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정원에서 생긴 일
온다 리쿠 지음, 오근영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작가 온다 리쿠가 ‘나, 머리 겁나 좋아! 이야기 구도를 이렇게 겹겹이 이중 창문으로 된 액자(이런 게 실제로 있나? 모르겠으나) 소설도 만들 수도 있어. 메롱~’ 하는 것만 같은 소설이다.

제대로 구도를 이해하며 읽고 있는 건지 확신이 들지도 않으면서 되돌아가 그림을 맞춰 보며 따져볼 노력을 하지 않게 되었던 것은, 죽죽 흘려 읽으면서 나름 온다 리쿠의 문체로 충족되는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연극의 이라는 장르에 수반되는 그러니까, 극작가와 같은 항상 더 나은 작품으로 관객의 기대에 부응해줘야 하는 창작 직종에 전념하는 사람들의 비애랄지, 배우가 오디션을 앞두고 갖게 되는 이율배반적인 감정이랄지, 연극이라는 예술 장르 자체에 대한 삽화들을 작중 인물의 입을 빌어, 온다 리쿠만의 어투로 들려 주는데에서 그만, 재미를 다 보았다고 생각했고, 이것으로도 난 족하다 라고 여겼다.


이건 개인 취향일 것이다만, 이렇게 작가가 쓰고 있는 이야기의 모티브로 보여 지는 것이 구체화해서 이야기 내부 속에 유사 연극의 형태로 있고, 사실 그 결말 또한 기승전결을 갖춘 단순하게 똑 떨어지는 구조가 아니라, 이렇게 혹은 저렇게 결말을 낼 수도 있었을 법했지라고 독자들에게 손안의 카드를 다 내보이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작품에 사실은 좀 질색하는 편이다. 어떻게 보면, 작가만이 치열하게 고뇌해야 하는 수고로움 같은 것을 소재로 과대 포장해서 독자들에게 선사해 주고 있는 게 있는 거 아냐! 싶은... 그렇다. 이건 복잡한 걸 즐기지 못하는 개인 취향이다.

마지막에 이르러 모든 비밀이 밝혀지는가 싶은 순간, 다시 한번 모든 것을 뒤집으며 독자를 다시 미궁에 빠져들게 한다. 그런 모호한 느낌을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온다 리쿠가 의도하는 것인지 모르겠다는 옮긴이의 말에 내심 아리송하고 미진했던 느낌에 대한 혐의를 완전히 풀어주지도 못하겠다.

116

‘남는’ 연극 말이야. 실제로 왜 이런 시시한 연극이 남아 있는 걸까 하고 젊을 때는 나도 생각했어. ‘우리 마을’이나 ‘인형의 집’ 같은 것. (중략) 하지만 역시 지금까지 남아 있다는 건 나름대로 이유가 있는 거지. 대체로 단순한 구도가 남는 거야. 다른 말로 하자면 여백이  있는 것 여러 가지 해석의 여지가 있는 것 말이지.

119

오디션이라는 게 항상 그렇지. 받기 전에는 정말로 싫은 게 오디션이야.

긴장해서 불안에 떨며 구역질을 할 정도로 계속 열에 들뜬 사람처럼 비일상적인 상태가 끝날 때까지 계속되지. 너무 싫어서 도망치고 싶어 내 경우는 그래.

하지만 끝나면 아쉬운 걸, 사랑스러운 거야. 이렇게 했으면 좋았을 걸, 저렇게 했으면 좋았을 걸 하고, 헤어진 연인처럼 끊임없이 끝난 오디션을 생각하는 거야. 그리고 다시 오디션을 받고 싶어지는 거야.

120

다들 화장술이 뛰어나고 옷 입는 센스도 좋아져서 얼굴 생김새가 미인인가 아닌가보다는 총체적인 인상이나 패션 감각이 더 중요해지고 있지. 나쁜 건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빼어난 미인이라는 이미지가 없어졌지.

121

오늘날 아름다움과 행복은 비례하지 않아. 아름다움과 야심도 비례하지 않아. 오히려 아무것도 갖지 않은 사람의 야심이 더 굉장하지.

383

당신, 자신의 일이 끝났을 때의 일을 생각해 본 적 있어? 아직 없겠지. 아직 젊고, 한참 물이 올라 있는 이 때가 자신의 일에 대한 반응을 느끼는 시기지. 언젠가는 체력이 다해 사고력이 떨어지고 자신의 직업에서 은퇴할 때가 오겠지. 그런 때의 일을 아직 상상해본 적 없겠지?

하지만 늘 그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도 있어요.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야 하는 사람, 만드는 것 하나하나가 남들의 평가 대상이 되고 그것이 다음 일을 얻는 기준이 되는 사람. 항상 고갈을 두려워하는 사람. 항상 만들어내는 일을 괴로워하는 사람. 세상에 그런 직업을 갖고 있는 사람도 있어.

정말, 생각할 때마다 무서운 직업이에요. 주문을 하면서 몇 번, 보면서 몇 번. 내용의 질이나 평가가 노골적으로 관객수에 필적하죠.

분명 오랫동안 글을 쓰다보면 나름대로 기술은 늘 것이고 약간의 요령은 얻을 수 있겠지만, 그 이상 새로운 것을 쓰기 시작할 때의 공포는 커지게 마련이죠. 전작을 능가하는 작품을 써야 한다는 부담은 점점 크게 다가오지요. 무엇보다도 스스로 기대하는 작품의 수준이 점점 높아져서 그것을 극복하는 것이 힘들어진다고 해요. 

390

건물 내부의 정원은 도시의 모형. 우리가 사는 세계의 축도. 사람들은 늘 둘러싸이고 싶어한다. 타인으로부터의 시선을 차단하고 관리당하고 안전하고 기분 좋은 장소로 도망치고 싶어한다. 그러는 한편 사람들은 둘러싸여 있다는 것에 폐쇄감과 고독을 느낀다. 그래서 사람이 모이는 장소로 나가 많은 사람들 속의 한 사람임을 화인하지 않고는 견디지 못한다. 그리고 내부 정원은 항상 ‘보여지는’ 운명에 있다. 애당초 사람의 시선 없이는 성립할 수 없는 공간인 것이다. ‘보여진다’는 의식은 늘 허구를 갖고 있다. 내부 정원은 보는 자와 보여지는 자 쌍방에게 연기를 강요한다. 그러므로 허구는 내부 정원 밖으로 펼쳐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설 2008-11-05 14: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난 머리 겁나 나뻐~ 이러면서 못 읽겠습니다 ㅎㅎ

icaru 2008-11-10 16: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미설 님은 좀 다르게 느껴지실 지도 모르죠~ 저 작가가 쓴 것 중에서는 별로였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