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염매처럼 신들리는 것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44
미쓰다 신조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2년 9월
평점 :
일본 민속 미스터리(특정 지역의 민담 혹은 괴담과 풍습이 어우러져 기괴한 사건으로 발현되는 미스터리를 제멋대로 이름붙여봤다) 분야에서 워낙 긴다이치 코스케라는 캐릭터의 존재가 크게 느껴지기 때문일까. 대개 읽고 나면 '긴다이치 코스케 시리즈보다'라는 수식어를 붙여서 생각하곤 했다. 하지만 긴다이치 시리즈와 닮은 듯하면서도 달라서 긴다이치 코스케와 별개로 하나의 작품으로 판단했던 시리즈가 있었으니 도조 겐야 시리즈다. <잘린 머리처럼 불길한 것> <산마처럼 비웃는 것>에 이어 세번째로 소개되는 <염매처럼 신들리는 것>은 도조 겐야 시리즈의 첫 권임에도 불구하고 호러, 민속, 미스터리 세 마리 토끼를 잡는데 별 무리없이 성공한다.
편벽한 산골 마을 가가구시 촌. 흑과 백으로 마을의 주요 가문이 서로 반목하는 이곳에 이야기를 찾아 도조 겐야가 찾아온다. 아무리 넉살 좋은 도조 겐야마저도 움츠러들 정도로 외지인에게 배타적인 분위기의 가가구시 촌. 그의 도착과 함께 가가구시 촌에서 기괴한 살인사건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삿갓에 도롱이 차림의 허수아비 형상으로 발견되는 죽은 자들. 그들의 입에는 의미를 알 수 없는 물건을 물고 있다. 정황상으로는 밀실살인일 수밖에 없는 상황. 이에 사람들은 '염매'가 한 일이 틀림없다고 공포에 떨기 시작한다. 기괴하게 발견되는 사체는 진짜 염매 때문일까? "신령에게 납치됐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는 불가사의한 상황에서 사라진 아이들, 인습의 의례 중 죽으면 산신령이 될 수 있다고 설득하는 노파, 생령을 봐서 그에 씌었다며 시름시름 앓는 소녀, 염매가 나왔다며 수군거리는 마을 사람들, 죽은 언니가 돌아왔다며 두려워하는 동생, 흉산을 침범했다가 공포 체험을 한 소년, 정체를 알 수 없는 뭔가에 쫓기는 무녀"(8쪽) 등의 인물과 잇달아 발견되는 기괴한 빚어내는 마을을 둘러싼 "기이할 정도로 사위스러운 분위기"가 호러소설인지 본격 미스터리인지 그 정체를 제대로 알 수 없게 독자를 이끈다.
<염매처럼 신들리는 것>을 수월하게 읽기 위해서는 우선 두 가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먼저 염매란 무엇인가다. 책의 뒷표지에서는 염매를 "① 가위 누르는 귀신 ② 짚으로 만든 인형(제웅)을 매개로 삼는 주술의 일종으로, 사람을 죽이거나 병에 걸리게 하려고 귀신에게 빌거나 방술을 쓰는 행위"라고 소개한다. 그리고 "③ 두려움과 경외의 대상이자 그 어떤 마물보다 가장 꺼림칙한 존재"라고 덧붙이는데 이 책에서는 ③에 가깝겠지만 ②와도 무관하다고 할 수 없을 듯하다. 의미는 좀 다르지만 '마귀' 정도로 이해해도 큰 무리는 없지 않을까 싶다. 두번째는 무녀인 사기리의 구분이다. 책을 읽다보면 저절로 알게 되긴 하지만, 처음에는 사기리 옆에 찍힌 점이 무슨 의미인지 이거 오자인가, 하는 생각까지 하면서 고개를 갸웃갸웃했다. 알고보니 한 집안에서 무녀와 혼령받이를 한 대에 한 쌍(이 둘은 늘 쌍둥이 자매다)씩 담당하고 있는데, 이들의 이름이 사기리. 초대 사기리, 2대 사기리, 3대 사기리 이 여섯 쌍을 사기리 옆에 점으로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이름 옆에 달린 점 하나에도 그냥 지나쳐서는 안 된다.
중반을 넘어서면 그나마 속력이 붙지만 <염매처럼 신들리는 것>은 빈말으로라도 페이지가 술술 넘어가는 책이라고 할 수 없다. 사기리만 해도 여섯에다가 대립하는 두 가문 사람들까지 따지자면 일단 주조연을 막론하고 등장인물만 수십 명이 되는데다(가계도가 괜히 있는 게 아니다)가 가가구시 촌의 과거사에 염매 관련한 괴담에 아무튼 가볍게 머리나 식히자고 읽기에는 이건 말이 많아도 너무 많다. 하지만 초중반에 홍수처럼 밀려오는 이런 문자의 습격을 무사히 넘기고 연쇄살인사건이 벌어지면 그 다음부터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어느샌가 사건의 기묘한 설정에 눈이 가고, 기담(인지 괴담인지)에 홀리듯 빠진다. 도조 겐야, 사기리, 렌자부로. 총 세 사람의 입을 통해 그려지는 이야기는 하나하나 볼 때도 재미있지만 이를 조각처럼 하나씩 모아볼 때 그 매력이 더해진다. 호러소설 뺨치게 오싹하기도 했지만 책을 다 읽었더니 그래도 역시 가장 무서운 건 인간, 이구나 하는 생각에 다시금 소름이 돋았다. "현실과 비현실, 합리와 비합리, 흑과 백. 세상 많은 사람들이 매사가 그런 식으로 명쾌하게 구분된다고 무의식 중에 믿는다"는 도조 겐야의 말처럼, 이 책의 내용은 얼핏 이분법적인 구분 위에 놓인다. 하지만 결국엔 이조차도 인간이 만들어낸 허상이자 공포일 뿐이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불가피한 흐름 속에서 전통이라는 것은, 풍습이라는 것은 과연 어떻게 변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과 함께 읽고 나서도 뒷맛이 영 개운치 않았다. 중간에 포기하고 그만둘 뻔도 했지만, 역시 고비를 넘기고 다 읽고 났더니 벌써부터 도조 겐야 다음 시리즈가 궁금해진다. 다음엔 뭐'처럼' 뭐'하는 것'으로 찾아올지. 도조 겐야의 기이한 발자취를 따라잡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