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3 - 효종.현종실록 - 군약신강의 나라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3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단순히 역사에 흥미가 있어서 공부할 때와 시험 점수를 따기 위해 공부할 때 마음가짐이 달라서 그런지 개인적인 '흥미'로 먼저 접한 것이 아닌 '암기'로 먼저 접한 효종과 현종 부분은 썩 끌리지 않았다. 학교 다닐 때는 그저 당쟁이 있었다는 사실로 슬쩍 넘어갔던 부분을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면서 혹시나 이 부분에서 문제가 나올까봐 달달 외우면서 대체 상복을 몇 년을 입을 것인지를 두고 죽고 죽이는 당쟁이 일어났다는 것 자체가 불만이었을 뿐더러 그 와중에 누가 세력을 잡았는지를 외워야 했으니(게다가 오질나게 헷갈렸다) 이 시기는 더 피하고 싶었다. 하지만 박시백이라면 복잡한 당쟁도 조금은 쉽게 이해시켜주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며 슬쩍 페이지를 넘기기 시작했다.  

  우선, 효종과 현종하면 떠오르는 키워드는 북벌과 예송논쟁이라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흔히 효종의 북벌에 대해서는 조선의 자주적인 면을 엿볼 수 있다고 여기는 부류가 있는가하면 북벌은 사기극이라고 치부하는 이들도 있다. 박시백의 경우에는 북벌은 사기극이다까지는 아니더라도 북벌론에는 상당히 미심쩍은 부분들이 있다고 지적한다. 이런 내용 때문에 저자는 혹여 학생들에게 혼란을 일으킬까 출간일을 미뤄가면서까지 고민했다고 한다. 어쨌거나 나 또한 효종의 북벌은 약간은 과장된 부분이 있지 않나라고 생각해온 입장이라 저자의 입장에 꽤 수긍하면서 읽을 수 있었다. 

  13권의 부제이기도 한 '군약신강의 나라'라는 말처럼 이 시기는 왕보다 신하들의 힘이 더 막강했던 시기였다. 왕의 말보다는 송시열과 같은 산림들의 말이 더 위에 있었던 이 시기. 왕은 대체 어떻게 해야 했을까? 정통성의 문제 때문에 미약한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해 북벌을 이용한 효종이나 예송논쟁을 신하들에게서 힘을 뺏는 기회로 삼는 현종의 모습은 사실상 왕권이 바닥에 떨어져 있었지만 끊임없이 재기(?)를 도모했던 왕의 시도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었다. 물론 이후 당쟁은 더욱 심해져 다음 권인 숙종대가 되면 탕평책이 등장하기 시작할 정도로 종잡을 수 없이 흘러가 효종이나 현종의 신하 길들이기가 먹히지 않았음을 알 수 있지만 신하들과의 권력을 줄다리기를 해야만 했던 이들의 모습은 읽는 내내 불안불안했다. 

  어쩌면 내가 지긋지긋하게 생각했던 예송논쟁 부분도 박시백의 해설이라면 조금은 쉽지 않을까라고 생각했는데, 몇 장씩이나 빽빽하게 이어진 글을 읽자니 정신이 아연해졌다. 물론 어쩔 수 없는 면도 있었겠지만 단순히 글을 나열한 것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들어 아쉬웠다. 또 예송논쟁 시에 사용된 어휘 자체도 좀더 풀어서 해설해줬다면(혹은 각주로라도 부연 설명을 해줬더라면)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지 않았을까라는 아쉬움이 들었다. 이런 저런 아쉬움은 들었지만 그래도 그동안 잘 몰랐던 효종과 현종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던 점은 마음에 들었다. 권을 더해갈수록 텍스트(사료 인용)가 많아지는 것 같아 아쉬운데, 다음 권에서는 초기의 간결하고 핵심을 찌르는 전개를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RINY 2009-11-23 16: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맞아. 이번 권은 상소문 인용이 너무 많았어요.

이매지 2009-11-23 22:43   좋아요 0 | URL
사실 인조 때도 상소문 인용이 좀 많다 싶었는데,
효종&현종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닌 듯.

무스탕 2009-11-23 21: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브리핑에 뜬 제목을 전 '북별' 로 읽었어요. 즉 김혜린님의 '북해의 별'로 읽었다는 것이지요..;;;
오랜만이세요 ^^*

이매지 2009-11-23 22:43   좋아요 0 | URL
북벌과 북별. 점 하나 차이로 ㅎㅎㅎ
오랫만에 리뷰 몰아 쓰고 있어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