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점심 먹고 동네 한바퀴 돌자고 나선 길이었습니다.
선글래스, 저 그런거 안키워요.
선크림, 그런 것도 답답해서 안 발라요.
양산, 모자, 물론 안 들고 나갔지요.
비타민D를 대량 합성할거라고 휴대폰과 카메라만 손에 들고 나가면서 그것도 거추장스러워했습니다.
우리 동네는 동네인데 그동안 한번도 안가본 길이었어요. 남편은 자전거 타고 가봤다네요. 저 길이 자전거 길이래요.



걷는 내내 길 옆에서 우리를 호위해주던 꽃입니다.
꽃 가운데 색이 진해진 건 햇빛에 타들어갔기 때문인가요.

무당벌레는 몸은 작지만 어디있든지 아무튼 눈에 참 잘 띕니다.

햇빛 쨍쨍한데 이 달팽이 언제 걸어서 집까지 가나...

흑돼지 키우는 곳이 다 있네요. 더우니까 저렇게 땅을 파고 거기에 들어가있더라고요.
누가 돼지보고 머리 나쁘다고 했어!

대추나무라고 하는데 꽃이 피었습니다.


풋복숭아.
초등학교때 이맘때면 학교 앞에서 아주머니가 이 풋복숭아를 잔뜩 담아놓고 팔곤 했는데 선생님과 부모님으로부터 절대 사먹으면 안된다고 다짐을 받았었지요. 덜 익어서 먹으면 배탈난다는 이유였어요.

이게 나중엔 갈색의 솔방울이 되겠지요. 지금은 여름. 초록의 계절.

거두지 않은 파가 이렇게 꺽다리가 되어 있습니다.

이현수의 단편 소설 <파꽃>이 생각납니다. <토란>이라는 소설집에 실린 단편들중 제일 마음에 들었던 작품이었어요.


멀리 산도 보이고 완전 시골 풍경인데 저 너머엔 아파트 단지가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 집도 저 근처 어디쯤.

Human monkey, 라고 남편이 그랬습니다. 무례하게.
열심히 무슨 열매를 따고 계신 듯 했습니다.



생긴 것은 분명히 명아주 같은데 키가 너무 커서 명아주 맞는지 의심스럽습니다.


나팔꽃이라고 섣불리 말하지 못하는 이유는 연지를 비롯해서 비슷한 꽃이 너무나 많기 때문입니다.



물이 있으니 다리도 있고요.

하늘은 푸르고

길은 어디론가 계속 이어집니다.

씨마저 다 떠내보내고 씨가 있던 자리만 남았습니다.
저 자리도 언젠가 사라지겠지요.
이곳에 무슨 공원을 만든다고 기획 중이라는데,
부디 이대로 두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