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간지점의 집 ㅣ 동서 미스터리 북스 105
엘러리 퀸 지음, 현재훈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7월
평점 :
‘중간 지점의 집’
호기심을 유발하는 제목이다. 이 쪽에도 속하고 저 쪽에도 속하는 자의 죽음.
사건 해결의 열쇠는 단연 그가 어느 쪽에 속하는 사람으로써 죽음을 맞이했는가 하는 것이다.
사건 현장에서 그는 극과 극을 달리는 두 인생을 동시에 살았음이 밝혀진다. 상류 사회의 아내와 대저택에서 호화롭게 사는 삶. 소박한 아내와 검소하게 사는 평범한 세일즈맨으로서의 삶.
나는 이 작품이 두 가지 점에서 좋았다고 생각한다.
<앵무새 죽이기>에서 스콧의 아버지가 톰을 변호하는 공판 부분이 가장 감동적이었듯이, 이 작품도 소박한 아내를 범인으로 지목하여 그의 오빠가 변호하는 공판이 나오는 중간 부분이 가장 흥미진진하였으니, 첫째 이 책이 법정 스릴러 풍이라는 것.
마지막 부분에서 범인을 지적해 내기 위해 사건의 현장에서 다시한번 상황을 재현하고 도둑이 제발 저려 스스로 ‘나 범인이요’ 하고 드러나게 만든다는 점.
퀀의 작품은 기발한 상황, 치밀한 구성, 동기의 의외성 스토리의 반전이 구비된 전형적인 본격 추리소설이 많다. 그는 무엇보다도 독자들에 대해 페어플레이를 한다. 그는 독자를 속이려고 하지 않는다. 그것은 독자에 대한 도전이기도 할 것이다. 독자가 범인을 알아맞힐 수 있다면 독자의 승리이며, 작가의 패배이다. 이것은 작가와 독자와의 두뇌 경쟁이며, 작가 엘러리 퀸이 추리 소설을 지적 게임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작가는 이러한 추리 소설의 흥미를 끝까지 추구한 셈이다. 엘러리 퀸은 페어플레이를 강조한 나머지 작품 끝부분에 ‘막간의 도전’이라는 챕터를 만들어 독자에게 도전하고 있다.
“나는 몇 년 전부터 큰소리로 독자들에게 짐작으로 맞추겠다는 생각을 버리고 과학적으로 게임을 해 주기 바란다고 외쳐 왔다. 그 편이 분명히 힘은 들지만 훨씬 재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