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죄
이언 매큐언 지음, 한정아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초반부에 지루한 감이 없지 않았지만, 일생일대의 운명적인 사건이 벌어졌던 그 날 밤 이후부터는 정말 숨가빴다.

제목 그대로 속죄에 대한 이야기이다.

속죄란 죄를 인정하고 용서를 비는 차원을 넘어서서 지은 죄에 마땅한 벌을 치러야 하는 것인데, 죄가 부른 운명의 질곡(전도 유망한 청년의 삶과 그의 애인의 삶마저 송두리째 아작내 버렸다.)에 비한다면, 그 벌이라는 게 약하다 싶기도 하다.

그리고 훗날에야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그 댓가를 달게 받으려 했던 브리오니.

그런데 이 죄가 브리오니 단독의 작품은 아니다. 그녀는 권력 의지를 발휘하고자 하는 욕망이 유난히 강한, 그런 아직 아이였던 것이다. 과오를 저지른  주범이기는 했지만, 본인이 저지른 잘못(강간)임에도 입 다물고 있었던 사람도 있었고, 판단력 없지 않을 법한 어른들 여럿이었건만. 이 죄는 이들의 합작품이다.

모두 3부로 되어 있는 이 작품에서 1부는 사건이 있던 하루의 일을. 2부는 전쟁터에 나간 로비의 시점에서 3부는 속죄를 구하는 브리오니의 시점에서 쓰여졌다.

이 작가의 장점은 전문 직종 혹은 상황 묘사에 아주 뛰어난 점이다.

2부에서는 작가가 정말 2차 대전에 참전해서 낙오병으로 몸소 겪었던 체험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고, 3부에서는 전쟁중에 부상병을 간호하는 간호병으로 호된 직업 훈련을 받은 적이 있는 사람이 쓴 것만 같다.
작품에서 다룰 직업군의 현장에 뛰어들어 치열하게 연구한 사람만 쓸 수 있는 실감나는 문체의 소유자랄까.


죄를 저지를 당시 브리오니는 제법 글재주가 있는 그러나 자신이 전지전능할 수 있는 작품 속 창작 세계와 현실 세계를 혼동하는 무지한 열두살 영국 명문가의 막내였다.
철이 들고, 자신이 언니와 그 애인에게 엄청난 죄를 저질렀다는 자각을 할 무렵엔 이미 되돌리기엔 늦어버렸던 것.  

속죄를 할 양으로 언니처럼 종군 간호사가 되지만. 속죄의 방식도 다분히 창작의 세계에서 오만했던 어린 브리오니답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왜일까?

인간은 누구나 물질적 존재이다. 쉽게 파괴되지만 쉽게 회복되지는 않는 존재. 몸이 부서져라 부상병들의 간호 일을 하면서 자신이 저질렀던 과오를 절절히 깨달음과 동시에, 작가가 되려는 열망을 접지 않는다. 결과적으로는 속죄하는 마음으로 임했던 간호사의 일을 통해서 인간에 대한 보편적인 사랑으로 깨닫게 되었고, 소설가로서도 대성하게 되지 않았나! 물론 브리오니는 죽기 직전까지도 뼛속 깊에 남겨 있었던 죄책감을 안은 채 살아야했겠지만.

죽은 사람들만 억울한 노릇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고, 어쨌든 브리오니 당신이 이겼어! 싶은 것이다.
브리오니만이 아니라, 미국인 마셜과 브리오니의 사촌 로라 커플은 입에 담을 필요도 없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8-10-06 2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장 미운 건 브리오니 부모였어요.

icaru 2008-10-13 10:31   좋아요 0 | URL
그렇죠~ 마치 건수를 찾고 있었던 사람들처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