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 가족 레시피 - 제1회 문학동네청소년문학상 대상 수상작 문학동네 청소년 6
손현주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신문에서 청소년 문학이 출판계의 블루오션이라는 기사를 읽었다. 단순히 논술 때문에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어릴 때부터 동화를 꾸준히 읽으며 자라온 세대가 청소년이 되면서 그들을 위한 문학이 필요해졌고, 이에 청소년 문학이 성장하기 시작했다는 요지의 기사였다. 어린 시절 나는 내 또래의 아이들의 이야기는 거의 외국소설로만 접했기 때문에 동시대를 살아가는 또래의 이야기를 읽을 수 있는 요즘 아이들이 슬쩍 부러워졌다. 그런 부러움으로 고른 책이 바로 문학동네 청소년문학상 대상 1회 수상작인 <불량 가족 레시피>다.

  제목처럼 이 책은 다소 '불량한 가족'에 대한 이야기다. 가출, 아니 출가를 꿈꾸는 주인공 여울이는 어느 날 자서전을 써오라는 수행평가 과제를 받고 이에 자신의 가족에 대해서, 자기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채권추심 하청 일을 하고 있는 아빠와 늘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며 잔소리를 멈추지 않는 팔순 할매, 한때 주식으로 잘나갔지만 뇌경색에 걸린 삼촌, 그리고 다발성경화증 때문에 기저귀를 차고 다니는 전문대에 다니는 오빠와 고3이지만 아빠의 일을 돕느라 수험은 뒷전인 입이 걸걸한 언니까지 여울이네 가족은 서로 못 잡아먹어 안달인 ‘흩어지면 살고 뭉치면 죽는’ 불량가족이다. 콩가루 집안이지만 그래도 어딘가 정겹네, 라고 위로해주기에도 어쩐지 미안해지는 수준이다.

  나이트클럽 댄서였다는 것 외에는 엄마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르는 여울이. 할매와 언니의 온갖 잔소리와 구박 속에서도 여울이는 코스프레로 잠시 현실을 벗어나보기도 하고, 자신에게 따뜻한 보리차를 건네준 천사 코스프레를 한 이상한 아줌마에게서 엄마의 모습을 찾기도 한다. 좋은 가정환경에서 자란 친구들에 대해 인간은 평등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동경과 부러움을 느끼기도 하고 인간은 사랑보다는 욕심을 갖고 있다고 부정적으로 생각하지만, 여울이는 결국 방황 끝에 가족 안에서 자신의 의미를 발견해낸다.

  결국 모두가 자신을 앞질러 집을 나가버린 뒤에야 여울이는 가족의 의미를 깨닫고 성장하게 된다. 삶은 누군가 만들어놓은 틀대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힘으로 바꾸어갈 수 있는 것임을 깨닫는 순간. 바로 그 순간 불량 가족 또한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가족이란 울타리가 반드시 장밋빛이어야 할 이유는 없다. 겉으로 보기엔 평온해 보인다 하여도 그 안에는 온갖 갈등이 점철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애초에 ‘불량 가족’이라는 것도 누군가의 잣대로 본 판단에 불과하다. 저마다의 가족에겐 저마다의 사연이 있다. 나와는 다른 삶이라고 하여 불량이라고, 막장이라고 단정지어서 슬쩍 여울이에게 미안해졌다. 때론 조금 과격하게 느껴지기도 했지만, 반대로 말하자면 그만큼 사실감 있게 오늘날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담아낸 책인 것 같다. 문학동네 청소년 문학상도 <책과 노니는 집>, <거짓말 학교>, <봉주르, 뚜르> 같이 좋은 작품을 많이 소개할 수 있는 장이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부만두 2011-03-11 14: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표지를 보면 개콘의 '미끼'라는 코너 등장인물들이 떠올라요. - -;;
전 청소년 문학이라는 분류에 좀 뜨악한 편인데요, 그래도 중학생인 큰 아이는 좋아하며 읽는 눈치에요. 등장인물이 이 시대의 비슷한 또래라는 것, 익숙한 환경, 익숙한 욕설(?!)이 나온다는 게 맘에 든대요.

이매지 2011-03-11 18:02   좋아요 0 | URL
개콘을 안 봐서 어떤 캐릭터인지 감이 잘 안 오네요. ㅎㅎ 저는 표지 보고 <고령화 가족>이 슬쩍 생각났었어요.
청소년 문학, 어른들이 보기에는 좀 뜨악할 것 같더라구요. 근데 정작 아이들의 반응은 좋은 듯^^ 동시대의 문학을 읽으며 성장한 아이들이 자라서도 책을 가까이했으면 좋겠어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