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아래 봄에 죽기를 가나리야 마스터 시리즈
기타모리 고 지음, 박정임 옮김 / 피니스아프리카에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국내에도 많은 팬을 갖고 있어 더이상 설명이 필요 없을 <심야식당>. 저마다의 사연을 품은 손님들이 밤이면 심야식당을 찾는다. 그렇게 그곳을 찾은 이들에게 마스터는 '음식'으로 그곳을 찾는 이들과 소통하고 그들을 위로한다. <꽃 아래 봄에 죽기를> 속의 '가나리야'도 일견 심야식당과 비슷하다. 가나리야의 주인장인 구도 데쓰야는 손님들의 수수께끼 같은 이야기 혹은 비밀을 조용히 듣고는 나름대로 조용히 해결해내기 때문이다. 심야식당에서 마스터는 "메뉴는 이것뿐"이라고 하지만 가나리야에서는 "맥주는 이것뿐"이다. 손님들의 상태를 캐치해 구도는 네 가지 도수의 맥주 중 하나를 알맞게 골라주고 필요하다면 그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인다. "이 가게에는 특유의 게임 비슷한 것이 존재한다. 참가 조건은 명쾌하다. 수수께끼를 내는 사람, 수수께끼를 푸는 사람, 양쪽을 겸하는 사람, 셋 중 하나면 된다"라는 책 속의 설명처럼 가나리야는 단순한 바가 아닌 일상 수수께끼의 공동체다. 기분에 따라, 상황에 따라 적절한 도수의 맥주와 구도가 내놓는 맛있는 음식과 함께 하는 일상미스터리의 만찬이 <꽃 아래 봄에 죽기를>에는 담겨 있다. 


  제52회 일본추리작가협회상 단편 및 연작단편집 부문 수상작인 이 책에는 총 여섯 편의 단편이 실려 있다. 맨 처음 단편이자 표제작인 <꽃 아래 봄에 죽기를>과 마지막에 실린 <물고기의 교제>를 제외하면 각각의 이야기는 가나리야를 접점으로 하고 있지만 별개의 이야기다. 신원 불명의 하이쿠 시인의 죽음과 그의 과거를 다룬 <꽃 아래 봄에 죽기를> <물고기의 교제>, 역내 대여서가에 꽂혀 있는 책 여기저기에 꽂혀 있는 가족사진에 얽힌 <가족사진>, 강가에 오두막을 짓고 사는 노부부를 찍은 사진으로 보도사진상을 수상해 개인전을 여는 사진가가 거리에 붙여놓은 포스터를 잃어버리는 기묘한 사건을 다룬 <마지막 거처>, 살인사건이 발생한 뒤 인근 초등학생들 사이에 빨간 손의 악마에 대한 소문이 도는 것을 다룬 <살인자의 빨간 손>, 회전초밥집에서 참치초밥을 일곱 접시씩 먹는 남자에 대해 다룬 <일곱 접시는 너무 많다>까지 전체적으로 소소한 이야기가 그려진다.


  "손님과 시간을 포함하여 가게의 움직임이 모두 멈춘 것처럼 느껴"지는 이곳에서 자신을 중심으로 세계가 돌아가지만 "그런 권리를 갖고 있다는 것을 결코 과시하려고 하지 않"고 그저 사람들이 "이곳에서 기분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해주는 구도를 만나러 "삼나무 문을 사이에 두고 세상과 격리된" 가나리야에 가고 싶다는 생각을 품게 된다. 굳이 따지자면 안락의자형 탐정이지만 구도라는 인물은 그 범위와도 조금은 거리가 있는, 자기만의 주관이 강하다거나 개성이 강한 인물이 아니라 어쩐지 코끝을 간질이는 은근한 향 같은 캐릭터라 재미있었다. '미스터리'에 포커스를 맞춘다면 굉장히 시시한 이야기가 될 수도 있겠지만, 갑남을녀가 비밀스레 품어온 이야기들은 분명 어떤 울림을 전달한다. 가나리야에 들어선 순간, 특별한 삶이 아니어도 괜찮다고, 남 모를 상처가 하나쯤은 있어도 괜찮다고, 아무 말 하지 않아도 술 한 잔 마시면서 이야기를 들어주는 누군가가 있구나 싶어 위안이 됐다. 약간의 미스터리가 가미된 잔잔한 힐링소설 정도로 읽으면 의외의 만남이 될 작품. 가나리야에서 파는 필스너는 아니지만, 아쉬운대로 드피를 홀짝홀짝 마시며 읽으니 어느샌가 나도 가나리야 테이블에 앉아 함께 이야기를 듣는 기분이 들어 좋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2-12-22 1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매지님, 이 책 반가워요. 저도 흥미롭게 읽고 은근한 위로가 되었던 책이거든요. ^^

이매지 2012-12-22 12:16   좋아요 0 | URL
아직 정리를 덜해서 비밀글로 올렸다고 생각했는데 댓글 달렸다고 해서 놀랐네요. ㅎㅎ 사실 봄에 읽었었는데 이제사 리뷰 쓰려니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다시 읽었는데 그래도 좋더라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