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상의 빛을 읽는다. 첫번째 단편이 환상의 빛이다. 화자인 여자는 초등학교때부터 알던 이웃 청년과 결혼한다. 첫아이를 낳고 삼개월이 되었을때, 남자는 자전거를 도둑맞고 집에서 제법 떨어진 회사에 출퇴근할 길이 없어지자 자신도 자전거를 훔친다. 이들은 가난했다. 자전거를 살 돈이 없을만큼. 그러다 남편이 돌연 자살한다. 여자는 남자의 자살이유를 칠년이 지난 후에도 내내 궁금해한다. 


 낙담. 나는 사람이 낙담해서 죽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아갈 길이 없다기보다 헤쳐나갈 기운이 없을 때가 있다. 고개가 꺼지고 무릎이 꺽인다. 그런데 또 사소한 이유로 의지를 갖기도 한다. 문학동네 겨울호에 실린 김연수의 단편에 주인공에겐 우연히 들은 노래 한소절 이었고, 또다른 누군가에게는 우동 한그릇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내가 누군가의 살아야할 사소한 이유가 될 수 없다는 사실에 절망하거나 책임감을 느낄 필요는 없다. 그런걸 발견할 힘이 없는 사람도 있고 상황도 있다.


나는 우리 사회의 미래를 비관하고 있다.


통합진보당이 반민주적인가

통합진보당을 해산결정한다면 그 결정을 하는 헌재가 반민주적인가


해체되어야할 반민주적 세력은 누구인가


2004년 말 국가보안법 폐지를 위해 수십일을 몇천이 굶어도 

전국을 돌아다녀도

다른 형법으로 다 처벌할 수 있다고 온갖 논리로 설명을 해도

없어진 것과 다름이 없으니 폐지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이제 죽은 것과 다름이 없다던 법이 살아나

몇만의 목을 조여올 것이다.


노조들, 언론인들, 참선생들, 정당인들, 시민단체 활동가들에겐

사회반역 비호세력이였다는 딱지를 붙이고, 

언제든 쳐넣을 수 있는 손쉬운 카드가 될 것이다.

(물론 지금도 어렵지 않다) 


그런데 나는 아이가 있어 낙담할 자격이 없다. 

그래서 보이는 모든 곳에 의지로 낙관하자고 써붙여 두었지만 꺽이는 무릎에 속수무책이다. 


사라진 민주노동당 당가는 이랬다. 

우리의 꿈조차 범법이 될것인가.


새세상을 꿈꾸는 자만이 새세상에 주인이 된다.

자유로운 민중의 나라 노동자 해방을 위해

오늘의 절망을 넘어 희망의 역사를 열어라 

아아아 민주노동당이여 이제는 전진이다


인간이 인간답게 

사회가 평등하게

노동이 아름답게

민중이 주인되게

평등과 통일의 길에 어떠한 시련도 마다않겠다.

아 민주노동당이여 이제는 전진이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4-12-18 17: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글을 읽고나니 뭐라도 꼭 댓글을 적고 싶은데 도무지 뭐라 적어야 할 지를 모르겠네요, 휘모리님.

무해한모리군 2014-12-18 18:16   좋아요 0 | URL
그냥 넋두립니다. 제가 저 당가를 너무 좋아해서 매일 매일 어디서나 불렀거든요. 노동이 아름답게 이 대목이 특히 좋아요. 이 추운날 저 위 굴뚝위는 어떨까요? 제가 절망하는 것이 너무 타당하다는게 슬프네요...

감은빛 2014-12-18 17: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최종 판결이 내일이죠.
판결이 나면 기사를 써달라는 부탁을 받았는데,
도저히 기사를 쓸 수는 없을 것 같아요.
기사를 쓰려면 머리가 차가워야 하는데,
어떤 판결이 나오더라도 머리가 뜨거울 것 같단 말이죠.

무해한모리군 2014-12-18 18:16   좋아요 1 | URL
안녕하세요 감은빛님.
연말 잘보내시라는 인사를 드릴수가 없네요 도무지.
전 왜 판결이 나오지도 안았는데 이렇게 목에 울음이 턱하니 걸리는지요...
판결이 어찌나든 저들이 진보라는 단어를 망가트리고 있어요... 내 꿈이 더러워지네요.. 슬픕니다.

올해 슬픈 일이 너무 많이 있었는데 이 일도 많이 슬프네요.

아무개 2014-12-19 08: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내 꿈이 더러워진다는 말씀에서
저도 목에 울움이 턱하니 걸리네요......

아..진짜 전 뭐 한것도 없는데
왜 눈물콧물이...



무해한모리군 2014-12-19 09:27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아무개님
이건 넋두리고
성은 마니내더라도 조금만 울고 또 많이 웃으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