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훔친 위험한 冊들 - 조선시대 책에 목숨을 건 13가지 이야기
이민희 지음 / 글항아리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때 국방부에서 불온서적을 지정해 논란이 인 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런 불온도서 선정은 비단 오늘날에만 있는 일이 아니었다. 조선시대를 뒤흔든 책들. 새로운 시대를 바라보는 눈이 되어주었던, 현재의 폐단을 바로잡을 수 있었던 조선시대의 불온서적. 그런 책에 관한 이야기가 <조선을 훔친 위험한 冊들>에 담겨 있었다.

  <조선을 훔친 위험한 冊들>에는 시대를 잘못 타고나 찢겨지고 불태워진 책들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역사에는 '만약'이란 게 있을 수 없지만 이 책을 읽으며 몇 번이나 그 '만약'을 떠올렸다. 한 권의 책이 과연 역사의 커다란 흐름을 바꿀 수 있을지는 확신할 수 없지만, 그럼에도 만약 어득강의 상소처럼 서점이 전국에 설치되어 독서가 일부 계급의 전유물이 아닌 가난한 선비들의 지적 목마름을 해소해줄 수 있었다면, 만약 『연병지남』 같은 병서를 받아들여 화차를 이용한 전술을 발전시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막을 수 있었더라면, 소현세자가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 기록한 『심양장계』를 인조가 불길한 징조로 보지 않았더라면 조선이 다른 방향으로 흘러갈 수도 있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본론에서는 진지하게 조선시대 위험한 책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갔다면 조선의 책 이야기에서는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이야기가 배치되어 있어 완급을 조절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지금으로 말하면 독서 대여점이라 할 수 있을 세책점에 대한 이야기나 책을 빌려달라는 사람도, 빌려주는 사람도, 읽고 돌려주는 사람도 바보라는 삼치설에 대한 이야기, 일종의 독서휴가라 할 수 있는 사가독서제, 천여 권의 책을 쌓아놓은 이에게 책을 팔아 아들을 장가보내라고 하자 차라리 자손이 없는 게 낫다며 거부한 이야기 등을 통해서 책을 사랑한 이들의 애정을 느낄 수 있었다.

  한 가지 빼놓을 수 없는 재미는 다양한 사진 및 그림 자료였다. 사실 이 부분은 장점도 단점도 될 수 있을 듯하지만, 본문과 연관되는 이미지를 통해 본문의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오늘날의 불온서적과 비교해 여러 모로 비슷하게 느껴졌던 조선의 위험한 책들. 책을 덮으며 어쩌면 이런 위험한 책이 더 많은 이들에게 읽힐 때 우리는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11-01-12 2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이런 종류의 불온 서적들도 있네요.전 조선시대 금서라고 해서 금병매와 같은 음서를 생각했네요^^;;;
어느 책에서 보니 흔히 중국에서 말한 음서란 책들이 조선시대에도 상당히 은밀히 들어왔다는 자료를 본적이 있읍니다.유학을 숭상하던 조선시대에서 사람 사는것은 다 매한가지 였나 봅니당^^

이매지 2011-01-12 23:26   좋아요 0 | URL
말씀하신 것 같은 소설에 대한 내용도 있지만,
그보다는 사회 변혁적인 내용을 담은 책에 대한 이야기가 많았어요 ㅎㅎ
예나 지금이나 사람 사는 건 다 매한가지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