곤 합니다.

무해한모리군 2016-06-13 09:30   좋아요 0 | URL
글도 잘쓰고 말도 잘하는 사람은 정말 극히 드문듯 합니다 ^^
개인적으로는 만족할 수 있지만 사회적으로 옳지 않다는 걸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사회적 안전망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2백만원으로 집세, 학자금 대출까지는 어찌 되겠으나 아이를 가지거나 노후준비는 고사하고 누구하나 아프거나 잠시 잠깐 실업이라도 하는 날엔 극빈층이 코앞이니까요. (제가 길에 나앉을뻔해서 잘압니다 아하하하 저는 젊기라도 했지 노인분들 생각하면..)

얼마를 받느냐보다 우리 사회가 누구나 어떤 상황에서도 최소한 인간답게 살게해주는 것, 실패해도 다시 잃어설 기회를 사회적으로 만들어 주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봅니다. 왜 많은 노인들이 자살하고 청년사이트엔 분노가 넘실되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