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2/63 - 1
스티븐 킹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영미장르소설에서 가장 유명한 작가를 하나 고르라면 많은 이들이 스티븐 킹을 꼽지 않을까 싶다. 일일이 세기도 힘들 정도로 숱하게 영화화됐고,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한몸에 받는 작가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만큼 소개가 된 작가가 있을까 싶을 정도로 정말 많은 작품이 소개됐다. 독서모임 책으로 <11/22/63>이 선정되었을 때 '드디어 스티븐 킹을 만나게 되겠군'이라는 생각이 맨 먼저 스쳤다. 그래도 나름대로 장르소설은 좀 읽는다고 자부(?)하는데 스티븐 킹이 처음이라니 스스로도 좀 의아했지만, 너무 작품이 많다 보니 뭐부터 읽지 망설이다가 시간만 흘렀던 것 같다. 그래도 그렇지 초면부터 벽돌 같은 책 두 권이라니.

 

  표지와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책은 '케네디 암살'과 관련된 책이다. 젊은 나이에 취임한 케네디는 경제불황과 냉전, 핵전쟁으로 뒤숭숭하던 시기에 미래에 대한 희망을 제시해 오늘까지도 많은 미국인들의 기억에 살아 있는 대통령 중 하나다. 지병이나 노화로 인한 것이 아닌, 1963년 11월 22일에 오스왈드의 총에 맞아 숨을 거두며 급작스럽게 임기가 끝나버렸다. 어쩌면 암살이라는 이유 때문에 그 그리움이 더 클지도 모르겠지만, 아무튼 지금까지도 케네디 암살을 둘러싼 음모론은 꾸준히 제기된다. 그리고 스티븐 킹은 이 사건에 타임슬립을 접목시켜 자기 나름의 견해를 더한다. '그때 오스왈드를 저지했다면 미국, 아니 세계는 지금과 다른 모습으로 흘러가지 않았을까?'라는 물음에 대한 스티븐 킹 나름의 답이 <11/22/63>이다.

 

  1권 520쪽, 2권 744쪽. 1200페이지가 넘는 무지막지한 분량인지라 케네디 암살 사건을 스티븐 킹이 뭔가 집중적으로 파헤치지 않을까 내심 기대했었는데 뚜껑을 열어보니 고개가 갸웃해졌다. 애초에 1958년으로 타임슬립한 주인공이 케네디의 암살을 저지하기 위해 1963년까지 그곳에서 주인공이 오스왈드의 행적을 쫓고 그를 저지하기 위해 살아간다는 설정이기 때문에 과거에서 새롭게 만날 사람들과 꾸려갈 삶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그려지겠구나 어느 정도는 예상했지만 어느 순간 케네디는 아웃 오브 안중이 되고 새라와의 사랑이 메인 스토리로 부각된다. '과거는 고집이 세'지만 그보다 더 강한 의지로 이를 바꾸어 보겠는 의지를 보이던 주인공이 새라를 만난 이후로 "이런 일본 속담이 있었어요. '사랑에 빠지면 곰보 자국도 보조개로 보인다.' 나는 어떻게 보이든 당신 얼굴을 사랑할 거예요. 왜냐하면 당신 얼굴이니까"라는 식의 대사를 아무렇지도 않게 내뱉는, 타임슬립 로맨스로 변해버린다. 63년이 되어 이제 정신 좀 차려 암살 사건에 집중하나 했더니 스티븐 킹은 되려 "현자들마저 믿을 수 없는 암흑의 시대에도 사랑한다는 선언은 제 몫을 하는 법"이라고 어떤 시대에도 당신에게 필요한 건 사랑뿐이라는 메시지를 던진다.

 

  '최고의 이야기꾼'이라는 명성답게 무지막지한 분량도 어느새 몰입해 술술 읽어가지만, 이렇게 길게 쓸 수밖에 없었나 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58년부터 63년까지 약 6년 동안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니 어쩔 수 없지 싶다가도 그럼 과거 체류 기간을 몇 년 줄이면 되잖아 싶었다. 나도 어차피 주인공 같은 소시민(?)이라, 주인공처럼 토끼굴에 드나들 수 있게 된다면 오스왈드의 저지는 어떻게든 되겠지 하고 과거에서 저렴한 식재료나 사들고 돌아왔을 것 같지만 말이다. 기대했던 바와 다른 이야기 전개에, 아무리 암살이 "역사라는 강물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여러 분수령 중에서도 변화를 일으킬 여지가 가장 다분한 사건"이라고 해도 좀 심하다 싶을 정도의 마무리라 용두사미같았지만, "독자의 궁금증을 계속 유발"한다는 점 하나만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소설에서 주인공의 입을 빌려 소설이건 비소설이건 "단순의 미학"이 중요하다고 "군더더기를 배제하라고, 그것이 가장 확실하고 유일한 방법이라고" 얘기했던 스티븐 킹. 그의 말처럼 군더더기가 없었다면 더 좋았을 책. 여러모로 아쉽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는재로 2013-04-03 1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군더기 너머 많은 좀도 분량을 줄였으면 훨씬 더 읽기 좋았을 텐데 하고 생각이 드네요

이매지 2013-04-03 10:44   좋아요 0 | URL
사실 글을 군더더기 없이 쓰는 것은 참 힘든 일인 것 같아요.
(저도 어느샌가 리뷰에 군더더기가 덕지덕지.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