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를 본것은 91년도이다. 당시 인천 부평극장에서 개봉한 영화를 조조할인시간에 들어가서 상영시간 224분의 대작을 무려 세번을 보고 나왔다. 두번째부터는 한구석에 신문지를 깔고 앉아 무언가에 흘린듯 보았다. 그때도 이 영화의 OST <존덴버의 테마>가 머릿속에 가득 남아있었다. 집으로 돌아오는 버스안에서도 머릿속은 온통 이 음악으로 가득차 있었다. 이 OST는 <원스 어픈 어 타임 인 아메리카>과 함께 가장 기억에 남는 OST이다.

인디언을 다룬 영화는 몇편 있었다. 버트 랭카스터 주연의 <아파치>, 다니엘 데이 루이스 주연의 <라스트 모히칸> 그러나 그 영화속의 인디언은 전사였다. 그들은 목적의 정당성을 떠나서 일단은 도끼와 총을 둘러멘 전사였다.<늑대와 춤을>의 수우족들의 삶처럼 자연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모습을 그린 영화는 아니었다.이 영화는 나름대로 인디언의 삶을 객관적으로 바라보았던것 같다. 잔인한 전사나 무식한 야만인이 아닌 자연에 동화되어 사는 사람들로 표현하고 있다. 인디언의 삶처럼 남북전쟁의 영웅 존 덴버 중위가 수우족 인디언 "늑대와 춤을"로 점차 동화되어 가는 순간 그 넓은 평원 어디에도 영웅은 존재하지 않았다. 오직 "늑대와 춤을"만이 있을뿐...

케빈 코스트너는 이 영화를 본 이후 상당히 좋아하게 되었다. 그러나 <보디가드> <JFK> <로빈훗>등의 영화에서 전성기를 누렸으나 <워터월드> <포스트맨>의 참패 이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것 같다. 특히  <3000마일>속의 그의 모습은 왠지 그의 이미지와는 너무 동떨어진것 같아 아쉬웠다.

Dances with wolves, Kicking Bird, Wind in his head, Ten bears, Stand with a fist....문득 이런 류의 이름으로 불리어지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란여우 2004-08-22 23: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마지막 장면에서 인디언들이 한 겨울에 백인들의 추격을 피하여 거주지 이동을 해야만 하는 것을 보면서 서부의 역사는 다시 씌어져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백인들의 인디언 침략사는 이런 영화를 낳았지만 인디언들의 서러운 패전사는 별로 많지 않다는 점이 아이러니 이지요.

stella.K 2004-08-22 23: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본 것 같은데, 왜 기억이 없을까요? 음악 정말 좋으네요.^^

잉크냄새 2004-08-23 00: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케빈 코스트너가 마지막 장면에서 파란여우님이 이야기한 메시지를 담았다고 생각해요. 백인에게 배신자로 낙인찍힌 "늑대와 춤을"이 수우족에게 구출되어 결국은 백인도 수우족도 아닌 곳으로 떠나는 것이 서로 동화되지 못하고 결국은 백인의 침략으로 마무리짓는 잔혹한 침략사를 표현한 부분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미네르바 2004-08-23 01: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저도 이 영화 생각나요. 아주 오래 되었지만 그 분위기는 잊지 못할 것 같아요. 저는 인디언 얘기 나오면 '내 영혼이 따뜻했던 날들' 책이 생각나요. 인디언의 사고방식이나 삶의 태도, 자연을 대하는 모습은 언제 보아도 가슴을 적시는 것 같아요. 저도 인디언식 이름을 하나 만들고 싶어요. 오늘 밤 멋진 이름 하나 더 지어야겠네요.^^

호밀밭 2004-08-23 08: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늑대와 춤을 전 대한극장에서 보았어요. 그 당시에는 화면이 가장 큰 극장이었어요. 중간 고사 끝나던 날 친구들과 가서 보았던 생각이 나요. 보고 나서 마음이 참 막막했었는데 지금 생각하면 그 후로 이 영화를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본 적이 없네요. 저도 이 음악 좋아해요. <원스 어픈 어 타임 인 아메리카>는 CD를 사서 자주 듣고요. 음악, 화면 모두가 잘 조화된 영화였는데 그립네요.

잉크냄새 2004-08-23 2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특히 버팔로가 달려갈때는 극장 전체가 떠날갈것 같았던 착각에 빠졌던 기억이 나네요.상영시간이 너무 길어 다시 보는 것이 쉽지는 않을것 같아요. 그래도 하루 날잡아서 봐도 그 감동은 여전할것 같네요.

icaru 2004-08-25 15: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영화가 개봉된 것이 고등학교 2학년였죠...음...그랬어요... 애들이랑 "늑대와 춤을 이랑 주먹쥐고 일어서랑...둘이..야한 씬 하나 있어..." 그럼서..보러간다 어쩐다 그럼서..하하하...
그때...모여서 수다떨던 친구들....웅남이 순희 소란이 보연이...경애...효숙이... 그 그리운 이름들 하나하나 불러봅니다.

잉크냄새 2004-08-25 2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늑대와 춤을과 주먹쥐고 일어서의 야한 씬...저도 그 장면 손가락으로 눈을 가리고 보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