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안 잠잠하던 촌지가 다시 화제가 되고 있다. 촌지를 정당화한 어느 교사의 글이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고 007 작전을 방불케한 촌지 수사가 이루어졌다. 촌지 교사 김봉두의 행동이 그냥 웃음으로 넘기기에는 이미 선을 넘어서고 만 느낌이다.
국민학교 4학년때 담임은 체육선생님이었는데 그 당시로 보아도 유독 부유한 집안의 학부모들과 교류가 잦았다. 그의 시선이 나에게로 넘어온 것을 직감한 것은 어느날부터 시작된 체벌때문이었다. 반장이라는 이유로 매를 들었고 체벌의 끝에는 항상 부모님의 방문을 단서로 달았다. 촌지가 무엇인지도 알지 못하던 시절이었지만 그 불손한 기운은 감지하였던지 난 끝끝내 부모님께 말씀드리지 않았다.
선생님의 말씀에 따르지 않은 체벌로 교실에서 집으로 내몰린 어느날, 언덕에 핀 강아지풀을 애끚게 쥐어뜯으며 걷던 길은 아직도 생생하다. 그 먹먹함은 어린 내가 감당하기에 다소 힘들었나보다. 그 길이 왜 그리도 서럽던지. 한낮의 그 길이 왜 그리도 어둡던지. 언덕길에서 바라본 덕장에서 일하시는 어머니의 모습이 흐릿해졌다. 그냥 돌아섰다.
침묵과 맷집, 내가 선택한 반항이었다. 4학년의 반항치고는 꽤 표독스러운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반년정도가 지난후 반장을 그만두면서 그나마 그의 시야에서 사라지기 시작했다. 그때의 해방감과 안도감이란 이루 헤아릴수 없었다.
누군가 어린시절의 상처가 현재의 자신에게 어떤 악영향을 미치는지를 이야기하는걸 우연히 들을 기회가 있었다. 놀라운 일이었다. 똑같은 기억도 누군가에게는 한낱 추억으로 누군가에게는 상처로 남는다는 것이 놀라웠다. 나와 비슷한 경험인데 나에게는 추억이었고 그에게는 상처였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런 기억따위 낄낄거리며 떠들어대는 어리숙함과 뒤돌아서면 까먹는 무심함과 쉽게 상처받지 않는 단세포적인 사고에 깊이 감사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