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2

헤르만 헤세는 이런 시를 썼습니다.

 

인생에 주어진 의무는

다른 아무것도 없다네.

그저 행복하라는 한 가지 의무뿐.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세상에 왔지.

 

p.38

"이 모두가 하느님의 뜻입니다. 그분의 뜻을 인간인 우리는 알 수 없습니다."

그 말을 들으면서 나는 생각했습니다.

'목사님은 참 좋겠다. 그렇게 간단히 이해할 수 있으니까.'

 

p.133

영화 <블랙 호크 다운>은 다음과 같은 자막으로 시작됩니다. 플라톤이 한 말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전쟁은 죽은 자에게만 끝난다.'

                      

                                 

 

 

 

 

p.70

강자는 더욱 강해지고 약자는 더욱 약해진다. 거역할 수 없는 힘이다. 본능, 이 얼마나 강력한 생명에의 집착인가. 차지하지 않으면 빼앗긴다. (...) 식물사회에 애초부터 평화란 없었다. 그것은 사람들이 지어낸 허구이다. 아니, 몰상식이다.

자신이 살기 위해 다른 것을 파괴하고 심지어 종족을 해하는 일은 무릇 생명의 본성인가. 평화, 힘의 균형이란 허울에 불과하다. 자신들의 삶이 치열하면 치열할수록 평화에 집착하는지도 모른다. 사람들이 평화에 집착하고 숲을 평화로운 곳으로 이해하려는 것은 그만큼 그들의 삶이 치열하다는 반증인지도 모른다.

 

p.92

동물에게 있어 어느 부위의 손상은 전체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다. 뇌가 죽거나 심장이 잘못되면 동물은 죽어버린다. 전체 생명을 위협하는 기관이 뚜렷이 존재하는 것이다. 하지만 식물에게는 동물에게서와 같이 전체를 위협하는 기관이 없다. 몸의 어디에도 치명적인 조직을 만들지 않는 것, 그리고 어디서나 새로이 시작할 수 있는 복병을 배치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나무가 오랜 세월 지구상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기본 힘이다.

 

p.236

남의 자리를 탐하지 않고 주어진 조건에서 자신을 적응시킨다. 나약하고 자기합리적이라 비난하는 이도 있을지 모르지만 때로는 체념과 수긍이 오히려 편안할 때가 있다. 고집은 모두를 긴장시키고 힘들게 한다.

사람이 다른 생물과 다른 점은 지칠 줄 모르는 욕심을 가진 것이라고 했다. 당단풍나무는 모자람을 선택했다.

 

p.243

잡초라는 말은 다분히 인간 본위의 발상이다. 나름대로 생의 역사를 가지고 생명을 일구는 '잡초'들로서는 심히 기분이 나쁠 수 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주 2005-08-19 2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차윤정씨랑 나랑 통하는구먼요. 나도 맨날 "잡초"란 나쁜 말이라고 다니는데요. 크..반갑구먼. 난 또 방금 차윤정씨 책을 리뷰 썼응게.

2005-08-20 07: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비로그인 2005-08-20 09: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38페이지. 아침부터 비실비실 웃음이 새어나오네요. 하- 양촌리 이장부인의 말씀이 가슴을 칩니다..글고 여기에 옮겨 적으신 이카루님이 엉뚱해서 또 하하- 웃습니다.

icaru 2005-08-24 08: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주님 리뷰 읽으러 가야겠다~영차영차 (참 빨리도 읽는다 그죠?)

하하...전 이안님께서 기독교인이신 것두 같고 아닌것도 같고 늘 아리까리했었어요...엇...이런말 실례인가요? 왜 갑자기 나일론 이란 말이 .. 머리 속을 스친당가... 전 그런 어떤 믿음의 대상에 신축성을 갖는 사람들이 좋고 편하더라고요...(저 이럼, 독실한 분들에게 혼날까요? 음 저 문구의 앞에는 그런 말이 있었어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굶어 죽어가는 아이들을 보면서 신이 존재할까 라는 의심을 하게 되었을 때,,,, 어느 목사님이 하신 말씀이라고...

내가없는 이 안 2005-08-24 07: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카루님. 속삭이고 몰래 내뺀 사람, 이름을 불러쌓고... 나일론도 속으론 엄청 고단해요. 차라리 끊어지기라도 하면, 하는 생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