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에 미치다 - 현대한국의 주거사회학
전상인 지음 / 이숲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서울 인구의 56.9%가 아파트에 거주한단다. 울산이나 대전, 대구는 그보다 더 높은 64%이다. (나는 아파트에 살지 않는다. 의지가 담긴 것은 아니다. 주거 형태의 다양화를 위해 아파트 말고 다른 대안은 없는가 하는 논의들이 거론된다지만, 그러거나 어쩌거나 간에, ‘언제 한번 평수 넓은 아파트에 살아보나 하는 로망이 없다’고 하면 거짓말이다. 게다가 아이들 키우기에는 -아이들의 동네 친구들을 만들어준다거나 하는 점에 있어서- 대단지 아파트에서 키우면 좋지 않을까 하는 점들에 미련을 갖고는 한다.)  

그렇다면, 시골은 어떨까?  친한 친구가 올초 결혼을 하면서 남편을 따라 전주 인근에 내려가 살고 있다. 처음에는 직장에서 제공하는 관사에 살다가 불편함이 많아서 아파트로 이사를 했다고 한다. 대도시 사람만 아파트를 편리한 주거 환경으로 꼽는 게 아니다. 그런데, 논가운데 있는 아파트이다 보니, 자연의 냄새(?) 말고도 다른 냄새(농약?)를 맡으며 살아야 하는 게 애로 사항이라서 얼마전에 필터값이 눈돌아가는 고가 말고, 물로 씻어 쓸 수 있는 착한 가격에 속하는 공기청정기를 눈물을 머금고 질렀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아이들 호흡기도 고려하고 해서, 한번 구해봄이 어떤지 하면서, 자신의 쌔끈한 공기청정기를 찍어 전송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한국 사회는 아파트 공화국이 되고 있다. 이 책은 아파트를 단순한 주거시설이나 주거공간의 의미를 넘어서 현대 한국 사회를 분석하는 일종의 내시경으로 간주했다. 아파트를 알면 오늘 한국 사회의 특성과 추이가 보인다는 예단에서다. 우리 시대 한국 사회의 영욕은 물론, 희노애락을 고스란히 담고 있기 때문이다.

"프랑스혁명의 여파로 귀족계급이 몰락하면서 그들의 대저택 역시 주인을 잃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러한 틈바구니를 비집고 새로 성장한 도시 중산층이 귀족의 대저택을 아파르트망별로 나누어 살기 시작한 것이 바로 오늘날 아파트의 기원이라고 한다. "

"르 코르뷔지에는 도구로서의 주택 개념을 제안하면서 주택을 '거주용 기계'라고 정의했다. 하지만 그는 거주용기계로서의 주택이 건축행위를 통해 궁전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결코 잊지 않았다. "

"아파트가 도시생활의 전형적인 주거형태로 자리 잡았지만, 물론 도시 사람들만 아파트에 살고 도시 사람들만 아파트를 좋아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농어촌 지역에서도 아파트거주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웬만한 읍면 소재지치고 고층 아파트 몇 동 들어서 있지 않은 농어촌 지역은 이제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 아파트를 흔히 '논두렁 아파트'혹은 '밭두렁 아파트'라고 부른다. 주변 외관이나 풍광은 아랑곳하지 않고 저혼자 높이 솟아 있다는 뜻에서 '나 홀로 아파트'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렇게 해서 나홀로 높아진 아파트가 아름다운 농촌 풍경을 망친다고, 가끔 농촌을 찾는 도시인들이 불만을 토로할 때가 있다. 그때마다 어김없이 돌아오는 항변은 "우리가 시골에 산다고 아파트에서 살지 말라는 법이라도 있느냐'는 것이다. 믿거나 말거나 떠도는 이야기 가운데 하나는 농촌에 노총각이 많은 이유도 현대적 주거양식인 아파트가 적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한국의 중상층계급에게 있어서 아파트란 단순한 주거공간의 의미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대신 그것은 자신들의 신분이나 지위를 세상 밖으로 드러내고 보여주는 '과시적 소비'의 대상이다. 서구사회의 전통적 상류계층에게 있어서 문화자본은 상속이나 학력 등을 통해 지식이나 교양, 기능, 취미, 감성 등이 체화된 상태를 의미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것은 급조가 불가능한 것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숙성되는 경향 때문에 보통 사람들이 쉽게 흉내 내거나 범접하지 못하는 그 무엇이다. 이에 반해 최근 수십 년 동안 국가주도 압축성장과 동반 성장한 한국의 지배계급에게는 그와 같은 온축과 내공을 갖춘 문화자본이 없다. 역설적으로 바로 그런 이유로 인하여 그들은 자신들의 지위왕 신분을 대외적으로 표현하는 일이 보다 절박한 것이며, 이때 특정 지역 내 고급아파트 집단 거주야말로 그것의 가장 효과적인 수단 가운데 하나로 간주되기 쉽다. "

"1990년대까지도 소설가 이외수는 아파트를 "인간 보관용 콘크리트 캐비넷"이라고 핍박할 정도였다.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고양이 2011-10-12 1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일산이지만, 끝자락인지라 앞뒤로 우리 마을 빼고는 논밭이예요.
결국 농지를 점령해나가는 과정에 있는 아파트들인거죠.
공기가 좋아서 좋아라 하지만, 한번씩 비료(?) 냄새가 진동을 하죠.

음, 페이퍼를 읽다보니
제가 참 위선적이구나 그런데 어떻게 해결을 못 할거 같구나 하는 생각을 했어요.
대단위 아파트가 사실 살기 편리하거든요. 정원있는 집을 꿈꾸지만,
단독 주택이 무섭기도 하고 불편하기도 하고, 그러면서도 제가 자연을 갉아먹는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자각을 하면 또 그것대로 심란하구요..........

인간으로 산다는게, 항상 부조리의 연속같아요. 그래서
더욱 따스한 시선을 유지해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데.. 쉽지 않더라구요. ^^

icaru 2011-10-12 15:48   좋아요 0 | URL
ㅎㅎ 맞는 말씀야요!
부조리할 수밖에 없죠.
환경생물학적으로는 아파트라는 콘크리트 더미들이 끼치는 오염과 파괴가 만만찮다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요. 참, 주거 문제라는 게 부동산이라는 재산가치와 맞물려서도 그렇고 많은 화제거리를 갖다 주네요...
뭐니뭐니해도 일상은 단순하고 쾌적해야...
노후에는 전원 생활을 꿈꾸기도 했었거든요. 그럼 다들, 아플 때 병원 가는 것도 그렇고, 불편한 점이 많아 되려 나이들수록 도심으로 나와 살아야 한다고들 말해요~

어찌 살게 되려나 그때 되어봐서 대책이 나올듯 하긴 해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