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
오주석 지음 / 월간미술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고흐나 클림트 등 서양의 유명 화가의 그림은 우산이나 핸드폰 케이스부터 심지어는 우유 포장이나 CF에 사용할 정도로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 있지만, 정작 우리 그림에 대한 관심을 부족한 것 같다. 물론 <바람의 화원>이나 <미인도>, <취화선> 등의 영상매체를 통해 대중에게 소개된 신윤복이나 김홍도, 장승업과 같은 몇몇 유명 화가는 어느 정도 관심을 끌었지만, 그것은 그들의 작품에 대한 관심이라기보다는 그들의 삶에 대한 관심에 지나지 않았다. 그렇게 우리의 그림도 제대로 모른 채 그저 유명 서양화 이름을 주워 섬기던 이들에게 오주석은 우리 그림에 대한 관심을 일깨워준다.

  <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으로 오주석의 글을 처음 접하며 정말 우리 그림을 사랑한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그림 하나하나에 대한 그의 넘치는 애정이 글에 물씬 묻어났기 때문이다. 그러던 차에 그의 부고를 듣게 되었고, 더이상 그의 글을 만날 수 없을 거라는 사실이 마냥 안타까웠다. 그러던 차에 유고집 <그림 속에 노닐다>가 출간되었고, 뒤이어 일년여 간의 공백 뒤에 동아일보와 북새통에 연재되었던 글을 묶은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이 나왔다. 신윤복의 <월하정인도>나 김정희의 <세한도>, 정선의 <금강전도>, 김홍도의 <씨름> 등 익숙한 그림에서부터 <오수초족도>나 <답설심매도> 등 처음 접하는 그림까지 스물일곱 점의 멋진 그림과 그에 얽힌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항상 그림에 대한 책을 읽을 때면 그림은 정말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점을 새삼 느끼게 된다. 그동안은 단순히 귀여운 고양이와 나비의 한때를 그린 그림이라고 생각했던 김홍도의 <황묘농접도>가 사실은 생신 축하와 장수를 비는 그림이라는 설명을 듣고 보니 새삼스럽게 느껴졌다. 만약 그의 설명을 듣지 않았다면 고양이가 칠십 노인을, 나비가 팔십 노인을 의미했다는 것도, 그림 속의 패랭이꽃과 돌도 그 나름의 의미를 가진 것이라는 점도 몰랐을 것이다. <황묘농접도> 뿐 아니라 찬문을 통해 그림의 의미를 보여준 강세황의 <자화상> 등의 해석도 짧은 분량이 아쉬울 정도로 재미있었다. 

  200자 원고지 7매 정도의 짧은 분량의 원고. 때문에 평소 오주석을 좋아해 그의 저서를 꾸준히 읽어온 독자에게는 다소 아쉬운 책이 되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아직 우리 그림을 제대로 접하지 못한 독자들에게 이 책은 우리 그림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켜줄 교두보가 되지 않을까 싶다. 그림의 부분 부분에 대한 설명을 할 때 확대컷이 제공되어 일일이 찾아보는 번거로움을 줄여줘서 좋았다. 우리 그림처럼 여백이 많은 편집도 책 속에 수록된 그림과 글의 분위기와 잘 어울렸던 것 같다. 아직 읽지 못한 오주석의 책들이 남아 있는 것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더 많은 그림과 그림에 담긴 더 많은 이야기가 읽고 싶어졌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9-11-30 0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올렸군요~ ^^
나는 독서마라톤 때 500자로 정리했던 거만 올려두고 영화보러 갔어요.
이제 추가해야겠어요.^^

이매지 2009-11-30 13:08   좋아요 0 | URL
순오기님 덕분에 즐겁게 읽었습니다 :)
리뷰대회때문인지 쟁쟁한 리뷰도 많더라구요 ㅎㅎ

미미달 2009-12-05 2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흐의 해바라기를 보고 울컥할 뻔 했던 기억이 나네요. ㅋㅋㅋㅋ

이매지 2009-12-06 18:20   좋아요 0 | URL
앗, 해바라기를 보고 왜 울컥할 뻔하셨어요? +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