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해 초, <왕의 남자>가 개봉했을 때 더불어 다시 한 번 관심을 받았던 작품이 있었으니 바로 이 영화 <패왕별희>이다. <왕의 남자>에서는 두 광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고 <패왕별희>에서는 두 경극배우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는 점도 비슷했지만 동성애적 사랑이라는 소재도 비슷했기때문이다. (물론, <왕의 남자>에서 <패왕별희>를 생각나게하는 공연장면도 있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한 번이라도 봤듯이 이 영화에서는 장국영이 패왕별희라는 경극에서 우희라는 여자역으로 등장한다. (모기처럼 앵앵거리는 소리로 코미디 프로에서 따라한 것을 많이들 봤으리라.) 하지만 영화는 장국영의 그런 우희로서의 모습도 볼만했지만 이 영화에서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어린 소년 시절에 만났던 두 사람이 어떤 삶을 살아가게 되는지가 더 흥미로웠다. 군벌시대, 일본 침략 시대, 일본군 항복, 중국 공산당 시대 등. 두 남자는 함께 동시대를 살아가며 질투와 사랑, 그리고 고통을 함께 한다. 섬세한 감수성이 담긴 데이의 이야기가 패왕별희 속의 우희와 오버랩되며 이어져가는 점이 인상깊었다. (물론, 샬로는 그런 데이를 보고 경극과 현실은 다르다며 너는 미쳤다고 이야기하지만...)

  중국의 현대사에 대한 이해와 경극에 대한 이해를 두 남자의 인생을 통해서 자연스레 느낄 수 있었다. 변태적인 동성애가 아니라 정신적인 면에서의 동성애. 겉모습은 남자이지만 어릴 때부터 여자의 삶을 강요당했던 데이의 모습을 보며 그가 겪은 비극적 사랑에 대한 안타까움과 애잔함을 느낄 수 있었다. 공리, 장국영, 장풍의. 어느 하나 부족함 없는 그들의 연기도 훌륭했다. 이런 영화라면 깐느 영화제 황금종려상, 골든 글러브 외국영화상을 수상할만 하구나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중국만의 색채를 가지면서 중국 이외의 나라의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무엇을 가진 영화였다. 영화도 길었지만 그 여운은 더 오래 남았던 것 같다.

- 2006년 6월 11일에 본 영화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연 2007-10-18 1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영화처럼 잘된 중국영화를 본적이 있던가...싶습니다. 장국영 정말 멋지구요.
저도 이거 dvd로 소장하면서 생각날 때마다 본답니다~^^

이매지 2007-10-19 02:26   좋아요 0 | URL
저도 CD 구워놓을까하구요 ^^;
장국영을 이렇게 영화에서나마
좋은 모습으로 볼 수 있어서 다행인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