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게 마음속 통에 넣었다 아주 가끔만 꺼내보는 부끄러운 기억이 하나 있습니다. 이 기억이 제가 대학내내 개인주의 자유주의의 대표주자, 댓거리하면 슬그머니 사라지고 춤추고 악이나 치며 놀고 데모하면 맨 끝줄에도 겨우 앉을동말동 하면서도 이 언저리를 크게 벗어나지 않고 살아가는 이유일 겁니다.

지금은 우람한 월드컵운동장이 서 있는 상암동이 제가 대학교 1학년 시절에는 철거 투쟁이 한창이었습니다. 1학년도 다 끝나가던 겨울 겨울전수다 농활이다 이래저래 분주해 몇 번 그곳에 가보지도 못했습니다. 운명의 그날은 설날 하루전 이맘때였습니다. 보통 이때가 되면 학생들이나 연대단위들이 고향을 가느라고 동력이 많이 없지요. 깡패들 떡값주려고 이 때 철거를 많이 한다고 하더군요. 저는 그곳 한 철거민분 댁에서 아이 둘과 함께 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우당탕탕 밖을 내다보니 만삭 임산부분은 소화액에 뒤덮여있고, 앞을 막아서는 노인분은 머리가 깨져 있는등 생지옥이었습니다. 고양이 앞의 생쥐는 두려움에 도망을 못간다지요. 저도 전경의 그것과는 너무도 다른 깡패의 눈빛에 '이러다 죽는구나' 싶어 얼어붙었습니다. 그러다 어느 순간 정신이 들어보니 제가 마구 달리고 있는거예요. 내 손에 올망졸망 메달려있던 아이들은 어디다 두고.. 나중에 아이들 어머니에게 사과를 드렸습니다만, 차마 죄송해서 고개를 들 수가 없더군요..  

아마 머리 나쁜 내가 아무리 글로 읽어도 몰랐을 일이 그날 하루에 몸으로 이해가 됐습니다. 사람이 저리 목숨 걸고 싸우면 뭔가 잘못된게 틀림없다. 뭔진 모르지만 이주비 주고 나가라고 하는게 뭐가 잘못됐냐고 말하는 사람들이 틀린게 틀림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기억이 지금 현실에서 걸어나옵니다. 십년전과 하나도 달라진 것이 없는 채로 아니 이젠 주변지역까지 몽땅 재개발을 해대니 어디 갈 곳도 없으니 더욱 강력해졌습니다. 이제 MB식 오세훈식 무자비 재개발로 문제점은 더욱 쉽게 알겠습니다. . 은평구에 살던 제 친구는 쥐꼬리 이주비로 결국 가족과 서울에서 살곳을 못찾아 경기도로 밀려나 두시간 통근 중입니다. 이 친구는 그래도 운이 좋습니다. 일을 할 수 있으니.. 상가를 세얻어 장사를 하던 분들은 하루아침에 집도 일터도 빼앗깁니다. 청계천변에 장사하시던 분들은 저기 어디 동대문쪽에 가 계시다구요? 이번 용산도 상가세입자분들이 가장 크게 저항한 것으로 압니다.  

재개발에 대해서는 이런저런 할 이야기가 많이 있습니다. 저는 피막골 대신 높다란 주상복합을 짓는게 서울의 관광성 개발을 위해 어떤 도움이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한꺼번에 개발을 시작하면 이 사람들은 집이 지어지기까지 어디에 살아야 되고 수십년 후 집들이 낡아 다시 철거할 때도 동시에 도래할텐데 그땐 어쩌나요? 이 혼란을 다시 겪어야 하는 건가요? 이렇게 무섭게 집값이 들썩여서는 세입자 아니라 집주인들도 살던 곳으로 돌아올 수 없습니다. 추가 공사비 부담을 댈 수 없을테니요.(관악구 난곡지구의 경우도 재개발 후 원주민 재정착률이 10%대 였다는 걸 생각해 봅니다.) 그러면 서민들은 마을도 이웃도 살던 집도 최악은 일터도 다 잃는 동안, 부자들과 개발업자들 배를 불리겠지요. 

정말 진지하게 재개발을 해야겠으면, 긴 안목으로 방식과 순서를 정해서 하면 안될런지.. 이번 기회에 이 소중한 사람들의 목숨값의 대가로 논의해봅시다. 서울이라는 도시를 개발하는데 노점상 때려잡고 서민들 몰아내는 방식 말고 다른 방법은 없는지 말입니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꿈꾸는섬 2009-01-20 1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휘모리님, 세상을 바꾸기 위해선 많은 사람들의 힘이 필요한데 우리는 늘 소수의 많이 가진 자들에게 휘둘리니 힘을 모으는게 그리 쉽지가 않은것 같아요. 학내에서 열심히 운동하던 사람들도 이제는 세상과 타협하며 오히려 칼자루를 쥐고 흔들고 있는게 현실인 것 같아요.

무해한모리군 2009-01-20 13:42   좋아요 0 | URL
있는 사람들은 지들 배불리는 것 말고 다른 생각은 안하는데 없는 대다수는 먹고도 살아야 하니 직접 연결된 일이 아니면 뭉치기가 어렵지요. 종부세만 봐도 부자들이야 지들 이익에 직접 관련되니 목숨걸고 싸우지만, 서민들이야 남의 이야기다 하는 사이에 당하고 말잖아요.

Mephistopheles 2009-01-20 13: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른 방법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정책을 입법하고 행사하는 사람들 눈에는 결코 들어오지 않는 방법이겠죠. 자신의 업적을 위해 자신의 치장을 위해 국가기간산업을 이용하는 인간들은 절대 쓰지 않아요. 그들을 뽑아준 국민들 역시 다를바 없습니다. 한숨 나오는 하루입니다..젠장.

무해한모리군 2009-01-20 16:12   좋아요 0 | URL
가끔 생각해 봅니다. 여성과학자가 많았다면 이렇게 몸에 좋지도 않고 불편한 생리대를 우리세대까지 사용할 필요는 없었을 거라고.

누구도 재개발에 대해서 용기있게 선거판에서 비판하지 못했습니다. 아니 할 수가 없었겠지요. 노동의 가치가 개뿔이 되는 세상에 부동산 로또 희망이라도 없이 어찌 살겠습니까 쩝..

지식인들 정치인들이 제일 나쁜 놈들입니다. 그런일 하라고 있는 인간들이 입뚝 다물고 아니 있는 놈 편에 들이붙어서는 아 흥분 되는군요..

조선인 2009-01-20 13: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ㅠ.ㅠ

진주 2009-01-20 15: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서글픈 일이예요. 화는 너무 많이 내버려서 지쳤어요..ㅡ.ㅡ

가시장미 2009-01-20 16: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개발 때문에 고통받는 사람들이 한 둘이 아닐테죠. 오늘 있었던 일도 그렇지만 더 심한 일들이 앞으로도 계속 생겨날지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신에게 닥친 일이 아닌 이상 아무리 이웃이라도 그 막막한 현실에 대해 같이 고민해주지 않고 있으니 그들이 몸을 아끼지 않고 투쟁하는 수밖에 방법이 없지 않았을까 합니다.

그런데 언론에서도 그렇고, 일부에서는 원인이나 문제가 그들에게 있다라고 지적하고 있는 부분이 있어서 더 화가 납니다. 촛불집회 때도 그랬지요. 무자비한 폭력사태가 벌어졌는데도 불법시위를 한 시민의 잘못이라는 말도 안 되는 억측에 대한 동조. 그것이 정부의 잘못된 대응방식을 합당화시키고, 비슷한 일이 생겼을 때, 비슷한 방식으로 진압하도록 만든 동기가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합니다.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진 느낌. 그래서 더 막막하네요.

무해한모리군 2009-01-20 17:25   좋아요 0 | URL
청와대 관계자가 "이런 과격시위의 악순환이 계속 될 수 있는데 이번 사고가 그런 악순환을 끊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하신것 보셨나요? 이 엄동설한에 경찰특공대를 이용한 진압이 애초에 말이 됩니까? 왜 이런 일이 있었나 살피지는 못할망정 사람이 죽었는데 하는 소리하고는 입을 확 찢어버리고 싶습니다. 계속 발언이 과격해지네요 --;;

가시장미 2009-01-20 20:44   좋아요 0 | URL
저도 방금 페이퍼로 더 과격한 발언을 하고야 말았어요. 크크
근데 과격해도 된다는 생각이 들어요. 시민들이 너무 착해 빠진 것 같아서요. :)

후애(厚愛) 2009-01-21 08: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부는 항상 강자 편이지 약자 편은 아니라고 봅니다. 정말 속에서 열불이 납니다.

무해한모리군 2009-01-21 08:53   좋아요 0 | URL
왜 경제 속에 사람이 없어졌을까요? 왜 경제 속에 도덕이 없어졌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