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실력이 밥 먹여준다: 낱말편 1 국어실력이 밥 먹여준다
김경원.김철호 지음, 최진혁 그림 / 유토피아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전공이 뭐냐고 했을 때 '국어국문과예요'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그럼 국어 잘 하시겠네요~"에서부터 시작해서 "xx씨, 이 때는 어떻게 쓰는게 맞는거야?"와 같이 반응한다. 하지만 부끄럽게도 어설픈 국어국문학도이어서인지 아니면 문법보다는 문학에 관심이 있어서인지 영 맞춤법에는 약해서 변변찮은 대답을 할 수밖에 없었다. 이제 졸업을 앞두고 더는 안되겠다는 생각에 일상 생활에서 헷갈리는 말이라도 확실히 알아두자는 생각에 관련 책을 찾다가 독특한 제목의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국어실력이 밥먹여준다, 줄여서 국밥이라는 제목처럼 이 책에는 여러 그릇의 국밥이 등장한다. 일단 각각의 단어를 설명하기에 앞서 간단한 문제(예를 들어, '우리 언니는 아직 (남자가/사내가/사나이가) 없다'. '허리를 다치는 바람에 (남자/사내/사나이) 구실을 못한다' 등)가 2~4개 정도 등장한다. 별 어려움 없이 문맥상 익숙한 단어를 골라 답을 골라쓸 수는 있었지만 정작 '왜' 그렇게 사용해야하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그런 단어들이기에 호기심에 책장을 넘기면 풀이가 등장한다. 각 단어가 사용되는 경우와 함께 예시, 그리고 단어끼리의 포함관계가 어렵지 않게 설명되고 마지막엔 결론처럼 요약부분이 나오는 방식이라 재미있고 간결하게 읽어갈 수 있었다.

  사실 요새는 길거리에 나가면 한글보다 영어가 더 많이 보이고, 많은 학생들이 입시를 위해, 취업을 위해 영어공부에 매달리는 상황이다. 이 책의 제목을 빌려 말하자면 '영어 실력이 밥 먹여준다'는 시대인 것이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자는 의견들도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그와는 대조적으로 국어에 대한 우리의 관심은 낮다. 별 어려움없이 국어를 사용하기때문인지, 굳이 공부하지 않아도 내뱉을 수 있어서인지 몰라도 우리는 우리의 것에 대해 공부하려는 자세는 되어있지 않은 것 같다. 우리말을 지키고, 우리말을 사랑하는 것, 그리고 우리말에 대해서 확실하게 아는 것. 오히려 이런 점들이 외국어를 공부하기에 앞서 우리가 갖춰야할 자세일 것인데 말이다. 영어 실력을 갖춘 많은 사람들이 강조하는 점은 아이러니하게 국어 능력의 향상이다. 국어 능력을 갖춘 사람이 영어를 더 잘 습득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영어와 국어 가운데 어떤 것에 먼저 치중해야할 지는 자명해진다.

  맛있는 음식이라도 자꾸 먹으면 질린다. 하지만 이 책 속에서 나온 국밥들은 그냥 별미삼아 한 번 먹고나는 그런게 아니라 밥통에 넣어두고 뜨끈뜨끈하게 두고두고 먹을만한 음식이라 할 수 있다. 게다가 우리가 늘 습관적으로 사용해왔던 단어들에 대해 확실한 뉘앙스의 차이에 대해 알려주고, 그 쓰임에 대해서 쉽게 설명하고 있기에 어른, 청소년 누구라도 재미있고 유익하게 읽을 수 있을 듯 싶었다. 앞으로 계속 나올 국밥 시리즈를 기대해본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8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6-09-29 0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헷갈리다 (X) -> 헛갈리다 (O)

이매지 2006-09-29 1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전 찾아보니까 헷갈리다, 헛갈리다 모두 인정되는 걸로 나오네요. 아무래도 헷갈리다도 많이 사용하다보니 표준어로 인정된 듯. 하지만 크리미슈슈님 말씀처럼 원래는 헛갈리다가 표준어였고, 헷갈리다는 비표준어였다고 하네요. ^^

비로그인 2006-10-01 0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매지님은 똑똑하셔~^^ 잘 알았어요..!! ^^ 참~리뷰도 짱 좋음 추천하고갈게요~

이매지 2006-10-01 0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이. 저도 그 덕에 확실하게 알게됐는걸요^^ 이렇게 한 번 알게되면 안 까먹어서 더 좋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