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탐정의 규칙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혁재 옮김 / 재인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 추리소설 작가 중에서 가장 가독성이 좋은 작가를 고르라면 단연 히가시노 게이고가 1위가 아닐까 싶다. 읽고 나서야 어찌되던 간에 히가시노 게이고의 작품은 읽는 순간만큼은 최고의 재미를 보장한다. 무슨 기계에서 뽑아내듯이 작품을 찍어내서 작품 간의 편차가 있는 것은 아쉽지만 뭐 그건 어디까지나 읽고 나서의 문제. 하도 많이 쏟아져나오는 작품 때문에 이제는 좀 질려서 히가시노 게이고를 멀리하고 있었는데 추리소설의 패턴을 유머러스하게 풀고 있다는 이 책 <명탐정의 규칙>만큼은 추리소설 팬으로 읽지 않을 수가 없었다.

  이야기는 오기와라 경감의 소개로 시작된다. 명탐정 덴카이치 다이고로의 활약상(?)을 들려주기에 앞서 탐정 소설이 그렇듯 경감은 어디까지나 들러리, 때문에 자신은 명탐정보다 먼저 진범의 정체를 파악해야 하고 명탐정이 진범을 잡을 때까지는 범인만 쏙쏙 피해가며 헛다리를 짚어야 한다고 말한다. 프롤로그만 읽어도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이렇게 탐정 소설을 철저히 비틀고 있다. 왜 대체 죽어가는 사람은 의미를 알 수 없는 다잉 메시지를 남기고, 왜 항상 고립되기만 하면 살인사건은 일어나는 것일까? 대체 왜! 히가시노 게이고는 이 책을 통해 추리소설 작가와 독자 간의 암묵적으로 약속된 것들을 까발리고 뒤틀어 웃음을 준다. 

  밀실트릭에서부터 시작해서 의외의 범인, 고립된 장소에서의 살인, 다잉 메시지, 시간표 트릭, 토막 살인, 동요 살인, 흉기의 정체 등 추리소설 좀 읽는다는 독자에게 익숙한 패턴이 이 책에는 다수 등장한다. 익숙한 패턴이기에 오히려 간지러웠던 부분을 긁힌 것처럼 시원하게 웃을 수 있었다. 특히나 이미 범인이 자결해버린 다음에도 꿋꿋이 트릭을 설명하는 탐정의 모습이나 도무지 들여다보는 것만으로도 머리가 지끈거리는 시간표 트릭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는 정말 빵 터졌다.

  사실 이 작품은 책보다는 드라마로 먼저 알게 된 작품이었는데, 이 드라마 평균 시청률이 10프로가 채 안 되는 다소 저조한 탓에(물론 심야 드라마였다는 탓도 있겠지만) 원작에 대한 기대감도 덜했던 것이 사실. 하지만, 책 속에서도 언급하듯이 항상 드라마는 원작보다 질이 떨어지기 마련. (하기사 생각해보니 미미 여사의 <모방범>만 하더라도 원작은 거의 레전드 수준인데 영화는 다른 의미로 참 그렇게 만들기도 힘들겠다 싶었지.) 뭐 일본의 다른 어떤 작가보다 영상으로 많이 만들어진 히가시노 게이고의 글에서 이런 얘기가 나온다는 것이 아이러니하지만, 어쩌면 '내 작품을 가지고 이렇게 밖에 못 만드냐!'라는 불만을 토로한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도 슬쩍. 

  작가의 역량을 까고, 추리소설의 패턴도 까고, 그걸 수긍하는 독자도 까고. 하나 같이 까고 까임의 연속인 책. 하지만 이런 유머러스한 까임이라면 몇 번이고 다시 까이고 싶다.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책. 기본적으로 만담 같이 유머러스하고, 한편으로 자학적이고, 자조적이었지만, 추리소설이란 대체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 있어서 즐거웠다. 어째 책을 다 읽고 나니 정통 추리소설 한 권 읽고 싶은 생각이 스멀스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Kitty 2010-05-17 02: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지금 침대 머리맡에 있는데 시간이 없어서 못읽고 있;;;;;;;;;;;;
오늘 자기 전에 몇 페이지라도 읽어봐야겠어요. 언제쯤 잘지 모르지만 흑흑 ㅠ

이매지 2010-05-17 10:06   좋아요 0 | URL
한 챕터가 많이 짧더라구요.
사실 저는 이 책 서점 갔다가 다 읽고 온;;;;;

카스피 2010-05-18 18: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 표지는 마치 30~40년대 미국의 블랙 마스크지를 보는것 같은데요^^

이매지 2010-05-18 22:45   좋아요 0 | URL
팝아트틱한 표지가 잘 어울리는 것 같더라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