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보기 전, 프랭크 밀러의 원작을 읽었더랬다. 하지만 원작은 앞뒤의 내용이 생략되어 있어서 배경지식이 있어야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었다. 게다가 비슷비슷하게 생긴 인물들때문에 A라는 인물의 발언은 B라는 인물의 발언처럼 받아들이기도 하다가 한참 뒤에 아니라는 걸 깨닫기도 하는 등 꽤 우왕좌왕하면서 읽었다. (그래도 나름대로 재미있게 봤지만) 그리고 영화로 만들어진 300을 보며 다시 한 번 원작을 읽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크세르크세스 왕이 이끄는 페르시아의 대군. 엄청난 수의 군사를 이끌고 왔기에 그들이 움직일 때면 지진이 난 것처럼 땅이 움직일 지경이다. 그리스를 삼키기 위해 온 페르시아. 그들을 막기 위해 300명의 스파르타 용사들과 테스피스인 군인들은 테르모필레 협곡에서 전투를 준비한다. 협곡이라면 수적 차이는 어느 정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스파르타의 왕 레오니다스. 그의 생각대로 스파르타 군과 테스피스 군은 페르시아를 막기 위해, 자유를 위해 무모해보이는 마지막 승부를 펼친다.

  확실히 책보다는 앞뒤의 내용이 더 첨가되어있어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이해하기 쉬웠던 점이 마음에 들었다. 영화를 보고 책을 보는 것이 내용이해는 더 빠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영화는 그림으로 된 원작과 실제 인물들이 등장하는 실사 사이의 경계를 넘나들며 묘한 매력을 펼친다. 하지만 이 영화는 어디까지나 스파르타 군 300명의 용맹을 뽐내는 영화이니만큼 비쥬얼적인 면은 뛰어나도 스토리상으로는 크게 매력을 느끼지 못했다. 물론, 떼로 나와 치열하게 싸우는 전투씬은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해주기엔 충분했지만 그래도 뭔가 아쉬움이 남았던 영화였다. 지나친 영웅주의가 깔려 있다는 생각도 없잖아 들었다. 스파르타 군의 영웅성을 최대한을 끌어올리기 위해 페르시아인들을 너무 인간답지 않게 그려낸 것이 비현실적이라고 생각됐던. 역사물로 본다면 사실성의 여부를 두고(혹은 관점의 여부를 두고) 여러 말들이 나올 수 밖에 없겠지만 단순히 시각적인 재미를 위해 본다면 나쁘지 않을 듯 싶다. 여성관객들보다는 남성관객들이라면 다들 비장한 각오(?)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었던 영화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짱구아빠 2007-04-26 22: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장함도 지나치게 헛웃음이 나오게 한다는 걸 알게 해준 영화네요....^^

이매지 2007-04-27 23: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뭔가 좀 찝찝한 구석이 있더군요. 볼거리는 많았지만 역시 좀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