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자존감 - 스스로를 존중하고 사랑하는 당당한 아이로 키우는 양육법
정지은.김민태 지음, 이영애 감수 / 지식채널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극적인 활용 예가 될 만한 상황을 피력하며, 그에 대해 철학적 원론적 설명에 많은 부분 할애한다는 느낌이다.
'자존감이 낮은 아이는 학업 스트레스를 견뎌내지 못할 것이며, 어릴 적에 굳어진 것은 청소년기에 접어들면 교정하기 어렵다.'라는 요지이되, 하나로 관통하는 핵심이 무엇인지,,, 한참 생각하게 한다. 일테면'육아, 자존감'이라는 검색어로 수집한 문서들을 보기 좋게 잘 편집했다는 인상이랄까.
그래서, 아직 자녀가 어려서 육아 관련 서적을 많이 접하지 않은 독자들에게는 이 책, 대표 저자 두 명 외에 더 많은 이들이 목소리와 작업을 더한 듯한 일련의 이런 백과사전식 책을 하나 정도 갖추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라면 별로 득이 없을 듯한 책이다. 
리얼리티 100%의 육아 속으로 들어가지 않고, 변죽만 울리고 있는 느낌. 그래서 읽기는 읽고 있으나 이럴 땐 이렇게 하자! 라는 육아팁이 이렇다 하게 남지가 않는다. 머릿속에.
사실, 이렇게 육아서를 뒤적일 필요까지는 없는지도 모른다. 아이는 왜 자존감이 낮아지나, 양육환경이 좋은 경우에도 보통 아이들은 유아기와 초등기에는 높았던 자존감이 자라면서 낮아진다. 상상할 수 있듯 학업스트레스 때문이다.  

 아이의 자존감이 낮아지는 상황과 스트레스를 어떻게 하면 최소화할 수 있을까? 아이를 잡으면, 아이의 자존감이 낮아진다. 시쳇말로 도망갈 구멍을 만들어주고, 최소한의 변명의 여지를 주어 체면치레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실수가 되었든, 생각없이 한 행동이든 아이가 혼이 나는 상황을 줄이기 위해 구조화된 환경으로 개선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사람은 누구나 사랑받기 원한다. 그러한 변함없는 인정과 지지를 어디에서 받나? 그 능력을 베풀어줄 사람 역시 부모이다. 아이를 정서적으로 안정시키는 것. 그것이 관건인 듯. 
모든 부모들은 아이가 마음이 따뜻하고 착한 사람, 항상 밝고 웃는 긍정적인 사람, 인내심이 있는 사람, 그러면서도 다른 사람을 통솔할 수 있는 사람, 공부 잘하고 박식한 사람으로 커 주기를 원한다. 아이가 그렇게 자라게 하기 위해서 부모는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가, 고민에 또 고민할 일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딧불,, 2011-11-30 18: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의 사생활도 전공자가 보기에는 좀 그런 면이 있었거든요.
육아서라는게 그렇다라구요. 같으면서도 다 다른 사람이니까..
특히 아이들은 정말 다 달라요. 부모가 다 다르구요.
마지막단락 공감 천만배^^

icaru 2011-12-01 10:21   좋아요 0 | URL
예전에 60분 부모 맹렬 시청자였어요. ㅎㅎ 그 제작진이 만든 건 아니지만(아이의 사생활 팀이라죠?), 그때 그 느낌을 생각하면서 구매했는데, 기대했던 것과 달라서인가...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